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玉洞 文益成의 생애와 시세계 - 관직 생활과 관련된 시를 중심으로- KCI 등재

Life and poetic world of Okdong(玉洞) Mun, Ik-Seong(文益成) - based upon poetry related to his governmental office activities-

옥동 문익성의 생애와 시세계 - 관직 생활과 관련된 시를 중심으로-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36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文益成은 1526년에 태어나 1584년 肅川都護府使로 재직 중 59세를 일기로 생을 마친 인물이다. 그의 문집인 󰡔옥동집󰡕은 전란으로 잃어버리고 남은 詩文 들을 모은 것으로 그 분량이 매우 적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본고는 특히 관직 생활과 연관된 시를 중심으로, 그 삶의 과정들을 살펴본 것이다. 먼저 승문원과 사섬시에 근무할 때 지은 것으로 보이는 「禁中題立春」과 「題 司贍寺契軸贈同僚」에서는 관직 생활의 희망, 임금을 송축하는 마음이 작품의 주조를 이루고 있었다. 그리고 「洪原縣樓贈別朴公鳴渭」 「次端川上房韻」에서는 향수와 함께 약간 울적한 심사를 내비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澤稚」라는 작품을 들고, 그것이 울산군수를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온 즈음에 지어진 것이 아닐까 추정해 보았다. 매우 위험한 추정이지만, 관련 자료가 소략한 상황에서 조금 과감한 상상을 해 본 것이다. 마지막으로 숙천도호부사 시절에 지은 「聞雁 有感」은 아마 문익성이 남긴 마직막 시가 아닌가 여겨진다. 그는 벼슬에서 완전 히 물러나 여생을 마무리할 뜻을 굳힌 상태에서, 다시 고향을 떠나 평안도 숙천 에 부임하게 되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그곳에서 삶을 마쳤다. 이 시에서는 나 라를 걱정하는 마음과 함께 인생의 종착점을 목전에 둔 비장함을 엿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Mun, Ik-Seong(文益成) was born in 1526, and finished his life at the age of 59 in 1584 when he worked as shook-cheon-do-ho-bu-sah(肅 川都護府使). His collection of works, 「Okdong collection of literature」 was lost because of war, with a few of poetry and literature still remaining. While taking this circumstance into consideration, this abstract reviews a series of his life based upon poetry related to governmental office living. At first, if we look at 「geum-joong-je-ryp-choon(禁中題立春)」 and 「je-sah-seom-sah-gye-chook-jeung-dong-ryo(題司贍寺契軸贈同僚)」 expected to be created when he worked for seung-moon-won and sahseomsi, we can read that he had in mind to hope for governmental office living, and blessing the King in the main structure of literature. We can also read his homesickness and a little melancholy in 「hong-won-gyun-roo-jeung-byeol-bark-gong-myeong-we(洪原縣樓 贈別朴公鳴渭)」 and 「cha-dan-cheon-sang-bang-woon(次端川上房韻)」. In addition, a literature of 「taek-chi(澤稚)」 had, I presume, been made at around the time when he got back to his hometown after finishing his office as Ulsan-gun Mayor. Dangerous to assume, but, I dare to imagine that way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re is not many materials. At last, 「moon-ahn-yu-gam(聞雁有感)」 that was made by Mun, Ik-Seong when working as shook-cheon-do-ho-bu-sah, is conjectured to be the last version of his poem. He had intended to get away from his governmental office for the rest of his life and he left his hometown, but he proceeded to a post in shook-cheon, Pyeongan-do. He finished his life there sooner or later thereafter. I assume that this poem shows his thought to worry about the nation and tragic mood to see his life diminishing.

목차
Ⅰ. 머리말
Ⅱ. 師友 관계와 詩作 현황
Ⅲ. 宦路의 희망과 좌절
Ⅳ. 맺음말
저자
  • 조창록(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Jo, Chang-Ro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