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통즙장 - 전통 즙장에 대한 연구 - KCI 등재

Traditional Jeupjang - A Study on Traditional Jeupjang (Succulent Jang)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930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한국식품영양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한국식품영양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초록

즙장은 중국의 조리서에 수록되지 않은 순수 우리나라 속 성장으로 많은 종류가 있었으나, 보존성 문제로 대부분 맥이 끊겨서 전해지지 않기 때문에 조선시대 및 1950년 이전 조리 서의 즙장을 조사하여 밝혔다. 그 중 가지와 오이 등의 채소를 넣는 즙장은 34 가지, 넣지 않는 즙장은 9가지였다. 즙장의 주 재료는 콩과 밀기울이며, 보리, 메밀도 쓰였다. 즙장메주는 빨 리 뜨게 하기 위하여 일반메주보다 작게 만들었는데, 작은 알 형태가 가장 많고, 납작하거나 둥근 칼자루 형태도 있다. 즙장 은 메주가루를 소금과 물로 이겨서 담그는 것이 가장 많다. 함께 쓰는 것으로는 누룩가루, 밀기울, 밀가루, 술, 말장, 간장, 엿기름, 탁주 등이 있다. 즙장메주는 용기에 넣어서 띄우는 것 도 있고, 넣지 않고 띄우는 것도 있는데, 용기는 섬과 둥구미 가 가장 많고, 버드나무그릇, 치룽, 독도 사용하며, 즙장메주 의 깔개 및 덮개는 닥나무 잎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그 외에 짚, 북나무잎, 뽕잎, 가랑잎, 솔잎, 콩잎도 사용한다. 즙장은 다 른 장과 달리 말똥, 두엄, 풀더미에 묻혀서 이들이 썩으면서 내는 60~65℃의 열로 가열하여 숙성시킨다. 즙장은 맥이 끊기 거나 쩜장, 지례장, 무장, 빠금장, 막장, 집장, 토장 등의 형태 로도 변하였다. 이들 장은 즙장에서 사용하지 않는 쌀, 엿기 름, 고춧가루 등을 사용하고 있는 점에서 다르다.

In the past, Korea had many kinds of jeupjang (succulent jang), a rapidly maturing original Korean jang (fermented soybean paste) of which there is no record in Chinese cookbooks. However, this local delicacy has almost been forgotten. Therefore, we looked for information about jeupjang in cookbooks written prior to the Joseon Dynasty in Korea (1392~1910) and in the 1950s. Among the recipes, there were 34 jeupjangs prepared with vegetables, such as eggplant and cucumber, and 9 without. The main ingredients of jeupjang are soybean, bran (wheat crust), and barley, and wild wheat is also used. Jeupjang is made in small portions to expedite its rapid maturation, but the most common form is egg-shaped, and there is also a flat or round, hilt-shaped version. In most cases, jeupjang consists of a mixture of meju powder (moldy soybean), water, and salt. Other ingredients can include nuruk (moldy bran), bran, wheat flour, an alcoholic beverage, maljang (dried fermented soybeans), ganjang (liquid soy sauce), malt, and takju (Korean murky wine). Jeupjang meju can be fermented in a vessel, most widely in baskets made of straw (sum and dungumi) or willow or interwoven twigs (chirung), but jars can also be used. The leaves of the paper mulberry are generally used for the mat and cover, but straw or leaves of the sumac, mulberry, or pine tree, soy, and fallen leaves are also used. Unlike other jangs, jeupjang is matured at 60℃ to 65℃, using heat emitted from the decomposition of horse dung, haystacks, or manure. Jeupjang became defunct or was transformed into jeomjang, jiraejang, mujang, paggeumjang, makjang, jipjang, and tojang. These jangs differ from jeupjang in that they use rice, malt, or hot pepper powder.

목차
서론
연구 대상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References
저자
  • 안용근(충청대학 식품영양외식학부) | Yong-Geun Ann
  • 문영자(우송정보대학 식품영양조리학부) | Young-Ja Mo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