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朝鮮末期 南冥學派의 南冥學 繼承 樣相 KCI 등재

The inheritance aspect of the Nammyeong studies by the Nammyeong school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조선말기 남명학파의 남명학 계승 양상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47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주지하다시피 남명 몰후 인조반정 이전까지 약 50년 동안은 남명학파가 역사 의 전면에서 가장 활발하게 움직였던 시기라 할 수 있거니와, 인조반정으로 인 해 남명학파를 이끌던 내암 정인홍이 적신으로 몰려 처형된 뒤로부터 남명학파 는 급격히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 정치적으로 북인이었던 남명학파가 인조반정 이후 󰡔남명집󰡕에 실린 정인홍의 흔적을 없애는 과정에서 적극적인 부류와 소극적인 부류가 대립하면서 남인과 서인으로 분열하게 되었다. 이후 적어도 표면적으로는 남인은 퇴계학파화하고 서인은 율곡학파화하였다. 그러나 진주를 중심으로 하는 江右 지역의 인물 가운데 남인화 또는 서인화한 두드러진 몇몇 사람들을 제외하면, 그 나머지 대부분의 사람들은 대체로 남명 학파의 학문정신을 나름대로 계승해 왔던 것 또한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 리고 이러한 지역적 분위기는 남인화 또는 서인화한 인물의 경우도 남명학파의 학문정신을 근본적으로 배제한 채 퇴계학파 또는 율곡학파의 학문을 수용하는 데까지는 이르지 않았던 것이다. 영조 4년(서기 1728년)에 일어난 무신사태 때 강우 지역에서 동계 정온의 현 손 정희량과 도촌 조응인의 5대손 조성좌가 세력을 규합하여 안의․거창․합천․삼 가를 한 때 점령했던 일이 일어났다. 이 일로 인해 강우 지역은 반역향이라는 인식이 심화되었으며, 이 지역의 선비들도 그 기상이 저하되고 남명학파로서의 학문정신에 대한 자긍심에 상처를 입었다. 그러다가 19세기에 이르면 학자들이 우후죽순처럼 일어나 16-17세기의 학 문적 영화를 다시 보는 듯하였다. 당시 강우지역의 학자들의 남명학 계승양상 은 대체로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우선, 조선말기에 이르기까지 경상우도 지역에서는 그들이 비록 영남 남인 정 재 유치명의 문인이거나 기호남인 성재 허전의 문인이거나 호남 노론 노사 기 정진의 문인이거나 간에 남명의 경의 사상에 대한 계승의 의지가 확고함을 알 수 있다. 특히 퇴계를 경모하면서 한주의 주리설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후산 허유가, 남명의 신명사도와 신명사명에 대한 정밀한 주해를 하면서 경상우도의 당대 선후배 학자들에게 자문을 구하여 완성시켰던 점은 남명 사상의 근저를 확고히 하려는 의식의 소산이었다. 출처관 또한 남명의 영향이 당시까지 깊이 남아 있었다. 만성・단계・후산・노 백헌・물천・면우는 당대 최고의 학자들이었음에도 과거로 발신한 사람은 단계 김인섭 뿐이다. 그런데 그 단계가 조정에서 물러난 뒤 수령들의 횡포가 극에 달 한 것을 보고 그 아버지와 함께 민란을 주도한 것은, 남명의 출처관과 현실비판 의 정신이 변모된 양상으로 후대에 드러난 것이라 할 수 있다. 남명이 남긴 시황계의 영향은 조선말기에 이르면 상당히 퇴색해지고, 성리학 이론에 관한 탐구를 배격하였던 남명의 정신도 많이 허물어졌다. 그러나 남명의 경의 사상과 출처관 등은 조선말기까지도 확고하고, 실천을 중 시하는 학풍 또한 깊이 젖어 있어서 성리설에 대한 학설 전개를 못마땅해 하는 분위기가 1900년 무렵에도 광범위하게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이 겉으 로 드러난 학맥상으로 보면 남명학파가 와해되어 사라진 듯하여도 실상 엄연히 존재하고 있었다는 분명한 증거인 것이다.

As you know for 50 years after Nammyeong's death and before Injobanjeong(a kind of war to depose King Injo), Nammyeong school 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it was very popular in scholarly circles. Because of Injobanjeong Ne-am Jeong In-hong who led Nammyeong school was killed as a traitor, and then Nammyeong school went into a decline. After Injobanjeong, Nammyeong school who were Book-in(North Party) try to remove Jeong In-hong's traces from the Nammyeongjip. In this process Nammyeong school split into two Nam-in(South Party) or Seo-in(West Party). After this Nam-in became Taegye school and Seo-in became Yulgok school on the surface. However some of the people who lived in Gangwoo(on the right side of the Nacdong River)centering around Jinju followed Nam-in or Seo-in. The others still followed the Nammyeong schools, Even though many people went to different school, their thoughts were rooted in the Nammyeong school. When the Musinsatae in the fourth year of Yeongjo(1728), Jeong Hee-Ryang and Joe Seong-ja combined their power and ruled over some of the cities: Anui, Guchang, Hapchun, Samga, in Gangwoo. Because of their actions these areas were perceived by people to be against the king, therefore, many scholar who were proud of being for the Nammyeong school had their pride hurt because of this event. In the 19th Century their was a resurgence of the Nammyeong school as was the case in the 16th and 17th century. There are several factors that contributed to the Nammyeong school inheritance aspect in the 19th Century. One factor was that Yeoungnam Nam-in Jeongjae Yu Chi-myeong, Giho Nam-in Seongjae Hujun and Honam Noron Nosa Gi Jeongjin's disciples were very committed to the Nammyeongs school teachings and thought they would inherite his spirit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in Gangwoo. Above all Husan Huyou respected Taegae but he accepted actively Hanju's Ju-ri-sul. When he made copious notes about Nammyeong's writings(Sinmyeongsado and Sinmyeongsamyeong), he asked other scholars who lived in Kyungsangwoodo to help him finish his writings. It was a determined attitude about Nammyeong's mentality. Sihwangkye(Nammyeong's mind)'s influence faded out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Even though Nammyeong did not support the Neo-Confucianism theory. His views on Neo-Confucianism were not shared by many. Nammyeong's a mind about reverence ideology and a mind about government position were very steadfast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Neo-Confucianism did not gain popular support until 1900 because people felt that actually doing something was more important then just thinking something. On the outside Nammyeong school looked like it was falling apart but it was still existence. It was positive proof of Nammyeong school existence.

목차
Ⅰ. 緖言
Ⅱ. 南冥學의 特徵
Ⅲ. 敬義 思想의 尊崇
Ⅳ. 嚴正한 出處觀과 現實批判 精神
Ⅴ. 詩荒戒와 性理說 批判
Ⅵ. 結語
저자
  • 李相弼(慶尙大 漢文學科) | 이상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