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청각장애인 배려 문화시설 앱 개발을 위한 사용자 요구조사 KCI 등재

A study of user needs to develop an application for cultural facilities in consideration of the deaf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93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청각장애인들의 장애로 여겼던 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도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문자나 영상 서비스 등을 이용으로 거리나 공간의 제약 없이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청각장애인을 배려하지 못한 서비스로 많은 청각장애인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특히 문화예술체험 분야의 경우 청각장애인들을 배려하는 서비스의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경험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인들이 문화시설 이용 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이용에 대한 불편함을 해소하고, 장애 요인을 해소하고자 사용자 조사를 통해 청각장애인 배려 문화시설 앱 개발을 위한 사용자 요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청각장애인의 특성과 사용자의 경험의 이해 및 요소에 대해 문헌 고찰하였다. 두 번째, 국내 문화예술체험 앱 개발 사례를 통해 정보구조 분석 및 국가정보화기본법 제 32조 5항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 기준으로 준수정도를 평가하였다. 세 번째, 한국농아대학생연합회 소속 청각장애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위해 퍼소나 모델링을 하였다. 네 번째, 관찰조사를 위해 청각장애인 중 대표사용자 4명과 비장애인 2명을 선정하여 사용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위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각장애인을 3가지 타입으로 분류하여 청각장애인 배려 앱 개발 시 참고할 사용자 요구사항을 종합하여 제시하였다. 도출된 주요 사용자 요구사항으로는 수화영상과 자막의 동시 제공을 들 수 있고 정보구조의 단순화, 소리 및 음성에 대한 시각적·촉각적 피드백 제공, 익숙한 매체를 통한 디자인 제공이 포함될 수 있다.

Even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once regarded as an obstacles of hearing-impaired people, it became possible to communicate without space or distance limit thanks to the message utilizing mobile device or screen service. Although these services are carried out, however, many hearing-impaired people are having discomfort because of services that did not consider them. Especially in the field of cultural art experience, there occurred many cases that hearing-impaired people experienced much discomfort due to lack of service that considers them. Thus, this research intended to ease the discomfort regarding the application service use when hearing-impaired people use cultural facilities and understand the user request for cultural facility application development considering hearing-impaired people through user survey in order to remove the obstacles. For the research method, fist, literature was studied regarding the understanding and factors of user's experience and features of hearing-impaired people. Second, through the case of cultural art experience application development, observance level was evaluated based on the guidelines of mobile application accessibility, section 5 of 32 articles of information structure analysis and Framework on National Informatization. Third,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the college students who are deaf belonging to the Korean deaf undergraduates association and based on its results, modeling was done for more detailed understanding about users. Fourth, for observation investigation, 4 representative users among hearing-impaired people and 2 people without disabilities were selected and had usability test. Final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found in the research above, hearing-impaired people were classified into 3 types and user's claims that will be referred upon application development considering the deafs were synthesized and suggested. User's claims resulted include sign language image, same time provision of caption, simplification of information structure, visual and tactual feedback provision regarding the sound and voice, design provision through familiar media.

목차
1. 서론
  1.1. 연구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고찰
  2.1. 청각장애인의 특성
  2.2. 사용자 경험의 개념 및 요소
  2.3. 선행연구 문헌 조사

3. 국내 문화예술체험 앱 사례 분석
  3.1. 서울시립미술관 전시도슨팅
  3.2. 대구 미술관 스마트관람안내시스템
  3.3. 국립중앙박물관 스마트 큐레이터
  3.4. 모란미술관

4. 퍼소나 모델링 및 사용자 요구사항 조사
  4.1. 설문조사를 통한 퍼소나 모델링
  4.2. 포커스그룹인터뷰 내용 및 결과
  4.3. 사용성 테스트 및 결과
  4.4. 사용자 요구사항 종합

5. 결론 및 금후연구과제

참고문헌
저자
  • 김기원(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 Kim, Ki Won 주 저자
  • 고영준(서울과학기술대학교 디자인학과) | Ko, Young Jun 교신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