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상황인식(Situation Awareness)에 기반한 운전능력 측정방법에 관한 체계적 고찰 KCI 등재

A Systematic Review of Driving Performance Measurement Based on Situation Awarenes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973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고찰을 통해 상황인식에 기반한 운전능력 측정방법을 알아봄으로써 운전재활 의 임상영역에서 운전 상황에 기반한 평가도구 제작 시 기초자료로 삼고자 한다.

연구방법 : 전자 데이터 베이스인 Science Direct, PubMed, NDSL을 사용하였고 주요검색 용어로 ‘driving’, ‘situation awareness’, ‘measurement OR assessment’를 사용하였다.

결과 : 운전 상황인식 능력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분석을 한 결과 정지기법(freeze method, 50.0%), 구어분 석방법(verbal probe technique, 20.0%), 운전에러측정(driving error, 10.0%), 운전 행위에 대한 점검 (driving behavior checklist, 10.0%)을 통해 운전 중 상황인식능력을 측정하였다. 운전자의 운전 상황인식 능력 측정에 적용된 도구를 분석한 결과 운전시뮬레이터(driving simulator, 50.0%), 실제 도로주행 코스 (on-road course, 20.0%), 실제 도로주행차량에 시각적 탐지 장치 장착(on-road vehicle with vidual detect task, 10.0%), 모션 시스템이 장착된 운전 시뮬레이터(driving simulator with motion system, 10.0%), 운전 상황 장면(scene)을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만들어 컴퓨터 화면으로 구연하는 방법(computer based program, 10.0%)을 적용하였다.

결론 : 이번 연구를 통해 운전 상황에 대해 이해하고 예측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것이 안전운전을 위해 중 요함을 알 수 있었고, 운전재활 임상영역에서도 다양한 운전 상황을 기반으로 하는 상황인식 기반 운전 능력 평가 및 훈련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주제어 : 상황인식, 운전능력,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Driving Performance Measurement Based on Situation Awareness Park,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various methods for measuring the Situation Awareness (SA) based driving ability through a systematic review.

Methods : Previous studies were found in an electronic database (e.g., Science Direct, PubMed, NDSL). The keyword search terms were ‘driving’, ‘situation awareness’, ‘measurement OR assessment’.

Results : The methods used for measuring the driving-related situation awareness were presented, including the freeze method (50.0%), verbal probe technique (20.0%), driving error (10.0%), and driving behavior checklist (10.0%). The tools used for the driving situation awareness measurement of drivers were presented, such as a driving simulator (50.0%), on-road course (20.0%), on-road vehicle with visual detection task (10.0%), a driving simulator with a motion system (10.0%), and a computer-based driving scene (10.0%).

Conclusion : Through this systematic review, we found that a majority of studies were concerned with the driving situation for safe driving. This fact suggests that we have to develop new SA based driving measurements and tools for driving rehabilitation practice.

저자
  • 박명옥(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작업치료학과) | Park, Myoung-Ok
  • 정봉근(순천향대학교 의료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Jung, Bong-Keu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