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산림치유를 위한 수목 내 테르펜 화합물의 검정 KCI 등재

Assay of Terpene Compounds Contained in The Tree for Forest Heal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68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유전적 특성이 다른 몇 가지 수종의 테르펜화합물의 구성을 비교함으로써 수종별 특성 차이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수목의 잎에 함유된 테르펜화합물은 Headspace GC/MS으로 정성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DE법(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extraction apparatus)으로 잎에서 추출한 정유를 GC/MSD(GCMS-QP2010 Plus, Shimadzu, Japan)로 정량 분석을 하였다.
정성적 분석결과 검정하고자 한 19종의 테르펜화합물중 대부분의 수종에서 15~18종의 테르펜화합물이 검정되어 침엽수와 활엽수 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량적 분석결과에서는 침엽수인 편백이 활엽수보다 잎에서 추출한 정유 수율이 9~10배 정도로 높게 나타났으며, 정유 수율은 편백 > 전나무 > 화백 > 잣나무 > 소나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수종별 테르펜화합물의 정량적 특성으로 trans-caryophyllene은 전나무 > 비목(활엽수) > 소나무 > 잣나무 순으로 나타났다. α-pinene은 화백 > 전나무 > 잣나무 > 편백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carene은 전나무와 화백에서 농도가 월등히 높았다. limonene은 편백 > 전나무 > 화백 순으로 높았으며, bornyl acetate는 전나무 > 화백 > 편백 순으로 나타났다. camphene, myrcene, humulene 등도 전나무에서 가장 농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일반적으로 활엽수에 비하여 침엽수 잎에 함유된 테르펜화합물의 농도가 높고, 침엽수 중 전나무는 편백에 비하여 수율이 59% 정도로 낮지만 trans-caryophyllene, α-등과 같은 유용테르펜화합물의 농도는 편백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편백나무 숲은 치유효과가 높은 것으로 이미 잘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산림치유 활동이 편백나무 숲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편백나무는 우리나라 남부지역에 제한적으로 조림되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전나무뿐만 아니라 편백나무와 성상이 비슷하지만 내한성이 강한 화백도 편백에 비하여 높은 농도의 유용물질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기후적으로 온대중부 이북에 속하는 곳에서는 치유의 숲에 편백을 대체할 수 있는 조림 수종으로 전나무와 화백을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properties of trees by comparing the terpene compounds of some species have different genetic characteristics. Terpene compounds contained in the leaves of the tree were analyzed qualitatively by headspace GC/MS method, and essential oils extracted in leaves by S.D.E. method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by GC/MS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ifers and hardwoods because of the 15-18 kinds of terpene compounds among the 19 kinds of terpene compounds investigated were detected in most of the species. However, the yield of oil extracted from cypress leaves was 9-10 times higher than hardwoods leaves and the yield of essential was higher in the order Chamaecyparis obtusa > Abies holophylla > Chamaecyparis pisifera > Pinus densiflora. As the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of terpene compounds, the concentration of transcaryophyllene of essential oils was higher in the order A. holophylla > Lindera erythrocarpa > P. densiflora > Pinus koraiensis. The concentration of caren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 holophylla and C. pisifera. The concentration of limonene was higher in the order C. obtusa > A. holophylla > C. pisifera, that of bornyl acetate was higher in the order A. holophylla > C. pisifera > C. obtusa. The concentration of camphene, myrcene and humulene was also the most highest in A. holophylla.

저자
  • 연평식(충북대학교 대학원 산림치유학과) | Poung Sik Yeon
  • 이효은(충북대학교 대학원 산림치유학과) | Hyo Eun Lee
  • 신창섭(충북대학교 산림학과) | Chang Seob Shi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