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밤나무 종실에 발생하는 탄저병균의 분리 및 친환경적 방제 KCI 등재

Biological Control & Isolation of Chestnut Diseases by Colletotrichum Goeosporioid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78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유기농업학회지 (Korea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한국유기농업학회 (Korea Association Of Organic Agriculture)
초록

본 실험에 사용한 C. gloeosporioides는 밤나무 재배단지에서 탄저병 증상을 보이는 밤나무 종실로부터 분리하였고, ITS 영역 유전자의 염기서열 및 형태하적 분석을 통하여, C. gloeosporioides로 동정하였다.
병원성 검정실험에서, 80% Eucalyptus oil 및 B. subtilis GG95 10배액 처리구가 C. gloeosporioides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하였고, 최종배합은 Eucalyptus oil 40%, B. subtilis GG95 40% 외 제제화용 첨가제 20%로 하였다.
2012년도 포장실험에서, 자봉 품종 시제품 500배 4회 처리구의 방제가는 무처리구 대비 60.9%로 조사되었고, 2013년도 포장실험에서, 자봉 품종의 방제가는 250배 처리구가 71.2%로 가장 높았다. 조생종 및 중생종보다 만생종에서의 방제가 69.8%로 가장 높은 것으로 보아, 착과이후 종실이 작을 때부터 약제 처리를 하면, 방제가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포장 500배 4회 처리후 수확물인 조생종 단택에서는 4℃ 저장에서의 방제효과는 약 61.9%로 조사되었고, 25℃ 저장에서의 방제효과는 63.2%의 방제가로 조사되었고, 실내 단태 품종에 대한 방제가는, 250배에서 81.16%, 500배에서 75.36%로 측정되었으나, 1000배의 효과는 낮은 편이므로, 최소한 500배 이상의 처리가 필요시 된다.
상기의 결과를 바탕으로 밤나무 종실에 발생하는 탄저병을 효율적으로 방제하기 위해서 는 착과 이후 개발제품을 500배 희석농도로 4회 경엽처리하고 수확후 250배로 침지 처리한 후 저장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판단된다.

In order to acquir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enetic characteristics of pathogen that causes anthrax to chestnut, anthrax was separate and identified in Gongju, chungnam chestnut plantation. Antagonistic microorganisms and plant extracts were selected for control of anthrax. Medium maturing variety treatment of 250 dilution fold in field was control at 71.2% and treatment of 500 dilution fold was control at 64.4% and treatment of 1000 dilution fold was control at 40.7%. Storage control value of Jabong in 25℃ after treatment in field is 61.7% at 250 dilution fold, 62.8% at 500 dilution fold, 40.9% at 1000 dilution fold treatment.

저자
  • 김영재(Chungcheongnam-do Institute of Forest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 Kim, Young-Jae
  • 강길남(Chungcheongnam-do Institute of Forest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 Kang, Kil-Nam
  • 김종우(Chungcheongnam-do Institute of Forest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 Kim, Jong-Woo
  • 김영명(Chungcheongnam-do Institute of Forest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 Kim, Young-Myung
  • 이상현(Chungcheongnam-do Institute of Forest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 Lee, Sang-Hyeon
  • 홍석일(Koreabio Co., Ltd.) | Hong, Suk-Il
  • 이재준(Koreabio Co., Ltd.) | Lee, Jae-Jun
  • 이현수(Koreabio Co., Ltd.) | Lee, Hyun-Su Corresponding author
  • 김영권(Koreabio Co., Ltd.) | Kim, Young-Kwon
  • 박인서(Department of Crop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city) | Park, In-Seo
  • 조용구(Department of Crop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city) | Cho, Yong-G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