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선교적 교회론의 과제에 관한 통합적 고찰 KCI 등재

Holistic Study on the Task of Missional Church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6178
  • DOIhttps://doi.org/10.14493/ksoms.2015.2.24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400원
선교신학 (Theology of Mission)
한국선교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ission Studies)
초록

근 들어 한국 선교학계에서 가장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주제중 하나가 선교적 교회론과 그것을 적용한 선교적 교회에 관한 것으로서이에 대한 많은 연구결과물들이 쏟아져 나온 상황이다. 현재의 상황에서는 이들 연구물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신학적인 선교적 교회론과 실천적 선교적 교회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전체적인 문제점들과 이에서파생되는 과제들을 정리해 봄으로써 앞으로 선교적 교회론의 논의가나아가야 할 방향을 바로 잡는 것이 시급한 일인 것으로 사료된다.
선교적 교회론과 선교지향적 교회에 관한 논의에서는 크게 신학적인 과제와 실천적인 과제로 대별하여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신학적과제에서는 선교적 교회론에 관한 연구가 주로 에큐메니컬 진영에서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파생되는 과제들이다. 여기에는 세 가지핵심적인 문제점이 존재하는데 첫째, 교회 내적 과제로서 선교적 교회론 논의가 광범위하게는 교회론(신학 혹은 이론)에 관한 논의인지, 아니면 선교가 교회의 기능(실천) 중 중심적 위치를 차지해야 한다는 것인지에 관한 문제가 핵심논점 중 하나다. 교회의 실천적 방향의 문제일 경우에는 기존의 교회론을 수정할 필요가 없으나, 교회론에관한 문제일 경우 교회론 전반을 고쳐야 하는 지극히 난해한 과제가 남게 된다. 둘째, 일단 선교적 교회론이 성경적이고도 바른 교회론이라 고 한다면 선교적 교회론에서 신학적 방향성에서 파생되는 합의성의도출에 관한 문제가 대두될 것이다. 신학적으로 자유주의적 성향을 지닌 에큐메니컬 선교신학을 한국교회의 주종을 형성하고 있는 보수주의적 교회현장에 적용가능한지에 대한 과제이다. 세 번째로는 에큐메니컬 선교신학에서 지향하는 ‘세계내적 존재’로서의 교회에 대한 관점이‘교회내적 존재’로 자신을 규정하고 있는 교회 내의 보수주의적 성향을 어떻게 극복가능한지에 관한 과제이다. 이와 연관된 것으로서 세계내에서의 하나님의 직접적인 활동을 강조하는 에큐메니컬 신학이 과연 하나님께서 교회를 통해 세상에 일하신다는 신념을 지닌 현실의 한국교회에게 얼마만큼 호소력을 지닐 수 있는지에 관한 과제이다.
실천적 과제로서는 의식변화의 과제로서 여기에는 먼저 신학교육 을 통한 목회자의 의식변화가 우선적인 과제로 떠오른다. 교회구성원들 의 의식변화는 이미 길들여진 타성으로 인해 변화되기 매우 힘든 문제이다. 그러나 리더로서의 목회자의 의식이 변화되면 교회구성원들의의식변화는 보다 용이하게 변화될 가능성을 지닐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선교적 교회가 되기 위해서는 구조적, 실천적 과제가 따른다.기존의 구조와 교회의 선교적 실천의 방향성을 바꾸는 과제로서 교회의정체성인 거룩성과 세속성의 균형을 이루어야하고 선교와 예배, 교제의균형을 지닐 수 있어야 한다.

Recently, one of the most popular and frequent subjects in missiological society is ‘missional eccelesiology’ and, its following theme, missional church. Therefore,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summarize those studies and suggesting its following tasks for establishing missionary church in practice.
There are two main tasks in the study of missional church: one is theological task, and another is practical one. First subject of theological task is whether it is a task of defining and constructing a new ecclessiology or a task of establishing mission-oriented church. Up to now, the task of missional ecclesiology might seem to be theological issue. If it is ecclessiological task, it has a long way to found its theological basis. If it is directing and changing church on its missionary nature, the essence of the church, it might be relatively easy one. Second, since the researchers on the study of missional church are mostly ecumenical theologians, it is doubtful for Korean conservative Christians to accept results of their studies. Scholars have to have their results to satisfy Bible-loving conservative Korean Christians. Though ecumenical theologians and missiologians are seeking world-oriented theology, evangelical ones are persuing church- oriented theology and missiology.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wo kind of researchers to work together and have results on their consensus.
There are also practical tasks of the subject on missional church, because theology has to be applied in present church situation. First one of the practical tasks is conceptual one, so to speak, changing the theology of church members and their minds into those of missional ecclesiology and missional church. In achieving this goal, changing mentality of church leader is the most important task. Changing structure and orientation of tradition church into missional church is another difficult task to be overcome.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선교적 교회론의 전개와 그 논점
  1. 선교적 교회론의 시작과 핵심 논점: 교회의 본질
  2. 현대 선교적 교회론의 전개와 내용: 교회론의 본질
 III. 선교적 교회론의 신학적 과제
  1. 교회 내적 과제: 교회론의 문제(이론) vs. 교회의 방향성와실천문제(실천)
  2. 세계와의 관계문제: 에큐메니컬 vs. 에반젤리컬
  3. 선교의 내용에 관한 과제
 IV. 선교적 교회론의 실천적 과제
  1. 의식변화의 과제
  2. 리더십의 과제
  3. 구조적, 실천적 과제
 V. 결 론
 Abstract
저자
  • 신경규(고신대학교, 선교학) | Kyung Kyu Shin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