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학생의 공격성과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체육활동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KCI 등재

The Effect of Physical Education on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Using a Meta Analy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79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이 연구는 체육활동이 학교폭력과 관련성이 깊은 자아존중감,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기존의 다양한 체육활동에 대한 실험연구 또는 비교연구 논문을 활용하여 메타분석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개별 이펙트 사이즈 계산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Jared DeFife에 의해 개발된 Excel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Hedges & Olkin‘s g를 산출 한 후, 효과크기의 평균과 매개효과 유의 성은 SPSS 메타분석 Macro Program을 통해 분석하였다. 공격성과 관련하여 14개 논문이 연 구에 포함되었고, 이로부터 총 29개 효과크기가 수집되었다. 자아존중감과 관련해서는 19개 논 문으로부터 45개 효과크기가 산출되었다. 결론적으로, 체육활동은 공격성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공격성에 대한 효과크기 평균값은 -.74, 자아존중감에 대한 평균 효과크 기는 .36이었다. 또한, 체육활동은 공격성 하위 개념 중 신체적 공격성(-1.06)과 적대감(-1.52) 감소에 더 효과적으로 나타났고, 체육활동은 가족(.24), 학교(.08) 자아존중감 보다 사회(.47), 총 체적(.42)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더 효과적 이었다. 공격성과 자아존중감 모두에서 학교 급, 체육활동 유형, 연구방법 매개변인의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공격성과 자아개념에 대한 체육활동의 효과는 모두 중학교, 사회 체육활동, 조사연구를 활용한 연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empirically synthesizes and evaluates studies that have examined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ies on self- esteem and aggression via Meta-analyses. For self- esteem, meta-analyses of 45 effect sizes from 19 studies were conducted. For aggression, meta-analyses of 29 effect sizes from 14 studies were conducted. Combined significance levels and effect sizes were analyzed. The mean effect sizes of self- esteem were small, .36, and the mean effect sizes of aggression were large, -.74. It means that the physical activities could diminish the aggression by .74 standard deviation, and could increase the self- esteem by .36 standard deviation for K to 12 students. In this study, four moderator variables were investigated: Type of self- esteem, school level(elementary, middle, high), Type of physical activities(social, school), and Method of study(experiment, survey). The results show that four moderator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aggression self- esteem, the physical activities were more effective in physical aggression and hostility, middle school students, social physical activities, survey studies. For self- esteem, the physical activities were more effective in social and wholeness self- esteem, middle school students, social physical activities, survey studie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김소영(한국체육대학교) | Kim, So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