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5

        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고는 주역(周易)의 ‘화수미제(水火未濟)’와 사공도의 『이십사시품』중 ‘유동(流動)’을 중심으로, 동양 철학의 변화와 조화라는 핵심 개념이 문인화를 비롯한 문화예술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해석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주역은 자연과 인간, 그리고 우주 원리를 상징적 언어로 설명하며, 괘(卦)와 효(爻) 의 구조를 통해 변화의 철학을 전개한다. 특히, ‘화수미제’는 불 (火)과 물(水)이라는 대립적 요소가 조화를 이루지 못한 상태를 상징하며, 미완성과 긴장 속에서 창조적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십사시품』의 마지막 품격인 ‘유동’은 물의 흐름을 통해 지 속적 순환과 조화를 강조하며, 동양 철학이 문화예술 전반에서 미학적 가치를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 본 연구는 주역의 상(象), 괘(卦), 효(爻)의 해석 방법론을 기 반으로, ‘화수미제’와 '유동'의 철학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문인화를 포함한 동양 문화예술에서 변 화와 조화가 창작 과정과 미학적 해석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고 찰하였다. 이와 함께, 본 논문은 동기창의 ‘산수도’와 김정희의 ‘세한도’를 분석하고 윤선도의 시 ‘오우가’를 결합하여 동양 철 학의 변화와 조화의 원리가 문인화 창작 과정에서 구현되는 의 미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주역의 철학적 원리와 『이십사시품』의 미학적 가치를 문인화 및 동양 문화예술의 창작에 재해석하여, 현대 문화예술 창작에서 새로운 창조적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 다. 향후 연구는 동양 철학적 원리가 문인화를 포함한 문화예 술 전반에 어떻게 확장 적용될 수 있는지 탐구하여, 보다 폭넓 은 학문적 성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5,800원
        2.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세설신어는 東漢 말기부터 東晉 말기까지 실존했던 인물들의 일화를 담아 문학 사적으로 ‘세설체 문학’의 비조라는 지위를 얻었을 뿐만 아니라, 正史에 기록되지 않 은 소소한 내용도 담고 있어 중요한 사료로서의 가치도 지니고 있다. 본고에서는 작 품 속에 구사된 언어들에 주목한다. 왜냐하면 그러한 언어들은 그 시대를 살았던 사 람들의 사고나 문화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유의미한 자료이기 때문이다. 본문에서는 세설신어에 수록된 일화 가운데 특히 당시 사람들의 언어 행태와 관련된 ‘險談’, ‘能言’, ‘典故’를 중심으로 시대상과 가치관을 조명한다. 그러한 언어적 특징은 하나의 전통과 기준이 되어 현재에도 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의 고찰 은 단순한 언어를 통한 위진 시기의 사회 현상 및 의미를 파악하는 것일 뿐만 아니 라, 우리의 현재를 이해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는 것이 될 것이다.
        5,400원
        3.
        202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몽천자(牖蒙千字)󰡕는 한국개신교선교사 게일(James Scarth Gale(한국명 : 奇一), 1863-1937)과 그의 조사(pundit) 이창직(李昌稙, 1866-1936)이 함께 편찬한 경신 학교와 정신여학교의 교과서이다. 이 책은 총 4권으로 구성된 교재다. 여기에 실린 내용 은 자연과학, 사회과학, 서양의 역사, 서양의 인물, 서양의 문학, 우리의 한문고전에 관한 것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더불어 개화기에 우리의 어문 생활에 필요하다고 생각한 한자 와 관련 정보, 한자어, 국한문, 한문에 관한 지식을 정식 학교 교육을 받는 학생들에게 알 려 주기 위하여 편찬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유몽천자󰡕 전집의 체계와 구성, 전 집을 구성하는 3가지 문체 유형, 그리고 전집에 새겨져 있는 개신교선교사의 문체실험의 역사를 고찰했다.
        4,900원
        4.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has been a consensus among academic circles that the Ten-Line Edition of Da Guang Yi Hui Yu Pian from the Imperial House Library of Japan is “Song Dynasty carved and Yuan Dynasty revised”, but each scholar lacks a detailed judgment basis. The investigation of the broken line of the column frame and the engraving artist’s name as well as the proofreading with the same version system of Song version (remaining pages) from Kanazawa Bunko, can provide a partial basis for where is “Song carving” and where is “Yuan repair” in the Archives and Mausolea Department collection, and correct the mistakes made by predecessors in the judgment process. The vulgar character in the name of the engraving artist advanced the appearance of liu (刘) in paper documents to the middle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5,500원
        5.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복건성 장주시 동산에 위치한 銅陵關帝廟는 중국 4대 관제묘 중 하나로 꼽힌다. 동산은 중원으로부터 한참 떨어진 곳이며, 관우 생전 그 어떤 접점도 없었다. 하지만 이곳은 중원문화, 민남문화, 해양문화가 서로 융합하여 다채롭고 독특한 새로운 관우 문화를 자랑한다. 본고는 福建省 漳州 東山에 관우문화가 유입되고 정착되는 과정 및 그 특징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관우문화의 다양성을 도출하고 중국 동남 연해지역의 문화를 이해하는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5,500원
        7.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two species, Upogebia major (de Haan 1841) and Austinogebia wuhsienweni (Yu 1931), of the female mud shrimp from the west coast of Korea was investigated using histology. The collected samples were divided into adult and juvenile groups to understand the mature period of age class based on the carapace length (CL). Juvenile Upogebia (CL<25 mm) were mostly inactive gonad with early (62%-100%) and late (10%-38%) development stages during the year, whereas the adult shrimp showed a seasonal pattern of gonad maturation (CL≥25 mm). The early and late developmental stages of oocytes were observed in adult Upogebia from November to March and mature eggs appeared from April to October. In adult Ausitnogebia (CL≥15 mm), fully grown oocytes were consistently observed during the study period, in which the ripe stage was found between January and June. On the other hand, most juvenile Austinogebia (CL<15 mm) maintained an immature state in the gonad. Both species of the mud shrimp reproduced from ovigerous females in the adult population and their egg-bearing period was distinguished from January to April for U. major and from July to September for A. wuhsienweni.
        4,000원
        9.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Ko Yu-seop’s perception of ‘contemporary emerging architecture’ in the West by investigating into his two early 1930s’ articles: ‘On Emerging Arts, Particularly the Cutting-edge Architecture’ (Jan. 1931) and ‘Russian Architecture’ (Dec. 1932).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it is argued that he attempted to systematically describe his contemporary architecture, from the concept of ‘modern’ to representative architectural theories, and his suggested reference list is considered meaningful since it illustrates one aspect of how modern architectural knowledge was transferred to Korea at that time. As his limitation, however, it should be pointed out that a significant part of his writing was a verbatim translation of the Japanese critic Takao Itagaki’s New Art Acquisition (1930). Nevertheless, the two articles give us a valuable understanding related to his socialist tendency, his preferred commune-type city-cum-architecture that reflects the ideology, etc. Hereafter, this understanding needs to be further discussed in both study areas of art history and architectural history in Korea.
        4,300원
        10.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is still a controversy in the academic community as to whether the author of “JouPuTuan” (《肉蒲團》) is Li Yu, the majority of scholars believe that its author is Li Yu, but some other scholars don’t agree, they think it’s author can not be Li Yu. This article firstly sorted out and summarized different representative views, and then compared the major surviving editions of “JouPuTuan”, pointed out that the “The wooden movable type edition” (木活字本) was not the earliest surviving edition of “JouPuTuan”, so the view that the author of “JouPuTuan” is not Li Yu is not valid. Finally.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studies, this article has a further argued from the perspective of “Li Yu’s special words” (李漁特征詞) to prove that “JouPuTuan” is definitely the work of Li Yu.
        6,000원
        11.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the introduction of stupa, which has originated in India, to the Xinjiang Uyghur region and the features of the stupas in the Xinjiang Uyghur region in detail. This study examines the layout of the buildings in temple compounds and the types, structural elements, and construction methods of the stupas in the Xinjiang Uyghur region in particular by looking into the content of the Da Tang Xi Yu Ji and remaining stupas, which provide examples of stupas at the time. This study finds tha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dry deserts, stupas in Xinjiang Uyghur region, where assimilation between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is seen, were mostly made by pressing clay into a mold and had no interior spaces. Also, construction materials and techniques had been developed and improved in a way that enabled stupas to combat the challenging desert conditions. However, the stupas in this region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e wooden tower-like stupas discovered in central China(zhongyuan 中原). The shape of the dome of most stupas in Xinjiang Uyghur region was chosen under the influence of the Gandharan style. Some of the stupas in the region have taken the general forms of the wooden stupas and the others have taken many forms, from cylindrical drums to towers. Also, there have been forests of stupas and stupas similar in form to chaityas and stupas of Vajrayana. Such different forms were transformed and modified through regional history and it was related to the peoples and cultures that produced and used stupas. Stupas evolved into distinct forms in Xinjiang Uyghur region in this way.
        4,900원
        12.
        202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Yu (于)” and “Yu (於)” both exist in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while the frequency of usages are different, with same and different usages. This paper takes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During Shaoxi Period of Song Dynasty (The Twenty-Four Histories in Collection of Various Editions) as the research material, and investigates the usages of the words “Yu (于)” and “Yu (於)” in it, also referring to the other three editions of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and checking each other to clarify the words and usages. In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Yu (於)” appears 4544 times, “Yu (于)” appears 861 times, and the usage ratio is 5.28:1. “Yu (於)” is more widely and frequently used than “Yu (于)”. These two words are used most abundantly as prepositions. The prepositions “Yu (于)” and “Yu (於)” can both guide the complements of time and place, as well as elicit action objects and express passiveness. Additionally, in the three pairs of common phrases, the usages and meanings of the corresponding words are same. The difference is that the preposition “Yu (於)” has more plentiful usages and fixed usages of “Yushi (於是)” and “Zaiyu (在於)”, moreover, “Yu (於)” is often used after war verbs, and “Yu (于)” is rarely used. Furthermore, “Yu (於)” can be used as an interjection, and “Yu (于)” in proper nouns cannot be written as “Yu (於)”. It can be seen that, different from the pre-Qin period, the grammatical function of “Yu (於)” in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is much stronger than that of “Yu (于)”, which reflects the trend that the weakening of the usages of “Yu (于)” in the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while the function of “Yu (於)” is gradually becoming stronger. Besides, there are many usages preserved through “Yu (於)” from ancient Chinese to modern Chinese.
        8,100원
        14.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verb ‘Yu’, investigates from a synchronic and diachronic perspective,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sic meaning represented by the meanings of ‘give’ and ‘socialize with sb’. and the development and changes of semantics, and demonstrates them through diagrams. And also analyzeds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the semantic items of the verb ‘Yu’.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semantic relationship, we can give an explanation tha why the meaning of ‘Yu’ in the meaning of ‘together’ can be explained to ‘help’, ‘give’, ‘applaud’ and ‘socialize with sb.’ We think the result breaks through the limitations of previous research. This research also pays attention to the expansion of the semantic function of the verb ‘Yu’, especially the ‘introduce tool’ function and the “passive” function. Regarding the function of ‘introduce tool’, this article refers to the formula of “COMITATIVE tool case INSTRUMENT” in linguistic typology, and sorts out the meaning of ‘Yu’ from ‘accompany’ to ‘attachment’ and then to ‘utilization’, and at last develop to the ‘introduce tool’ function. Regarding the “passive” function, after specific analysis, the conclusion is that the “passive” function of ‘Yu’ comes from two development paths, one is induced by the meaning of ‘give’, and the other is induced by the meaning of ‘accompany’. The common point of the ‘passive’ function is that they have experienced ‘causative’ in the previous stage of passivity. The difference is that the ‘causative’ of the former approach comes from ‘give’, but the source of the latter way comes from ‘accompany’.
        5,400원
        15.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검여 유희강(1911-1976)은 북위 서풍으로 현대 한국서단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도한 서예가이다. 그는 전각에서도 두각을 나타냈지만 그의 전각작품을 심도있게 고찰한 논고는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검여의 유품 중에 전해지는 인장 실물과 그의 서화작품에서 확인되는 낙관의 인영을 총 정리하고 제작연대와 작 품성향을 분석해 다음과 같은 유의미한 내용을 도출해냈다. 첫째, 검여가 직접 새긴 인장은 33점 23세트로, 1952-1966년 사이에 집중되며, 1962년 검여서원 개설을 기점으로 전기와 후기로 나눌 수 있다. 본고에서는 검여 서화작품에서 20점 14세트의 인장을 새롭게 찾아내어 정리했다. 둘째, 전기는 등석여와 조지겸을 중심으로 청대 서가들의 전각을 두루 섭렵해 전각을 본격적으로 학습했으며, 후기는 오창석의 각풍에 주로 심취하면서도 금문과 한인의 자형 결구에 등 석여의 필세를 가미해 중후한 자신의 각풍을 구사하고 있다. 셋째, 검여의 전각돌은 대부분 한국 해남석을 사용했고, 전각기 법은 청대 서예가의 영향을 받아 충도법을 주로 사용했다. 특히 후기에는 오창석의 각풍을 구사하면서 한인과 육조 해서의 강인 한 필선을 전각에도 도입해 중후한 전각 기법을 구사했다. 넷째, 지인이 검여에게 새겨 준 인장은 21점 11세트로, 1964-1973년 사이에 집중된다. 또한 대부분 인장 실물이 현재까지도 보존되어 있어 1964년 이후 우수서와 좌수서 서화작품 에서 모두 확인된다. 다섯째, 검여의 작품에서 자신이 새긴 1-3번 인장과 여초가 새긴 24-26번 인장, 철농이 새긴 27번 인장이 검여의 우수기와 좌수기의 작품에서 낙관인으로 자주 사용됐고, 석봉이 새긴 32번 인장과 석불이 새긴 33번 인장이 두인으로 종종 사용됐다.
        7,800원
        16.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ao Xian Guan Yi Yu” is included in the C version of “Hua Yi Yi Yu”, recorded more than five hundred vocabularies about astronomy, geography, hunman affairs and so on in Ming dynasty. The material were all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It is not only the vital material for researching Korean language, but also an important clue for the study of official phonetics in Ming Dynasty. Until now most of the relative research are concentrated on Korean phonetics part. Ming dynasty's Chinese characters and phonetics are saved in “Chao Xian Guan Yi Yu". At the same time, as officially translated document uses characters for recording Chinese phonetic and vocabulary information, reflecting the situation of Mandarin at that tim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accurate time of the book, background and the characteristics of Mandarin phonetics and vocabulary at the time of “Chao Xian Guan Yi Yu” based on the phonetics and vocabulary provided in the data, and determine that which Mandarin was offically used at that time through the phonetic and vocabulary of Chinese. 저
        4,800원
        17.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위젠(于堅. 1954∼)은 1980년대 중국 시단에 출현한 ‘3세대(第三代)’를 대표하는 시 인 가운데 하나이다. 그는 80년대 중반 그들(他們) 그룹으로 활동하면서 담담한 구 어체로 평범한 일상을 담아낸 시를 선보이며 ‘3세대’의 창작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문화대혁명이 끝나기 전까지 중국시는 오랫동안 정치 이데올로기와 집체주의적 사고 에 의해 지배되었던 탓에 일상의 아주 평범하고 사소한 일과 감정을 시화(詩化)하는 것은 그 자체로서 사회정치적 프레임을 벗어던진 시적 실험이자 혁명이었다. 위젠의 1980년대 작품은 ‘3세대’ 시가운동(詩歌運動)과 그 흐름을 같이 하면서 다양한 시적 (詩的) 실험을 통해 자신만의 독창성을 확보해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나아가 80년대 위젠의 시적 실험들은 중국 당대시 창작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며 시의 미학(美 學) 영역을 확장시켰고, 90년대 시 창작에 경험적 바탕을 제공하게 된다.
        6,300원
        18.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920년대 중국어 교재인 『支那语集成』에서 나타나는 인물 간 권력의 차이를 화행분석을 통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Searle의 화행 유형 중 단언형, 지시형, 언약형, 선언형 화행을 분석하고, 간접화행의 함축을 추론하였다. 권력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단언형은 진술형/주장형 단언, 지시형은 상향형/ 지시와 비상향형 지시, 언약형은 自愿형/他愿형 언약으로 분류하였다. 분석을 통해 대화 상황 내 상대적인 권력을 도출할 수 있었다. 권력이 직접 드러나는 지시화행과 선언화행 외에도 단언 화행이나, 언약화행의 인물의 권력에 따른 다른 특성을 고찰한 점이 본 연구의 의의라고 할 수 있다.
        5,800원
        19.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기 이욱 사는 전통적인 화간사의 風格을 계승하여 완약하다. 그러나 이욱이 군 주가 된 후 나라가 점점 기울고 부인과 자식이 죽으면서 그의 사풍은 깊은 인생의 감회를 담게 된다. 만년에는 남당이 멸망하고 송의 포로가 되어 변경으로 압송되어 유배 생활을 하게 되면서 이욱 사는 더욱 심오한 의경을 창출하게 된다. 이것을 시 공간적 측면에서 고찰해보면 이욱이 평화로운 생활을 할 때의 작품들은 그 묘사대상 이 바로 곁에 있고 모든 생활이 궁정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자신의 생활과 묘사하 는 모든 대상이 시공간적으로 큰 이격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욱이 군주가 된 후 사랑하는 사람들이 죽자 그의 사에는 이승과 저승이라는 시간적 이격이 나타난다. 이러한 시간적 이격은 이욱 사의 풍격을 한 단계 더 높이고 있다. 다시 남당이 멸망하고 이욱이 포로가 되어 쓴 사들은 시간뿐만 아니라 공간적으로도 큰 이격이 발생한다. 이욱사는 시간과 공간의 이격이 점차 커지면서 더 깊은 서정성을 갖추고 뛰어난 의경을 창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시공간적 이격 확대로 인한 이욱사 풍격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6,600원
        20.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an Feizi was part of the Legalist school and a thinker who brought together i ts great achievements. His understanding of the Legalist and Taoist schools is refl ected in both his foundation and political experience. This study examines the si gnificance of his thought from two chapters in the Han Feizi, “Jie Lao”(解老) and “Yu Lao”(喻老). The author first analyzes the meaning in the Han Feizi and the La ozi, and then analyzes the meaning in “Jie Lao”(解老) and “Yu Lao”(喻老). It can be seen from comparison that Han Feizi's understanding of Laozi's thought is bia sed towards the philosophy described in the Dejing, which led to the formation of many academic thoughts later on.
        4,6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