논문 상세보기

유색감자 홍영(Solanum tuberosum L.)의 입자 크기에 따른 반죽과 면의 물리적 특성 KCI 등재

Effect of the Particle Size of Red-fleshed Potato (Solanum tuberosum L.)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Dough and Noodl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66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산업식품공학 (Food Engineering Progress)
한국산업식품공학회 (Korean Society for Food Engineering)
초록

건강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며 고유의 색과 향미를 가지는 유색감자 홍영 분말을 첨가한 반죽 및 면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홍영 미세 분말은 ball-milling을 통하여 제조하였으며, 매우 낮은 입자도로 인하여 감자의 세포 및 전분 구조가 파괴되어 손상 전분의 함량이 높았다. 이 같은 손상 전분은 낮은 온도에서 물을 흡수하고 팽창하는 성질이 높아 일반 분쇄를 통하여 얻은 분말로 제조한 반죽에 비하여 BM 분말을 반죽에 첨가하였을 때 탄성이 높고 자유수가 적은 반죽 및 면이 제조되었다. 입자 크기를 달리하여 분쇄한 홍영 분말의 경우 손상 전분이 아닌 첨가 분말의 표면적에 의하여 영향을 받으므로 입자 크기가 클수록 반죽 내의 자유수가 많아 열처리 시 더 많은 호화가 발생하였다. 홍영 분말을 첨가한 경우 홍영 특유의 붉은색이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홍영 분말의 입자 크기가 커질수록 적색도가 감소하였다. 홍영 분말의 다양한 입자 크기에 따라 손상 전분의 발생 및 입자의 표면적에 의하여 서로 다른 호화 특성 및 면 반죽의 조직감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미세 분말(BM)의 경우 손상 전분으로 인하여 생반죽의 탄성이 밀가루에 비하여 매우 높아 성형에 더 많은 힘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미세 분말인 BM 분말과 다르게 생반죽의 성형이 용이하면서 홍영 특유의 붉은 색을 가장 잘 나타내며, 조리 이후 반죽의 탄성을 향상시키고 밀가루와 인장력에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는 R1 및 R2 분말로 제조한 면이 우수한 품질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전분을 함유하는 대체 분말을 이용한 제면 제품의 개발 시 입자 크기의 결정에 대한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hysical properties of raw and cooked dough for noodle with different sizes of red fleshed potato flour (RFPF) prepared by ball-milling and grinding were investigated. Microstructure images were taken to examine the structure of wheat flour (W) and RFPFs in dough. Thermal and texture properties were measur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ticle size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dough. Thermal properties of flours demonstrated that the highest degree of the damage in starch structure was found in ball-milled (BM) flour. Viscoelastic properties were evaluated using stress relaxation test. The addition of RFPF in dough showed a higher value of elastic components and shorter relaxation time. The increment of the lone spring modulus (Ee) for BM dough was 1346.66% whereas for the largest size of RFPF, the dough was 2543.75%. That different degree in the increment of viscoelastic properties indicates that highly damaged starch in BM showed less gelatinization compared to other RFPFs. The addition of RFPF increased the color parameter a (red-green) of dough and noodle from -3.46±0.17 to 6.08±0.13, respectively. This study suggested that very fine flour rather negatively affected the dough properties, whereas finding a suitable particle size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trolling the quality of both dough and noodle.

저자
  • 정화빈(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Hwabin Jung
  • 판철호(KIST 강릉 분원) | Cheol Ho Pan
  • 윤원병(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Won Byong Yo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