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온실재배 오이의 생육단계별 목화진딧물의 주내 분포 특성에 기초한 축차표본조사법 KCI 등재

Sequential Sampling Plan for Aphis gossypii (Hemiptera: Aphididae) based on Its Intra-plant Distribution Patterns in Greenhouse Cucumber at Different Growth Stag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924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온실재배 오이에 발생하는 목화진딧물의 발생밀도를 추정하는 표본조사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2개년(2013-2014년) 동안 주 전체의 잎별 발생밀도를 조사하였다. 목화진딧물의 공간분포 특성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Taylor’s power law(TPL)와 Iwao’s patchiness regression (IPR)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분포특성을 조사하였다. 목화진딧물의 주 전체 밀도를 대표할 수 있는 표본단위를 일정 잎 위치의 평균밀도와 주 전체의 잎당 평균밀도와의 일반선형 회귀식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적정 표본단위는 오이 생육기에 따라 달랐는데, 총엽수가 9매 미만일 경우 2매(중위 엽과 최하위+1번째 엽), 그 이상인 경우에는 3매(위로부터 4번째, 7번째, 최하위+1번째 엽)를 조사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오이에서 목화진딧물의 공간분포 특성은 TPL과 IPR의 기울기가 모두 “1”보다 커 집중분포를 하고 있었으며, 진딧물의 평균-분산 관계를 TPL이 IPR보다 더 잘 설명하 였다. TPL의 기울기와 절편은 연차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Green과 Kuno의 식을 이용하여 고정 정확도(D) 수준에서의 축차표본조사법을 개발 하였다. 목화진딧물의 축차표본조사법은 Green의 방법이 Kuno에 비해 더 효율적이었다. 목화진딧물의 일정 평균밀도를 추정하기 위해 필요한 조사 주수는 D값과 잎당 평균밀도가 낮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표본조사를 중지할 수 있는 누적 진딧물 수는 D값이 낮을수록, 조사 주수가 적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목화진딧물 잎당 10마리의 밀도를 추정하기 위해 필요한 조사 주수는 13주이었으며, 이 때 조사를 중지하기 위한 누적 진딧물수는 131마리이었다.

This study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a method for monitoring Aphis gossypii in greenhouse cucumber fields that was used during 2013 and 2014. The dispersion pattern of A. gossypii was determined by commonly used methods: Taylor’s power law (TPL) and Iwao’s patchiness regression (IPR). The sample unit was determined by linear regression analysis between mean density of sample unit versus whole plant. The optimum sample unit for different plant growth stages was two leaves (median and the lowest + 1 leaf) when the total number of leaves was less than nine, and three leaves (4th, 7th from canopy, and the lowest +1 leaf) when the total number of leaves was greater than nine. A. gossypii showed an aggregated distribution pattern, as the slopes of both TPL and IPR lines were greater than 1. TPL provided a better description of the mean-variance relationship than did IPR. The slopes and intercepts of TPL and IPR from leaf samples did not differ between the surveyed years. Fixed precision levels (D) for a sequential sampling plan were developed using Green’s and Kuno’s equations based on the number of aphid in a leaf sample. Green’s method was more efficient than Kuno’s to stop sampling. The number of samples needed to estimate the density of A. gossypii increased at higher D levels and lower mean densities. The cumulative number of aphids needed to stop sampling increased at higher D levels and with fewer plants sampled. Thus to estimate 10 aphids per leaf, 13 plants needed to be sampled, and the cumulative number of aphids to stop sampling was 131.

목차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Literature Cited
저자
  • 정부근(경남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과) | Bu-Keun Chung
  • 송정흡(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과) | Jeong-Heub Song Corresponding Author
  • 이흥수(경남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과) | Heung-Su Lee
  • 최병렬(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Byeong-Ryul 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