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남 산청의 단계마을은 외형적으로 전통문화유산이 잘 보존된 마을 이다. 그러나 단계마을은 언제 형성되고, 어떤 문중이 어떻게 살아왔는 지, 어떤 인물은 어떤 사상을 지녔는지 그 내면을 들여다보고자 한다면 단계마을 사람들이 기록한 고문헌을 통해서 연구가 가능하다. 단계마을에서 동계문중과 단계문중이 고문헌을 많이 소장하고 있다. 동계종택에는 고서 161종 383권, 단계고택에는 378종 1,296권이 소 장되어 있다. 또 안동권씨 동계문중과 상산김씨 단계문중 소장 고문서 는 1,628점에 달한다. 책판(책판)도 동계종택에는 144장이, 단계고택 에는 247판이 소장되어 있다. 이는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과 한국 국학진흥원(Advanced center for korean studies)의 조사에 의해 단계 마을 소장 고문헌 조사 보고서가 출간되어 그 전모를 알 수 있다. 그러나 고문헌은 화재와 충해 및 습기에 매우 취약한 특성을 안고 있다. 한번 멸실되거나 연고가 없는 곳으로 떠나 사유화 되고 나면 연구 자가 두 번 다시 그 내용을 열람할 수 없게 된다. 특히 근래 농촌사회의 고령화(高齡化)와 이농(離農)으로 인하여 마을 공동화 현상이 가속화되어가고 있다. 또 한학세대(漢學世代)의 단절로 인하여 문중에서 고 문헌을 소장하고 있어도 판독할 수 있는 사람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그리고 후손들은 점점 문중에 대한 자부심이 약화되어 문중 전래 고문 헌을 관리하는 데 한계에 도달했다. 따라서 단계마을의 역사기록인 고문헌을 전문 연구기관에 기탁하여 고문헌 정보를 전국의 연구자가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한다면 단계마 을 내면의 역사가 더욱 다각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고문헌은 마을의 다양한 인문지리정보와 결합하여 보다 더 대중화된 콘텐츠 개발이 가능해질 것이다. 후손들은 조상이 남겨준 고문헌을 잘 보존 관리하여 다음세대에게 물려주고, 또 고문헌을 오늘날의 상황에 맞게 대중적으로 연구 활용하 는 것이 전통문화 계승발전의 방안일 것이다.
        2.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at setting up the grading indicator standards on development stages for phasing the continuous development process.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fter referring to the proposed cases derived from the reference analysis, the development stages were classified. Also grading criteria of indicators according to development stages were established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and expert group checking. Development stages of rural village were stepped into 4-stages through the reviews and analysis of reference literature ; preparation-entry-development-advanced stage. Reasonable achievement level of each development stage was established by considering the necessary development period and benchmarking reference target together. On the basis of these clear stepwise development phases, the grading criteria were proposed for determination of the incumbent development stages.
        3.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rural community planning focusing on the stepwise empowerment system in Jinan-gun, Jeollabuk-do province. This paper also tries to examine how this system affect the awareness for community planning and empowerment of the residents. The satisfaction of the people who join this program were also investigated.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A consisted of the people who join the system from the first stage, and group B consisted of the people who joined the fourth stage directly. The differences of the recognition, capability changes and satisfaction between two group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group A recognized the community planning system in Jinan-gun more positively than group B. They thought that it's very useful and beneficial for their community and this system should be continued further. The second, group A considered that they achieved bigger advancement in community design capabilities in terms of personal, relational and social aspects than group B. In addition, group A also showed higher satisfaction for rural community planning than group B. Based on the results, alternatives for rural community planning were drawn as follows. The first, considering that group A showed more positive responses, starting from the first stage is more stable way to succeed in rural community planning. Which means the critical condition of community design is not the community business but the improving the public awareness and community mind. The second, it's considered that the number of participation is proportional to the advancement of capability in community project, so improving residents' opportunity to participation in community design might be effective. The third, community leader is another critical condition. It is neede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education for the rural community leader with good experience and capability of community affai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