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寒岡 鄭逑의 程朱學 受容樣相 KCI 등재

Han-gang Jeong-gu’s Development of Jeongjuhak

한강 정구의 정주학 수용양상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40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본고는 寒岡 鄭逑(1543~1620)의 학문경향과 정주학의 수용양상을 조명해 본 것이다. 한강은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전반기에 활동했던 영남사림의 대 표적 인물이다. 그는 타고난 자질과 家學으로 내려오는 학문적 전통을 계승한 바탕위에 당대의 큰 스승을 찾아뵙고 그들의 학문적 장처를 두루 섭렵하였다. 이를테면, 한훤당 김굉필의 正學과 남명 조식의 正論과 퇴계 이황의 진실한 도 [的旨]를 받아들여 이후 당대의 독특한 학문경향을 형성하였다. 그의 학문경향은 下學重視의 경향과 博學의 추구이다. 하학중시의 경향은 일 상생활의 기본예절을 실천하는 하학공부를 통해 天理인 上達로 나아가는 학문 차서를 강조하는 학문관점이고, 박학의 추구는 학문의 규모와 범위가 宏博하다 는 것인데, 그만큼 현실의 쓰임에 대비하는 실용적인 성격을 지닌다고 할 수 있 다. 나아가 이 같은 학문경향은 당대의 학문풍조에 대한 경종과 반성적 의미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한강은 20세 전반에 자신의 학문의 방향성을 분명하게 제시하였다. 그 것은 과거의 길을 단념하고 求道의 자세로 정주가 남긴 성리학에 종사하는 것 이었다. 그가 남긴 정주학과 관련한 편찬저술의 특징을 살펴보면, 성리이론에 대한 내용은 거의 없고 심성함양이나 내면의 수양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다른 하나는 편찬저술이 자기 학설을 내세우는 저서의 형태라기보다는 경전 중 에 학문의 요점을 발췌, 요약하고 간간히 자신의 설을 붙이는 ‘編N’이나 ‘集N’ 의 저술방식을 택하고 있다. 이는 정자와 주자, 퇴계의 편찬저술 방식을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끝으로 한강의 수양론은 퇴계와 남명의 수양론의 장점을 취하여 ‘敬’과 ‘義’를 다 같이 중시하는 ‘敬義夾持’의 수양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가운데 정이천과 주자, 그리고 퇴계로 내려오는 수양론의 학문적 전통을 중요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이 점이 한강 수양론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Han-gang Jeong-gu’s(1543-1620) academic legacy and find out how he developed Jeongjuhak(a branch of Sung Confucianism). He served as one of the leaders in the Yeongnam Sarim Sect from the late 16th century to the early 17th century. Not only was he a gifted scholar, but he also came from a long line of gifted scholars. In addition, he met with great scholars of his day and stayed abreast of all their academic achievements. In other words, he had studied Hanhwondang Kimgoengpil’s theory of ‘Jeonghak’, Nammyeong Josik’s theory of ‘Jeongnon’ and Toegye Yi Hwang’s ‘Truthful truth’(Jeokji) extensively. Together, he himself established the unique academic trends. His academic legacy was to attach great importance to ‘Hahak’ and to seek erudition. The former emphasized the order of learning, which meant after completing ‘Hahak’ study in which students learned basic manners in daily living, the study of natural laws was possible. The latter, erudition, implied a extensive scale and range of studies. Uniquely, practical studies such as medicine were found in his studies as well as metaphysics. These trends also showed vital aspects of the academic drift that scholars should reflect on at that time. In his early 20s, Han-gang had clearly decided his academic goal would not be getting ahead but would be studying Sung Confucianism of Jeongju with single minded devotion. A characteristic of the Jeongjuhak developed by Han-gang was that the cultivation of the mind was focused on to the exclusion of the theories of Sung Confucianism. Another characteristic was that when he wrote books, he used the style of ‘Pyeonrok’ or ‘Jipnok.’ This implies that most of his books were compiled through excerpts or brief Confucian scriptures. By using this style and only commenting occasionally he emphasized the texts, rather than his own theories. This style of writing was derived from the tradition of Jeongja, Juja and Toegye. The last characteristic Han-gang developed was his moral training theory(Suyanglon), which was based on the merits of Toegye and Nammyeong’s theory. His theory was called ‘Kyeong-ui-hyeopji’ because both ‘Kyeong’ and ‘Ui’ were considered important elements for training one’s mind. He significantly developed the academic tradition of moral training theory which had been started by the scholars of Jeong Yicheon, Juja and Toegye.

목차
Ⅰ. 머리말
Ⅱ. 한강의 학문경향
1. 下學重視의 경향
2. 博學의 추구
Ⅲ. 한강의 정주학 수용양상
1. 정주학의 저술과 편찬
2. 한강 수양론의 특징
Ⅳ. 맺음말
저자
  • 權鎭浩(경성대 연구교수, 남명학연구소 특별연구원) | 권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