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俛宇 郭鍾錫의 明德說 論爭 - 李承熙․許愈․金鎭祜와의 논쟁을 중심으로 - KCI 등재

The Argument about Myun-woo Gwak, Jong-seok's Myung-deok Theory Focussing on the Argument among Yi, Seung-hee & Heo, Yu & Kim, Jin-woo

면우 곽종석의 명덕설 논쟁 - 이승희․허유․김진호와의 논쟁을 중심으로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35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이 글은 俛宇 郭鍾錫(1846-1919)의 󰡔大學󰡕 해석 중 특히 ‘明德’에 대한 해석 및 그와 관련해 다른 사람과 논쟁한 것을 중심으로 그 설의 특징과 의미를 논한 것이다. ‘明德’에 대해, 기호학파 洛論은 本然之氣로 보고, 湖論은 心의 光明處 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는데, 이는 모두 心卽氣의 입장을 전제로 한 것이다. 반 면 嶺南學派는 朱子가 心統性情으로 해석한 것에 근거하여 心合理氣의 관점에 서 理를 위주로 해석하였다. 19세기 퇴계학파의 정맥을 이은 柳致明은 명덕을 氣淸理徹이라 하였는데, 그 의 문인 朴致馥은 ‘주자 이래 相傳한 嫡訣이라’ 하였다. 유치명의 견해는 명덕을 心合理氣의 관점에서 본 것이다. 그런데 李震相의 心卽理를 위주로 하는 학자 들은 氣를 겸하여 논하는 것에 반대하였다. 이런 점에서 郭鍾錫의 설도 마찬가 지이다. 그런데 곽종석은 󰡔대학󰡕 삼강령․팔조목의 논의구조에 나아가 明德과 心을 엄 격히 다른 것으로 변별함으로써 하늘에서 얻은 心之本體를 가리킬 뿐만 아니 라, 行事를 통해 얻어지는 孝忠恭重 등까지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 점이 스승 이진상의 설 및 동문들의 설과 변별되는 가장 특징적인 점으로, 동문 들과 논쟁한 핵심 사안이었다. 그는 명덕을 선험적인 본원은 물론 후천적인 경 험을 모두 아우르는 것으로 보았는데, 이는 丁若鏞이 후천적 경험만을 중시한 것과도 일정 부분 연관성을 갖는다. 대체로 19세기 主理論者들이 主宰性을 강조하기 위해 본체․본원을 강조하고 있는데 비해, 곽종석은 행사를 얻어지는 實得을 모두 명덕에 포함시키고 있어 主宰性과 아울러 實用性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 다른 학자들과 변별되는 점이 다. 이런 점에서 그의 체용론은 본체에 치중하지 않고 該體用의 논리를 갖고 있 다 하겠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features and significances about the interpretation about 'the theory of myung-deok(明德)' in [Dae-hak(󰡔大 學󰡕)] by Myun-woo(俛宇) Gwak, Jong-seok(郭鍾錫, 1846-1919) and its argument with other scholars. At the matter of 'myeong-deok(明 德)' in Gi-ho School(畿湖學派), there were two points of view that one is 'bon-yeon-ji-gi(本然之氣)' by the branch of 'Nak-ron(洛論)', and the other one is 'the hi-right of mind(心光明處)' by the branch of 'Ho-ron (湖論)', both two viewpoints are on the same base of 'the theory of sim-jeuk-gi(心卽氣)'. However, at the standpoint of Yeong-nam School(嶺南學派), they always sticked to the viewpoint of 'ri(理)' on the base of 'sim-hapri- gi(心合理氣) theory' whenever they interpret 'myeong-deok', Yu, Chi-myung(柳致明) who was one of the orthodoxy successor of Toe-gye School(退溪學派) in 19th Century said that 'myeong-deok' is 'gi-cheong-ri-cheol(氣淸理徹)', and his pupil Park, Chi-bok(朴致馥) said that it was the orthodox conclusion since Ju-ja(朱子) about this comment. The Yu, Chi-myung's opinion is on the base of 'sim-hap-ri-gi(心合 理氣)' theory in Yeong-nam School(嶺南學派). But a bunch of Gi-ho School scholar who followed the theory of Yi, Jin-sang(李震相)'s sim-jeuk-ri(心卽理) theory were opposed to discuss 'myeong-deok' including 'gi(氣)', so Gwak, Jong-seok's insistence was same in this point. But Gwak, Jong-seok strictly discriminated 'myeong-deok' from 'mind(心)' going ahead to the structure of 'sam-gang-ryeon(三綱領)'․ 'pal-jo-mok(八條目)' in [Dae-hak], and he interpreted 'myeong-deok' as it referred to not only 'sim-ji-bon-che(心之本體)' from the heaven but also 'chung-hyo-gong-jung(孝忠恭重)' from performing a work. This is the most outstanding point and the kernel argument of problem to his theory that differ from his mater YI, Jin-sang or his pupils. He regarded 'myeong-deok(明德)' as not only a transcendental cognition but also an acquired experience, so it has a certain relation with the fact that Jeong, Yak-yong(丁若鏞) only paid attention to an acquired experiences. Comparing with that the scholar in 19th Century, he emphasized a substance or origin to support the concept of superintendence of God(主宰性) in general. It is very peculiar because Gwak, Jong-seok emphasized both the concept of superintendence of God and the practicality(實用性). Such being this case, it can be definite that his theory of che-yong(體用論) do not leaned toward a substance or origin.

목차
Ⅰ. 머리말
Ⅱ. 문제의 소재와 논쟁의 발단
1. 문제의 소재
2. 논쟁의 발단
Ⅲ. 논쟁의 전개
1. 許愈와의 논쟁
2. 金鎭祜와의 논쟁
Ⅳ. 맺음말
저자
  • 崔錫起(경상대 한문학과 교수, 남명학연구소 책임연구원) | 최석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