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阮堂尺牘》의 文藝美 KCI 등재

Literary Aesthetics of Wandangchukdok

《완당척독》의 문예미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130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1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이 글은 秋史 金正喜의 편지를 모아 간행한《阮堂尺牘》의 수사적 특징을 통한 글쓰기의 한 단면 과, 내면의식의 표현을 통한 내용적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추사 척독이 갖는 독특한 문예미를 조명 해 보고자 씌어졌다. 《阮堂尺牘》은 추사의 유배 이후부터 만년까지의 편지를 모은 것으로 經史, 百家, 古文, 詩詞, 老佛, 金石, 楷隸에 이르기까지 그의 학문과 예술 세계가 고스란히 나타나며, 내면묘사가 섬세한 문예취향이 강한 글이다. 《阮堂尺牘》의 수사적 특징은 ‘나열과 반복’ ‘영탄과 비장’ ‘직서와 고백’이라는 장치를 통하여 나 타나고 있다. 그는 유학자로서 절제된 감정이 아닌 흘러넘치는 직관적 감흥을 시적인 리듬감을 통 하여 표현하였다. 질병에 의한 육체적 고통과 인간의 도리를 다하지 못하는 고뇌를 영탄과 비장을 통하여 나타냈다. 그리고 자신의 의견이나 주장을 강하게 묘사하고자 할 때는 직서적 표현을 통하 여 내면을 여과 없이 진솔하게 표현하였다. 《阮堂尺牘》의 내용적 특징은 환경적 요인에서 오는 고독을 기다림이라는 장치를 통하여 치유하 고자 하였는데, 그 기다림의 매개체가 척독이었다. 그러나 어찌할 수 없는 극한 상황에서는 자연의 이법에 따른 주역의 소통 이론을 통하여 현실을 극복고자 하였다. 추사는 서신을 통하여 서예이론에 대한 공부법과 서화에 대한 품평으로 자신의 예술세계에 대한 깊이를 유감없이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당대 예술적 경향을 파악하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추사척독은 자신의 精華가 말 밖에 넘쳐흐르고 신묘한 운치를 유감없이 보여주며 척독의 예술성 을 풍부하게 부각시켰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그리하여 척독 사에 그의 위치를 자리매김하고 다 음 시기까지 이어주는 교량역할을 하였다.

本文通过搜集秋史金正喜的书信而编撰的《阮堂尺牍》考察和分析该书写作的修饰特征以及内容 意识特征,旨在重新认识秋史尺牍所具有的独特的文学艺术之美。 《阮堂尺牘》所搜集的信函包括他的幼年开始一直到晚年的内容,囊括經史、百家、古文、诗词、 老佛、金石、楷隸等广泛的领域,反映出他的整个文学与艺术世界,散发出一股强烈的文艺气息。 《阮堂尺牘》的修饰特征主要有“罗列与反复”、“咏叹与悲壮”以及“直写与告白”。其内容特征主 要是把特定的环境下出现的孤独情绪通过等待来痊愈,这种等待的媒介就是尺牍。在人力无法抗拒的 自然规律面前,作者企图通过周易的沟通理论来克服现实的困境。 尤其值得关注的是秋史尺牍信函把他的横溢才华,神奇的韵味表露无遗,由此丰富地刻画出尺牍 的艺术性,这巩固了尺牍史上的他的历史地位,并起到承上启下的桥梁纽带作用。

This thesis is written in order to introduce the literal and aesthetic identity of Chusa Chuckdok by identifying a kind of rhetorical characteristic of Wandangchukdok(阮堂尺牘) – a collection of Chusa(秋史) Kim jung-hee’s(金正喜) letters – and the expression of his inner side in the collection. Wandangchuckdok is a collection of his letters from his life of exile to his later years. His literal and artistic perspective are revealed in it from Kyoungsa(經史), Baekga(百家) Komun(古文), Sisa(詩詞) to Nobul(老佛), Kumsuk(金石) Haeyae(楷隸) and his inner side is described with delicacy. The collection’s rhetorical characteristic is revealed by the technique of ‘enumeration and repetition’, ‘exclamation and sadness’ and ‘frankness and confession’. He expressed his overwhelmed emotion not with restraint but with rhythmical rhymes. By ‘exclamation and sadness’, he expressed his ailment and incapacity as a human being. He used ‘frankness’ to express his opinion with transparency and vigorousness. Healing the loneliness from his circumstance by waiting - and chuckdok as a medium of the waiting - was the main characteristic of Wandangchuckdok’s content. But when there was no way out, he tried to overcome by Joo Yuck’s(周易) communication theory that abided by the law of nature. By identifying the content of letters, which shows his own evaluation of paintings – calligraphies as well – and quest of calligraphic theory, it is clearly revealed that Chusa fully showed his depth of his artistic perspective. This is a crucial resource for understanding the vogue of the aesthetics that time. By amply expressing his pure inner side and beauty in his Chuckdok, Chusa made descendents to focus on the aesthetics of Chuckdok. Moreover, he made his position impregnable in Chuckdok history and became a bridge to next Chuckdok generation.

목차
Ⅰ. 머리말
Ⅱ.《阮堂尺牘》의 실상
Ⅲ.《阮堂尺牘》의 수사적 특징
1. 나열과 반복
2. 영탄과 비장
3. 직서와 고백
Ⅳ.《阮堂尺牘》의 내용적 특징
1. 고독과 기다림의 정서
2. 자연 질서에 대한 긍정
3. 서화에 대한 품평
Ⅴ. 맺음말
저자
  • 한해혈(영남대학교, 한문교육과, 겸임교수) | Han, Hae-hy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