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청허휴정(1520~1604)의 심공급제(心空及第) 기반의 깨침과 선명상시 특징을 살펴보는 데 있다. 숭인 장로의 ‘심공급제’의 가 르침을 받아 출가 한 휴정은 임제종의 종풍을 이어받아 마음이 모든 것 의 근본임을 깨닫고 지관(止觀)을 통하여 본래 모습을 찾고자 하였다. 특 히 그는 세상과 절연하여 청산과 백운 속에서 무상함과 깨달음을 구하고 교화하는 의연한 수행 자세를 보여주었다. 깨달음의 세계나 선심은 언어 의 압축과 고도의 상징적 언어로 표현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휴정은 구도 와 깨달음, 보임(保任)과 교화의 과정에 있어 맑고 탈속한 마음의 경계를 가장 절제된 시적 양식의 하나인 오언절구와 칠언절구를 통해 잘 표현하 였다. 이는 곧 휴정의 선명상시의 특징이자 그의 선적 직관과 시적 상상 력이 조화를 이루어 빚어낸 깨침의 미학이다. 선시가 철저한 구도와 깨달 음의 표현이라 할 때, 철저하게 깨닫는다는 것은 나와 너, 그리고 그 모 든 존재와의 관계성을 깨닫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휴정의 ‘심공급 제;의 선명상시를 읽고 이해하며 감상하는 것은 탐・진・치 삼독으로 번 다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내려놓기’의 지혜와 ‘텅 빈 충만’의 기쁨 을 전해주는 치유적 의미로 작용할 수 있다.
이 글은 선조 말·광해군기의 주요 시인 가운데 한 사람인 許摘의 시 창작의 기저와 심미적 특질을 고찰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삼당파의다음 세대에 해당하는 수색은, 古詩가 주류적 형식으로 자리잡아가던 시기의 변화의 국면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인물이다. 그는 漢魏古詩라는 전범에 대한 고려와 함께, 저속한 氣習에 염오되지 않는 - `一氣`, `元氣`로 표현되고 있는 - 주체 내면의 강한 역량의 배양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작품 내적으로 `시적 자아의 문제`, `주체와 대상의 거리감`과 관련하여 독특한 심미성의 유발로 이어진다. 우선 출사 초기의 작품에서 볼 수 있는 특징으로, 시적 자아의 부각과 시적 대상에 대한 정평한 긴장의 지속 또는 부분적민 시 의식의 과도성과 관련한 `勁悍의 美感`을 들 수 있는데 이것의 형성에는 典故나 故事의 點化가 기여하는 측면도 있었다. 다음으로, 특히 광해군 중후반기 大北勢力에 대해 일정한 거리를 두는 시기를 중심으로 한 특성으로,시인은 객관적 인식·관찰의 거리의 유지를 통해 대상 사물의 眞情과 生動을 적출해 내고 있으며, 역사 현장의 대면에 있어서는 이러한 거리의 확보가 역사적 사실에의 회고와 그 이월적 의미 파악에 이어짐으로써 沈響함·肅然함의 미감으로 變泰되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 특히 철저히 자기 삶의 권역과 그 횡적인 연속인 역사현장으로 향하는 시선과 그곳을 바탕으로 한 미감의 창출은, 동시기의 다른 인식 지점에 있던 酉人圈 문사들의 것과의 대비를 통한 통합적인 연구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 글은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가 기획한 ‘경남지역 전통선비마을 연구’의 하나로, 경상남도 지수면 勝山里 許氏家에 소재하는 義莊과 이를 중심으로 행해진 기부 활동 등을 살펴보았다. 의장은 중국 宋나라 때 范仲淹의 范氏義莊에서 연유하였다. 대체로 문중 내 부귀한 인물이 많은 기금을 출연하여 가난한 친족을 구제하고 문중 간 화합을 추구한 제도이다. 승산리 허씨가에서도 범씨의장에 근거를 둔 허씨의장을 설 립하여 운영하였으니, 그가 바로 止愼亭 許駿(1844-1932)이다. 허준은 젊어 가난하였으나 중년 이후 막대한 富를 소유하게 되었고, 가족과 문중뿐만 아니라 한말-일제시기 어려운 이웃과 국가를 위해 아낌없이 베푸는 삶을 실천하였다. 이러한 베풂의 삶은 知止와 愼獨을 중시하는 지신정의 근검절약 정신에 기반한 것이었다. 승산리 허씨의 장의 의의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지신정의 베푸는 활동은 일시적이지 않았다. 그는 1894년 국 가를 위해 군자금을 출연한 것뿐만 아니라 기근이나 세금을 납부하지 못하는 곤궁한 이웃을 위해 수년 간 지속적으로 지원하였다. 또한 일찍 부터 인재양성 교육에 끊임없는 관심을 보이다가 일제시기에 이르러 一新學堂 설립에 크게 기여하였다. 둘째, 허준의 삶과 승산리 허씨가의 의장 활동은 晉州를 중심으로 하는 경상남도 지역의 문화적 우월성이라 평가할 수 있다. 조선후기부 터 이 지역의 지식인을 중심으로 문중강화 활동이 다양하게 행해졌는 데, 대개 ‘동족마을의 형성, 문중 서원 및 祠宇 건립, 先賢의 追崇, 族譜 와 文集 刊行’ 등이었다. 이는 향촌사회에서 문중의 기반을 유지하고 강화하는 대표적 활동이었고, 유가지식인의 보편적 행위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허준의 이러한 기부 활동은 이와는 다른 고차원적인 지적 활동이었으며, 진주지역 선비문화의 우월성이라 할 수 있다. 셋째,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조선시대에 의장을 둔 인물이나 문중 은 적지 않았다. 그러나 대개 그 당대나 두어 세대를 지나면서 없어지거 나, 다른 재산과 통합되는 등 본래의 목적이 변질되는 경우가 대부분이 었다. 반면 승산리 허씨가의 지적 활동은 지금도 의장을 중심으로 한 문중 내 장학금 지원 등의 대외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것이 야 말로 승산리 허씨가의 의장 활동이 지닌 가치와 의의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구한말과 일제강점기라는 격변기를 살다간 중세적 지성 중 한 명인 회당 허만책의 생애와 문학의 한 단면을 살핀 것이다. 그러 나 이 연구의 진정한 목적은 궁극적으로 허만책이라는 인물 자체를 연구하는데 있지 않다. 오히려 허만책이라는 인물의 삶과 문학을 통해 격변기를 살았던 중세적 지성의 일정한 전형이 있는지를 탐색하고, 중 세적 삶과 문학을 지키던 삶의 현재적 가치를 살피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격변기 지성의 문집은 학문적 성취보다는 후손들의 사랑과 공경에 근거하여 만들어지는 경향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 둘째, 격변기 지성의 한시는 관계망 한시를 중심으로 창작되는 경향성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 셋째, 격변기 지성은 전통적 사고, 즉 성리학의 세계관을 묵수하고 이를 교육에 결부시키는 경향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
蒼崖 許萬璞(1866~1917)은 진주 지역에서 활동한 한말의 유학자 이다. 武科에 급제하여 잠시 武人으로 살았으나, 외세의 침략과 문란한 정치 현실에 비분강개하여 스스로 관복을 벗어던지고 고향인 진주 지 수 승산마을로 낙향하였다. 그리고 세상을 마칠 때까지 은둔하다시피 하면서 經史를 탐구하고 스승을 찾아다니며 도학을 강론하였다. 본고 는 그 동안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진주 지역의 한말 유학자 창애 허만박을 주목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허만박의 문집을 토대로 그의 삶을 보다 세밀하게 추적해보고 그 자취를 담고 있는 한시를 검토 분석 하여 그의 내면의식을 따라가 보고자 했다. 52세의 나이로 비교적 짧은 생을 살다간 허만박은 선조들의 행적이 그러하듯 젊어서부터 은거 지 향적 면모를 보이다가 무과 급제 후 관직에 진출해 서울 생활을 시작했 다. 그러나 서울에서 보고 겪은 외세의 침략과 국가적 위기에 그는 절망 하고 스스로 사직하였다. 그리고 고향으로 내려가 승산 마을의 염창강 가에 은둔하면서 도학의 근본 탐구에 골몰하며 절의를 실천하고자 하 였다. 1905년 을사조약의 체결로 인해 스승 송병선을 잃은 허만박은 이후 송병순과 최익현, 전우를 차례로 스승으로 모시며 도학을 강론하 고 자제와 후진 교육에 힘을 쏟았다. 이 시절 그는 상소문과 편지 또는 제문에서 혼란하고 무력한 정치 현실과 일본의 침략에 대해 비분강개 하며 통탄과 憂國의 심정을 드러내기도 했지만 그와 동시에 거듭되는 집안의 불행으로 위축된 모습과 하루하루 견디는 심정을 표출하기도 했다. 삶의 이력으로 볼 때 그는 폭넓은 교유 관계를 형성하기는 어려웠 던 것으로 보인다. 허만박은 자신이 살았던 智水 勝山 마을의 山水를 대상으로 삼아 시를 많이 지었다. 더불어 인근 주변 지역의 승경이나 또는 자연 속의 구체적인 사물들에 대해서도 시적 감수성을 발휘해 시를 짓는 계기로 삼았다. 물론 한시에 묘사된 산수 자연은 허만박의 삶의 흐름과 그에 따른 정서가 스며들면서 시기에 따라 다른 느낌과 이미지를 전달하고 있다. 허만박은 자신의 삶 대부분을 아름다운 고향의 산수에서 은둔하 며 조용하게 보냈지만, 당시 나라의 형세가 혼란하고 위급했던 만큼 그에 대한 심정과 감성도 시의 소재나 때에 따라 드러내기도 하였다. 1910년을 전후해 지은 시에서는 나라 잃은 분노와 비통함의 시적 정서 가 점점 고조되고 있었으며, 더불어 체념과 자조적 한탄도 뒤섞여 표출 되었다. 또 현실과 차단한 채 은거의 즐거움만으로 스스로를 위로하는 의식도 담아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글은 俛宇 郭鍾錫(1846-1919)의 大學 해석 중 특히 ‘明德’에 대한 해석 및 그와 관련해 다른 사람과 논쟁한 것을 중심으로 그 설의 특징과 의미를 논한 것이다. ‘明德’에 대해, 기호학파 洛論은 本然之氣로 보고, 湖論은 心의 光明處 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는데, 이는 모두 心卽氣의 입장을 전제로 한 것이다. 반 면 嶺南學派는 朱子가 心統性情으로 해석한 것에 근거하여 心合理氣의 관점에 서 理를 위주로 해석하였다. 19세기 퇴계학파의 정맥을 이은 柳致明은 명덕을 氣淸理徹이라 하였는데, 그 의 문인 朴致馥은 ‘주자 이래 相傳한 嫡訣이라’ 하였다. 유치명의 견해는 명덕을 心合理氣의 관점에서 본 것이다. 그런데 李震相의 心卽理를 위주로 하는 학자 들은 氣를 겸하여 논하는 것에 반대하였다. 이런 점에서 郭鍾錫의 설도 마찬가 지이다. 그런데 곽종석은 대학 삼강령․팔조목의 논의구조에 나아가 明德과 心을 엄 격히 다른 것으로 변별함으로써 하늘에서 얻은 心之本體를 가리킬 뿐만 아니 라, 行事를 통해 얻어지는 孝忠恭重 등까지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 점이 스승 이진상의 설 및 동문들의 설과 변별되는 가장 특징적인 점으로, 동문 들과 논쟁한 핵심 사안이었다. 그는 명덕을 선험적인 본원은 물론 후천적인 경 험을 모두 아우르는 것으로 보았는데, 이는 丁若鏞이 후천적 경험만을 중시한 것과도 일정 부분 연관성을 갖는다. 대체로 19세기 主理論者들이 主宰性을 강조하기 위해 본체․본원을 강조하고 있는데 비해, 곽종석은 행사를 얻어지는 實得을 모두 명덕에 포함시키고 있어 主宰性과 아울러 實用性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 다른 학자들과 변별되는 점이 다. 이런 점에서 그의 체용론은 본체에 치중하지 않고 該體用의 논리를 갖고 있 다 하겠다.
본고는 조선 말기 경상우도의 유학을 대표하는 재야학자 后山許愈(1833-1904) 의 한시에 대한 연구다. 朱子와 退溪의 학문을 잇는 데 평생을 진력한 학자였으므 로, 詩學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지만, 젊은 시절 허유는 문장 공부 에 주력하였고, 특히 韓愈의 글을 좋아하였다. ‘愈’라는 이름 자체를 한유에서 가 져 왔거니와 退而역시 한유의 자 退之에서 한 글자를 바꾼 것이다. 별호 南藜子 는 한유의 호 蒼藜에서 가져온 것인데, 남쪽 땅의 한유라는 뜻이다. 그러나 허유는 서른 살 무렵 文學을 멀리하고 儒學에 전념하기 시작하였다. 李 震相을 스승으로 삼아 主理說을 배우고 깨우쳐 李震相학문의 핵심인 太極과 動 靜, 人心의 主資, 人物의 性凡, 華夷와 王伯의 구분 등을 탐구하였다. 이것이 朱 子와 退溪의 전해지지 않는 학문의 비결이 이에 있다고 여겨 평생 이를 계승하고 자 하였다. 철저하게 理를 중시한 허유에게 문학이 중요하지 않거니와 문학을 하 더라도 역시 理를 主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하였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허 유는 문학 자체가 학문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李白, 杜甫, 蘇軾등의 시도 학문에 도움이 되지 않으니 小學과 大學이나 열심히 읽어라 한 것이다. 다만 한시는 당시 사족들에게 생활의 일부였기 때문에 배우지 않을 수 없는 현실 을 무시할 수는 없었기에 학생들이 여름철을 이용하여 일부의 시를 읽는 것은 무 방하다고 하였다. 李白의 古風五十九首와 杜甫의 北征을 긍정하고 특히 韓 愈의 南山과 朱子의 齋居感興은 필독해야 할 시라 하였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허유는 한시를 강학의 수단으로 여겼다. 朱子의 시를 즐겨 읽었지만, 주자의 시를 시로 본 것이 아니라, 시를 통해 주자의 뜻을 파악하려 한 것이니, 허유에게 있어 시학은 心學의 일부였다. 허유는 鄭逑등 東方先賢의 시 역시 강학의 도구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논리에서 허유는 벗들이나 후학들에게 시 를 통하여 자신의 학문적 견해를 밝히고 또 강학을 권려하였다. 허유는 강학의 여 가에 산수 유람을 즐겼고 그 흥을 청신하고 담박하게 발산하였는데, 그 전범을 陶 淵明에서 찾았다. 그러나 문학보다 학문을 우선한 허유이기에, 시를 강학의 도구로 생각하였던 것처럼 山水역시 수양의 자료나 理를 확인할 수 있는 매체로 삼았다. 허유는 19세기 내우외환의 복잡다단한 시대를 살아간 산림의 학자다. 세상이 복 잡하기에 오히려 心卽理라는 하나의 원리만을 고집하였다. 허유가 이 땅을 떠난 지 이제 100년이 되었다. 세상은 그 때보다 더욱 복잡하다. 복잡할수록 하나의 원 리만을 주장한 허유의 고지식이 오히려 현대 학자에게 경종이 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한말의 위기 상황에서 경상우도의 사림집단이 어떻게 그들의 사상을 定位를 확보해 나아갔는가를 후산 허유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后山을 포함한 寒洲學派에 대한 연구는 그렇게 활발하지 못한 실정이다. 그러나 한주학파 는 한말의 위기상황에서 퇴계와 남명의 사상적인 융합을 통하여, 새로운 시대정신 을 이끌어 내고자 치열하게 고민한 지식인 집단이다. 후산은 그 대표적인 인물의 하나이다. 그는 남명사상과 퇴계사상을 그의 고유한 심즉리설을 통하여 통합해 보 고자 하였다. 그의 신명사도혹문 도 그 중의 하나이다. 그는 남명의 신명사도를 주리론적 형식 속에서 해석함으로써 아 세계에 대한 심의 主宰的권능을 확인하 고자 하였다. 아울러 그는 퇴계의 理發說을 더욱 밀고 나가 分殊속에서 작동하 는 기의 의미를 축소시키고자 하였다. 이러한 그의 논의는 이미 상당 부분 양명학 적 요소를 잉태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그 사회정치적 함의는 또 다른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許愈(1833~1904)는 朝鮮말기의 嶺南主理學派를 대표할 대학자이다. 字는 退 而, 號는 后山또는 南黎이다. 이름이 唐나라 韓愈와 같고, 한유의 字가 退之, 號가 昌黎인 것이 허유와 비슷한 것에서 한유를 닮고자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문집인 后山集 19권 10책이 간행되었다. 朝鮮王朝말기에 이르러 列强의 세력이 한반도에 손을 대고, 더욱이 日本이 조 선을 노리고 있었다. 그리하여 조선의 知識人은 국가와 민족을 멸망에서 구할 길 을 강구하는 것을 急務로 생각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許愈의 학문 방법은 아래의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판단을 중시하고 邪說을 물리쳐 儒學의 宗旨를 탐구하는 것을 자신의 임 무로 삼았다. 그는 詩를 통하여, 자신은 道를 걱정하지 가난을 걱정하지 않는 마 음과, 어두움을 물리치고 광명을 찾으며, 힘써 구하는 것은 오직 ‘眞儒’의 本義에 있다는 뜻을 분명하게 나타내었다. 둘째, ‘우리 道는 한 가지 이치로 꿰뚫는다(吾道一以貫之)’는 治學도리를 견지 하였다. 許愈는 李寒洲의 ‘主理’의 학문을 엄수하며, 가장 충실하게 ‘우리 도는 한 가지로 꿰뚫는다’는 학문 도리를 체현하였다. 그의 많은 말과 글을 한 마디로 개괄하면 ‘主理’를 立論과 立身으로 삼았다는 것이다. 셋째, 위로 韓愈를 이어 學術上에 있어 斥佛을 자신의 소임으로 삼았다. 許愈 가 지은 이름은 바로 韓愈를 본받는다는 원대한 지향을 함축하여 전하고 있다. 許 愈지식의 구조 및 그의 學術경향을 고찰하여 韓愈의 進學解등의 글과 대조 해본다면 許愈는 文風ㆍ도량이 韓愈를 닮았을 뿐만 아니라 儒學의 道統을 수호 하는데 韓愈와 거의 똑같을 것이다. 동아시아 각국이 격렬하게 동요하는 때에, 許 愈는 의연하게 孟子ㆍ韓愈의 횃불을 이어받아 전하였다. 韓愈는 ‘文은 八代의 쇠약함을 일으키고‘, ‘道’와 ‘文’이 결코 상호 대립적 관계 에 있지 않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그는 文學史上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었다. 許愈도 또한 글을 짓는데 많은 심혈을 기우렸다. 더욱이 詩를 짓는데 많은 힘을 들여 사람들이 주목할 만한 성취를 이루었다. 許愈는 李退溪를 존숭하는 외에도 고향의 先賢인 南冥曺植선생에 대해 깊이 敬意를 표시하였다. 南冥學派는 儒學觀에 있어 實踐을 중시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南冥先生은 詩의 창작에도 성취가 매우 높은데, 이것은 타고난 性情과 興 趣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또한 그 학문 수양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詩人으로서 의 許愈는 더욱 南冥선생에게 가깝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데, 詩學에 있어 더 욱 많이 南冥先生및 그 學派의 영향을 받았다. 허유는 ‘主理論’을 견지했기 때문에 그의 詩가운데는 털끝만큼도 쇠미한 기운 을 읽을 수 없고, 기개 있는 君子의 흉금과 시대를 걱정하고 세상을 슬퍼하는 仁 者의 심사를 느끼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