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일본 제품디자인을 통한 「문화상품 다움」 디자인 연구 KCI 등재

The study of "quality of cultural products" through Japanese products desig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628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일본은 ‘네오 재패니스크(Neo Japanesque)’ 전략을 활용한 상품 및 공간 100선을 2006년 발표했다. ‘일본다움’을 강조하는 전략으로 패션 · 디자인 · 자동차 · 테마파크 · 문화상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제품이나 공간을 통한 일본문화의 우수성을 홍보하기 위한 정책이다. 상품에서 문화적 이미지를 표면적으로 입히는 시대에서 벗어나, 일상 제품을 통한 고유문화나 민족의 우수성을 홍보하기 위한 전략이다. 전근대적인 문화상품에 대한 인식과 유통구조, 낙후한 디자인, 마케팅 전략의 부재에서 벗어나 문화상품을 통한 우리 고유문화의 재발견을 통해, 가치를 높여 갈 문화상품 산업정책이 필요하다. 특히 지방정부가 전문 디자이너와 경영자, 지역의 학자 등 ‘문화연대’를 통해 지역의 가치와 도시의 브랜드를 높일 수 있도록 지원과 다양한 기회를 만들어 가야 한다. 상품이나 공간에 스토리텔링과 독특한 문화의 거리를 조성하고 상설 전시·판매와 프리마켓 운영과 지역 축제와 함께 연계 하는 모델이 있어야 한다. 제품이나 공간 등 생활 속에서 문화의 우수성을 느낄 수 있도록 문화상품 디자인과 축제나 박람회를 통한 다양한 문화 체험 및 홍보 효과가 극대화 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 고유의 문화를 자연스럽게 체험 할 수 있는 ‘문화상품다움’를 통해 자긍심과 홍보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모델이 있어야 한다.

The 100 selection from goods and spaces utilized strategy of "Neo Japanesque", Japan announced in 2006. "Neo Japanesque" is strategy that emphasizes Japanese quality of various fields such as fashion, design, cars, theme parks, cultural products. It is a policy of promotion for excellence in Japanese Culture through goods and spaces. This strategy is that promote the nation's unique culture and excellence of the ethnic throughout the era of perfunctory cultural images on goods. A cultural goods industrial policy, which adds value to go through rediscovery our own culture and stay away from past cognitions, distribution structure, outdated design and absent of marketing strategies. In particular, local government should supports and give chances for professional craft designers and managers, scholars as a local cultural solidarity. Need an associated model which is create unique cultural roads on spaces and combine storytelling with goods operate a permanent exhibition and open flea markets as well as regional festivals. "quality of cultural design" and festivals in ordinary life improve the effect for variety of cultural experiences and promotions. The model should be maximized through the 'quality of cultural products' that naturally organized in our own culture.

목차
1. 서론
  1.1. 연구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문화상품의 이론적 고찰
  2.1. 문화상품 디자인의 개념
  2.2. 문화상품 디자인의 특성

3. 일본 제품 디자인 특징
  3.1. 문화상품 디자인
  3.2. 제품 디자인 특징

4. 문화상품 디자인 인식과 접근
  4.1. 문화상품 디자인 인식
  4.2. 디자인 정책적 접근

5. 결론
  5.1. 문화상품 다움
  5.2. 기대효과 및 향후 과제

참고문헌
저자
  • 유홍택(백석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겸임교수) | Yoo, Hong Tae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