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공익광고에 나타나는 공포소구의 색조 분석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tone of fear appeals in public service advertisement(PS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628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인간의 공포를 자극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의 설득력을 높이는 공포소구는 건강이나 재산 등의 손실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품이나 공익광고에서 등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공익광고의 시각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인 중에서도 색조는 텍스트보다 더 강하게 수용자에게 소구하여 공익광고의 목적을 더욱 구체화한다. 그리고 공익광고에서 색조는 인간의 감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강력한 메시지를 주는 역할을 해왔다.
본 논문에서는 계몽적인 의사전달의 수단인 공익광고의 효과적인 수용자 인식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활용되고 있는 공포소구의 공익광고의 색조에 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공포소구의 이론적 배경에서 거론되었던 의식변화를 크게 유도하는 강한 공포소구는 인간의 고통과 위험을 상징하는 고채도의 빨강색 보다는 빛의 차단을 통해 외부와의 폐쇄감을 유도하고 위험상황에 대한 예측 방어를 차단하는 무채색 계열의 컬러가 효과적으로 강한 공포감을 전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Over the past decade, persuasion through fear appeal has increased dramatically, and has been used many times in products and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in order to protect the health and property of the customers. The tone among sources for comprising visual images in the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appeals to the customer more strongly than text, and it has given shape to the purpose of the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Furthermore, the tone in the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has been a role model in exerting a strong influence and giving a powerful message on human emotion.
This paper evaluates the tone in the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use of the Fear Appeal, which is used for leading perception modification of the customer by the public service advertisers and as a method of enlightening expression of opinion. As a result, the Strong Fear Appeal proves a leading change of awareness in theoretical background, showing that achromatic colors convey fear more effectively than red colors, the traditional symbol of human fear and danger; the achromatic colors may give a sense of closure from outside by blocking light and predicting dangerous situation.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내용과 방법

2. 이론적 고찰
  2.1. 공포소구의 개요
  2.2. 공포소구의 설득효과
  2.3. 공익광고의 색조 분석

3. 공포소구 공익광고 색조 분석
  3.1. 공포소구 공익광고의 색조 사례분석
  3.2. 자극물에 대한 공포효과 평가 및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유현배(나사렛대학교 캐릭터디자인학부 교수) | You, Hyun B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