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경남 산청 단계마을의 고문헌 현황 연구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1258
  • DOIhttps://doi.org/10.14381/NMH.2015.12.30.48.6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경남 산청의 단계마을은 외형적으로 전통문화유산이 잘 보존된 마을 이다. 그러나 단계마을은 언제 형성되고, 어떤 문중이 어떻게 살아왔는 지, 어떤 인물은 어떤 사상을 지녔는지 그 내면을 들여다보고자 한다면 단계마을 사람들이 기록한 고문헌을 통해서 연구가 가능하다. 단계마을에서 동계문중과 단계문중이 고문헌을 많이 소장하고 있다. 동계종택에는 고서 161종 383권, 단계고택에는 378종 1,296권이 소 장되어 있다. 또 안동권씨 동계문중과 상산김씨 단계문중 소장 고문서 는 1,628점에 달한다. 책판(책판)도 동계종택에는 144장이, 단계고택 에는 247판이 소장되어 있다. 이는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과 한국 국학진흥원(Advanced center for korean studies)의 조사에 의해 단계 마을 소장 고문헌 조사 보고서가 출간되어 그 전모를 알 수 있다. 그러나 고문헌은 화재와 충해 및 습기에 매우 취약한 특성을 안고 있다. 한번 멸실되거나 연고가 없는 곳으로 떠나 사유화 되고 나면 연구 자가 두 번 다시 그 내용을 열람할 수 없게 된다. 특히 근래 농촌사회의 고령화(高齡化)와 이농(離農)으로 인하여 마을 공동화 현상이 가속화되어가고 있다. 또 한학세대(漢學世代)의 단절로 인하여 문중에서 고 문헌을 소장하고 있어도 판독할 수 있는 사람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그리고 후손들은 점점 문중에 대한 자부심이 약화되어 문중 전래 고문 헌을 관리하는 데 한계에 도달했다. 따라서 단계마을의 역사기록인 고문헌을 전문 연구기관에 기탁하여 고문헌 정보를 전국의 연구자가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한다면 단계마 을 내면의 역사가 더욱 다각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고문헌은 마을의 다양한 인문지리정보와 결합하여 보다 더 대중화된 콘텐츠 개발이 가능해질 것이다. 후손들은 조상이 남겨준 고문헌을 잘 보존 관리하여 다음세대에게 물려주고, 또 고문헌을 오늘날의 상황에 맞게 대중적으로 연구 활용하 는 것이 전통문화 계승발전의 방안일 것이다.

Dangye village of Sancheong in Gyeongnam province is where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is well conserved. The real life of the villagers―when Dangye village was formed, which lineage group had lived, how they had lived, and which idea they had supported― can be studies through ancient archives written by Dangye villagers. In Dangye village, Donggye lineage group and Dangye lineage group own a number of ancients archives. 383 pieces of ancient books within 161 categories are stored at Donggye Head Family House, and 1,296 pieces within 378 categories at Dangye Old House. The number of ancient documents owned by Donggye lineage group of the Andong Kwon clan and Dangye lineage group of the Sangsan Kim clan reaches up to 1,628 pieces. 144 pieces of woodblocks are stored at Donggye Head Family House, and 247 pieces at Dangye Old House. These have been reported in a research on ancient archives in Dangye village by Gyeongnam Culture Institute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and Advanced Center for Korean Studies.Ancient archives are, however, extremely susceptible to deterioration by fire, insects, and humidity. Once the ancients archives are disappeared or owned by the private sector, researchers may not be able to have access to the archives. In particular, aging population and urban migration in rural areas have accelerated population decline in rural villages. Even though the lineage group has owned ancient archives up to date, the number of people who can translate into contemporary Korean and understand properly is decreasing as Chinese characters are now inaccessible to most of the current population. To make things worse, descendants with a low level of confidence in their lineage group have difficulty in managing their traditional archives in a proper manner. Therefore, the ancient archives, the history records of Dangye village, shall have to be donated to professional research centers so that researchers nationwide can have an easy access to traditional archives and the history of Dangye village can be studied in depth. In addition, ancient archives can be combined with variousanthrogeopraphical information of the village and developed into various public contents. Descendants have a grave responsibility to conserve traditional archives, to pass down to future generations, and to make use of them contemporarily as a way of a succession of traditional culture.

저자
  • 이정희(경상대학교 도서관 사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