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

        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angnyang-mun(上樑文) is not only a memorial address for the ceremony of putting up the ridge beam, namely the sangnyang-ceremony(上樑式) but also the executional record of building construction. This paper aims at researching on the oldest five sangnyang-muns written for the constructions of palaces and government offices in Goryeo Dynasty, especially viewed in the architectural history. The results of that are as follows: First, it is supposed that sangnyang-mun originated in the ancient Chinese ceremonial songs for the celebration of building construction. Second, as compared against the former times, the sangnyang-muns in Goryeo Dynasty were written to the advanced establishing forms and literary patterns, so to speak, these were the more developed styles. Third, in the 12th century, sangnyang-mun was introduced from Chinese Song to Goryeo. To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sangnyang-mun had been to write for the sangnyang-ceremony as necessary memorial address. Fourth, the writers of five sangnyang-muns in Goryeo Dynasty were the new civil ministers appointed by the soldier rulers. They wrote the contents of their sangnyang-muns, especially focused to the king’s achievements. And in the yugwi-song(六衛頌), they recited six poems in which were complicated the world view and aesthetics of the time.
        4,900원
        5.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Great south gate of Seoul Castle, Sung-Rye-Mun, the east gate of Seoul Castle, Hung-In-Ji-Mun, the south gate of Hwa-Sung Castle, Pal-Dal-Mun and the north gate of Hwa-Sung Castle, Jang-An-Mun are typical significant castle gate of Chosun Dynasty. They have a lot in common with exterior. Additionally there are also something common in dimensions. At first, the arch dimensions of lower story is very similar and the columns of upper story are the regular interval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similarities above mentioned were intended on purpose and if then what was the reas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separately as follows. 1. The widths of the arches were based on each 16Cheok and 18Cheok. 2. The heights of the arches followed less strictly rule than the widths. 3. The widths of the arches, 16Cheok was same size as width of middle-size road (中路, Jung-Ro) inside the Castle town in Chosun Dynasty. 4. The widths of the arches, 16Cheok was the standard size of exit went through castle and then the standard size of road arrived at one's destination. 5. The widths of the arches had an effect on the intervals between the columns of the upper story. Finally we recognized that in Chosŏn Dynasty the widths of the gate arches in Seoul castle and Hwa-Sung castle had relevance to the city planning largely and widths of the gate arches had an effect on the intervals between the columns of the upper story partly.
        4,900원
        7.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유가의 입장에서 사상을 달리하는 불가의 스님을 대하는 양상이 어떠하였는지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두 작품을 서로 비교한 것이다.두 작품은 中唐의 문인인 韓愈의 「送浮屠文暢師序」와 조선전기의 문인인 李陸의 「送日本僧聖津首座還國詩序」다.700여 년이라는 시간적 거리에도 불구하고 유가로서 불가를 바라보는 시각을 공통적으로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 흥미로웠다.우선 한유의 작품을 전범으로 설정하여 분석한 후,이륙이 그 전범을 모의하였는지의 여부를 작품의 내용을 대비하는 방법으로 밝히고자 하였다.분석한 결과,한유는 유가로서 불가를 대하는 데에 ‘이름이 유가면서 불가의 행동을 하는 자’와 ‘이름이 불가면서 유가의 행동을 하는 자’의 두 유형으로 나누고는 전자를 배격하고 후자를 승인하는 태도를 보였고,더 나아가 후자마저도 ‘이름이 유가면서 유가의 행동을 하는 자’가 되도록 요구하였다.그것은 불가를 부정할 뿐만 아니라 상대인 불가의 스님조차 인정하려 하지 않는 극단적인 입장이었다.이러한 한유의 견해는 유가의 도에 대한 자신의 논리를 전개한 「原道」에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다.한유는 聖人의 道에 대비되는 불가의 교리가 인간을 夷狄이나 禽獸로 만드는 야만적인 것이라고 여겼기에 비판한 것이다.이러한 한유의 불가에 대한 인식은 왜구의 노략질로 골치를 썩어온 조선전기의 문인인 이륙에게 공감을 불러 일으켰다.그 결과 이륙은 한유가 「送浮屠文暢師序」에서 유가의 聖人之道를 언급할 때 사용한 주요 용어들을 「送日本僧聖津首座還國詩序」에 그대로 차용하였고 왜구의 노략질이 남에게 기대어 살아가는 불가의 교리에 연원하고 있다는 것도 발견해 내었다.내용도 서로 닮아 있지만 몇 군데의 형식도 한유의 작품에서 익히 본 적이 있어 낯설지 않았다.이것을 통해 이륙의 「送日本僧聖津首座還國詩序」가 한유의 「送浮屠文暢師序」를 모의하였다고 확언할 수 있다.다만 글을 시작하거나 맺는 방식에 있어서는 한유가 논쟁적인 글쓰기를 한 데 비하여 이륙은 설명하고 진술하는 글쓰기를 하는 차이를 보였다.이것은 두 사람의 개성이나 문세의 상이함에서 말미암은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이륙이 유가로서 불가의 스님을 응대하는 양상의 전범을,시공을 초월해 중당의 한유의 글에서 찾아내어 모의하였음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본고의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8,300원
        10.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nvestigates into a lost koˇmun'go tablature attributed to Soˇnghyoˇn callcd hyoˇnguˇmhapjabo[現金合字譜]. based on evidence drawn from hyoˇnguˇmhapjaboso written by the same author. Up to the present, the historical value of hyoˇnguˇmhapjabo[現金合字譜] has been largely overlooked by most Korean scholars. However, an introduction to this document provides important insights into the state of koˇmun'go music during the 15-16th century. Besides, the koˇmun'go tablatures from 16-17 centuries indicate that even prior to Kumhapjabo. the earlist extant koˇmun'go tablature. there was another notational system for the instrument and that Soˇnghyoˇn was possibly the editor. This allows present-day scholars to make some conjectures regarding the possible nature of the lost noation. This study, after examining the various writings of soˇnghyoˇn and other 16-17th-century sources, reconstructs the background and the contents of hyoˇnguˇmhapjabo. With the aid of his brother, a connoisseur of music. Soˇnghyoˇn. was able to learn the arts of koˇmun'go from the contemporary master Yi Ma-ji(이마지). After this initial contact, soˇnghyoˇndvoted his to music. occasionally learning from and exchanging artistic ideas with masters like Yi Ma-ji. Kim Pok-kuˇn (金福根). and Choˇng Ok-kyoˇng(鄭玉京). From as early as 25 years of age. Soˇnghyoˇn was reknowned as an authority in music, which led him to hold an important position at the Changakwon. after being appointed a goverment official. It was during this period that soˇnghyoˇn was exposed to Chong In-ji's influence and his important book Yulnyo-sinso(律呂新書). which further expanded his knowledge in music. Such a long period of accumulating knowledge in koˇmun'go music foregrounded soˇnghyoˇn's invention of a koˇmun'go notational system and his publication of hy on gu mhapjabo. Therefore one can safely conclude that his work epitomizes his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koˇmun'go tradition and that he intarded it as a solution to his life-time concern that the traditions of koˇmun'go master were dring without being faithfully transmitted. The tablature was intended to serve the needs of students who learned koˇmun'go without neccedssarily having a teacher to guide every step. The actual content of hyoˇnguˇmhapjabo is surmised to have been comprisad of yoˇmilnak, pohoˇja, kamgun'un, halnimbolgok. Taeyoˇp. and pukjoˇn The introduction to kuˇmhapjabo states that there was already a tablature before the mid 16th century. with a rather inconsistent notationa system and that kumhapjabo is merely a re working of that prototype with the addition of a few new pieces. This points to the possibility that the system at issue is actually S oˇ nghyoˇ's hyoˇng uˇmhapjabo, of which kuˇmhapjabo is simply a revision. There soˇnghyoˇn's hyoˇnguˇmhabjabo, although lost, bears the historcal significance of having been the very first koˇmun'go tablature ever written in the hapjabo notational system. Further, the existence of an earlier tablature than Kuˇmhapjabo(琴合字譜) may help explain the structure of the pieces contained in kuˇ mhapjabo that are presumed to have had a longer history. (November 9, 1997)
        6,000원
        11.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18세기 경상우도 의령에 살던 安德文이 三山書院이라는 명칭과 위상을 정립하고, 이를 통해 晦齋ᆞ退溪ᆞ南冥 세 선생을 나란히 追崇하고 表章한 것에 초점을 두고 살펴본 것이다. 안덕문은 심성수양을 중시하며 일상에서 이를 실천하는 학문성향을 견지하였는데, 이는 그가 살던 지역에 전승된 남명의 실천적 학풍을 기반으로 한 것이었다. 그는 어느 특정 스승에게 나아가 수학하지 않고 영남을 대표하는 세 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사숙하여 융합하려 하였다. 그는 이를 실천하기 위해 畵工에게 명하여 세 선생을 제향하는 玉山書院ᆞ陶山書院ᆞ德山書院을 그려 오게 해서 三山書院圖를 병풍으로 만들어 中堂에 펼쳐놓고 늘 세 선생의 학덕을 흠모하였다. 그는 또 삼산서원을 직접 찾아가 세 선생의 학덕을 몸소 체험하려 하였는데, 그가 살던 지역의 덕산서원은 전에 찾아간 적이 있었으므로 가보지 못한 경상좌도의 옥산서원과 도산서원을 찾아가 배알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는 삼산서원도ᆞ三山圖銘 등을 준비해 가지고 옥산서원ᆞ도산서원을 찾아가 배알하였으며, 도중에 저명한 학자들을 방문하여 삼산서원도 등을 보여주며 논평을 요청하였다. 이러한 그의 노력에 의해 경상좌도 퇴계학파 학자들도 삼산서원이라는 명칭과 위상에 대해 동의하였다. 그럼으로써 그가 살고 있던 경상우도의 덕산서원을 조선후기 영남학파의 본산으로 인식된 경상좌도의 도산서원ᆞ옥산서원과 동등한 지위에 올려놓는 성과를 이룩했으며, 덕산서원에 제향된 남명을 회재ᆞ퇴계와 같은 반열의 도학자로 재인식하게 했다. 안덕문의 이러한 노력을 통해 三山書院 및 세 선생의 학덕이 나란히 表章되었으며, 영남을 鄒魯之鄕으로 만든 이 세 선생을 함께 존모해야 한다는 인식을 제고했다. 그리고 이를 통해 특정 문하의 師說만을 준수하는 학풍에서 벗어나 세 선생의 학문을 하나로 아울러 계승하고자 하는 새로운 융합의 학문을 제시하게 되었다. 특히 경상우도 학자들은 이런 융합의 학문을 지향해 그 다음 시대 당색과 학파에 구애되지 않고 활발히 학술교류를 하여 학문이 울흥하는 터전을 만들었다. 여기에서 안덕문이 삼산서원의 위상을 정립하고 세 선생을 나란히 추숭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12.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芳洲 文國鉉은 둔암-성재-순암-성호-퇴계로 이어지는 학통에서 발견되는 보수적이고 반외세적인 영향으로 일찍부터 서구세력의 동점을 경계했다. 외세에 의한 침탈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그가 제시한 것은 자기 수양과 함께 유학의 부흥과 후진의 양성이었다. 그의 전 생애에 걸쳐 조선에서 일어난 여러 가지 사건과 국권의 상실의 역사적 상황은 그로 하여금 그의 이념의 적극 적인 실천 보다는 세상으로부터의 도피와 은둔을 선택하게 하였다. 은둔자로 자처하던 방주는 개방적이기 보다는 보수로 삶의 방향을 결정하여 유가의 전통적인 이념을 묵수하면서 혼란한 시대에서도 本性의 유지와 심성의 함양을 통한 인간 도리의 실천 그리고 유가의 전통적인 학문 공부를 통해 미래 사회에서의 재기를 꿈꾸었다. 이 시기의 방주의 학문경향이나 문예관은 조선 500여년을 면면히 이어온 유 가적 학문・문예관을 충실히 계승하기는 하였다. 그렇지만 근대로 들어서는 시 대 상황을 고려하여 평가할 때는 역사의 변화에 순응하지 못하는 또는 동참하 지 않으려는 보수적인 유학자로서의 문예관을 고수한 인물로 평가된다.
        13.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文益成은 1526년에 태어나 1584년 肅川都護府使로 재직 중 59세를 일기로 생을 마친 인물이다. 그의 문집인 󰡔옥동집󰡕은 전란으로 잃어버리고 남은 詩文 들을 모은 것으로 그 분량이 매우 적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본고는 특히 관직 생활과 연관된 시를 중심으로, 그 삶의 과정들을 살펴본 것이다. 먼저 승문원과 사섬시에 근무할 때 지은 것으로 보이는 「禁中題立春」과 「題 司贍寺契軸贈同僚」에서는 관직 생활의 희망, 임금을 송축하는 마음이 작품의 주조를 이루고 있었다. 그리고 「洪原縣樓贈別朴公鳴渭」 「次端川上房韻」에서는 향수와 함께 약간 울적한 심사를 내비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澤稚」라는 작품을 들고, 그것이 울산군수를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온 즈음에 지어진 것이 아닐까 추정해 보았다. 매우 위험한 추정이지만, 관련 자료가 소략한 상황에서 조금 과감한 상상을 해 본 것이다. 마지막으로 숙천도호부사 시절에 지은 「聞雁 有感」은 아마 문익성이 남긴 마직막 시가 아닌가 여겨진다. 그는 벼슬에서 완전 히 물러나 여생을 마무리할 뜻을 굳힌 상태에서, 다시 고향을 떠나 평안도 숙천 에 부임하게 되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그곳에서 삶을 마쳤다. 이 시에서는 나 라를 걱정하는 마음과 함께 인생의 종착점을 목전에 둔 비장함을 엿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14.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文劼은 어려서부터 문명을 떨쳐 소년시인이라 일컬어질 정도로 뛰어난 시 작 품을 남겼고, 정유재란에 하수일과 의병을 일으켜 하동의 악양에서 활동함으로 써 이들 덕분에 이 지방이 온전하였다는 평과 조정의 상을 받기도 하였다. 文弘 運은 아버지를 따라 악양에 있다가 아버지가 병사함에 전란의 와중에서도 장례 를 치루고 그 이후로는 유거하며 지냈으며, 그가 남긴 「頭流八仙遊篇」은 지리 산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頭流八仙遊篇」은 문홍운 자신을 비롯하여 성여신, 정대순, 강민효, 박민, 이 중훈, 성박, 성순의 여덟 사람이 성여신의 제의에 따라 두류산을 유람한 과정과 느낌을 읊은 시이다. 이 시는 지리산 유람을 노래한 여러 시편 가운데 가장 긴 것으로 240구 1,200자에 이르는 장편 5언시이다. 특기할 것은 성여신의 「방장 산선유일기」 가운데에도 보이는 것이기는 하지만, 이 시의 제목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지리산으로 유람을 떠나는 여덟 사람을 신선이라 부른 것이다. 선비들이 자신들이 유람을 가는 곳을 신선세계라 하며, 그곳을 속세와 구분하 여 마치 신선세계에 오른 듯이 그 감회를 기록한 것은 있지만, 유람 가는 자신 들을 신선이라 하였을 뿐만 아니라 각인에게 신선의 이름을 이처럼 지어붙인 경우는 거의 없다. 그만큼 이들의 신선세계에 대한 동경이 컸음을 알 수 있는데, 이들의 이러한 신선놀이는 또한 한 번의 일회적인 유희에 그치지 않고 유람하 는 동안 내내 이어졌음을 성여신과 문홍운의 글에서 볼 수 있다. 그러나 성여신이 “속에 들어가서는 눈에 띄는 사람 모두 선인이었고, 산 밖으 로 나와서는 만나는 사람 모두 범인이었다.”라고 한 바와 같이 이들의 이러한 신선놀이는 결국 유자로서 신선에 인식의 테두리를 보여주는 것이라 할 것이 다. 문홍운이 지리산에 도착하기 전까지는 신선세계에 대한 동경과 예찬이 극 에 달하였지만, 막상 그가 지리산에 당도한 뒤 특히 지리산 청학동이나 향로봉 에 올라 읊은 평범한 시구는 그러한 인식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것이다. 문홍운은 그의 시에서 청학동이나 향로봉에서 신선세계에 당도하여 신선을 보았다고 했으나, 이는 보통 사람들의 신선시에서 볼 수 있는 바와 크게 다를 바 없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곧 문홍운의 신선놀음도 결국은 성여신이 “그렇다면 지금 우리들의 선유는 이름은 비록 ‘仙’이나, 실제는 ‘仙’이 아닌 것 이다.”라고 한 경우와 크게 다르지 않았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15.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명학파와 관련된 각 가문의 역사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던 필자는 이번에 남명 조식의 문인인 文益成 및 그의 후손의 활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합천에 거주하던 문익성은 문과에 급제해 여러 관직을 거쳤다. 그의 아들 문 려도 마찬가지로 문과를 거쳐 중요 관직을 역임하였고, 문할도 진사시에 합격 하였다. 두 형제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활동을 전개하였다. 형제간의 우 애도 돈독하고 부모에 대한 효성도 지극하였다. 이런 행적으로 인해 그들의 가 문은 경상 우도에서 손색없는 사대부 가문으로 자리잡게 된다. 진주로 이거한 문할의 후손들은 이후에도 이런 사족 가문의 전통을 계승하면 서 진주에서 명망가문으로 뿌리내리게 된다. 그들은 선조의 가학을 잇는 입장 에서 남명학파의 맥을 이어갔고, 또 조선 후기의 정치적 변화 속에서 남인 입장 을 견지하였다. 다른 사대부 가문과 마찬가지로, 그들은 멸망한 명나라를 대신해 中華문화를 굳건하게 이어 간다는 입장에서 존주의식을 꾸준히 계승해 가고 있었다. 특히 그들은 그들 가문에 대대로 전해지던 大明花의 보호・전승을 통해 이를 실천해 가고 있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