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baek-heon Jeong, Jae-gyu's Learning Spirit & [Dae-hak] Interpretation
노백헌 정재규의 학문정신과 대학 해석
이 글은 鄭載圭(1843-1911)의 학문정신과 대학 해석에 대해 살펴본 것으 로, 그 요지는 다음과 같다. 정재규는 인륜이 무너져 금수의 세상이 되는 것을 가장 두려워했기 때문에 守正主義를 강조했고 衛正斥邪를 부르짖었다. 그는 도 를 지키기 위해 죽음을 불사하는 守死善道意識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를 보전 하기 위해 讀書種子를 양성하는 데 심혈을 기울였다. 정재규의 학문방법은 독 서를 통한 지식을 실생활에서 체찰하는 隨事省察과 자신의 몸에 돌이켜 실천하 는 反身踐實로 요약된다. 이는 分殊 속에서 理를 구현하려 한 주리론적 사유를 반영한 것이다. 정재규의 대학 해석 기본관점은 ‘新民도 明德 속의 일’로 보는 명명덕에 치 중한 해석과 팔조목 가운데 反身踐實에 해당하는 修身에 치중한 해석이다. 해 석의 주요 특징으로는, 1)反身踐實의 관점에서 誠意를 대학의 골자로 본 점, 2)「大學章句序」의 分節이 선유들의 설과 다르며 性․敎에 중점을 두어 성인의 가 르침을 따라 본성을 회복하는 일을 말한 것으로 본 것, 3)明德을 ‘天之明命’과 연관시켜 理로 보고, 心合理氣를 전제로 하되 心은 氣之精爽, 明德은 心之无妄 으로 보아 理主氣資의 입장에서 心 속에서 眞實无妄한 본체를 명덕으로 본 것, 4) 正心을 全體主宰處에서 照管하는 것으로 보아 장구의 ‘敬以直之’에 천착해 體까 지 말한 것으로 보는 설을 따르지 않고, 用의 측면만으로 본 것 등을 들 수 있다. 정재규의 대학은 해석을 경학사적 시각에서 보면, 주리론적 관점에서 明德 를 理로 보아 이에 치중해 해석한 것과 反身踐實의 관점에서 성의․정심에 치중 한 해석을 하면서 齊家 이하를 수신의 實事로 본 것이 시대적 변화에 대처한 그 의 새로운 해석성향이라 하겠다.
This article is a research for Jeong, Jae-kyu(鄭載圭, 1843-1911)'s learning spirit and his [Dae-hak] interpretation. It summarized as follows; Jeong, Jae-kyu emphasized the conservatism because he feared collapsing the traditional system to be a beastly world. He was ready to sacrifice himself to preserve his integrity(守死善道), and put his heart and soul into education to train the well-reading younger generation(讀書種子). His learning way, in a word, is the 'activism' after reading(反身踐實). It was a kind of reflection from his principle based thinking. For the Basic viewpoint of Jeong, Jae-kyu's [Dae-hak] interpretation, it is peculiar that he thought that 'sin-min'(新民) belong to 'myeongdeok'( 明德), so he paid attention to interpreted the word of 'su-sin'(修身) as 'reflection' and 'practice'(反身踐實). His interpretation features are, 1) 'Seong-eui'(誠意) is the main text of [Dae-hak] in the viewpoint of 'reflection' and 'practice'(反身踐實). 2) His [Dae-hak-jang-guseo]( 「大學章句序」) chapter division is differ from the former scholar's one because he thoyght that its essence meaning is the recovery of one's mind. 3) He regarded that 'myeong-deok'(明德) as 'ri'(理) which related with 'cheon-ji-myeong-myeong'(天之明命). So he concluded that 'sim'(心) is a sort of 'gi-ji-jeong-san'(氣之精爽) and 'myeongdeok'( 明德) is 'sim-ji-mu-mang'(心之无妄) as the essence of 'myeong-deok'. 4) He thought that 'jeong-sim'() is a kind of observer in the whole world, so emphasized the meaning of 'yong'(用) not including 'che'(體) of 'gyeong-i-jik-ji'(敬以直之). In the comprehensive viewpoint of academic history, his [Dae-hak] interpretation way of above 1) and 3) shows us a tendency that he adapt himself to the change in his surroun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