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태안 정산포와 황도갯벌에서 저서미세조류의 계절적 변동과 바지락의 생장 KCI 등재

Seasonal Variations of Microphytobenthos and Growth of Ruditapes philippinarum at Jeongsanpo and Hwangdo Tidal flat, Taea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155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한국 태안군 정산포와 황도 갯벌에서 저서미세조류의 종조성과 생물량의 계절적 변화가 바지락 생장과 연관성이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2년 2월부터 11월까지 계절별로 조사되었다. 연구기간 동안 저서미세조류는 총 122종이 관찰되었으며, 정산포에서 85종(계절별 30-45종), 황도에서는 92종(32-57종)이었다. 연평균 엽록소 a 의 농도는 정산포에서 79.75 ㎎/㎡였고 황도에서 151.50 ㎎/㎡였다. 갯벌 퇴적물에서 서식하는 저서미세조류의 연평균 세포수는 정산포에서 13,255 cells/㎠이었고 황도에서 15,943 cells/㎠였다. 정산포에서 Cylindrotheca closterium, Gyrosigma sp.와 Navicula sp.가 우점하였고 황도에서는 Amphora sp.1., C. closterium, Detonula pumila, Navicula sp.와 Merismopedia sp.였다. 또한, 두 연구정점에서 최대의 세포수를 나타낸 종은 Paralia sulcata였다. 정산포 바지락의 소화기관에서는 계절별로 18-31종의 미세조류가 분류되었으며, 황도 바지락 소화기관에서는 19-25종의 미세조류가 동정되었고 P. sulcata는 모든 계절에 바지락 소화기관에서 확인되었다. 바지락의 연평균 비만도는 정산포에서 연평균 0.42로 황도의 0.57에 비해 0.15가 낮았다. 결과적으로 바지락의 먹이원인 저서미세조류의 풍도와 엽록소 a 의 농도는 바지락 생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icrophytobenthos biomass and the condition index of Ruditapes philippinarum (manila clam), field observations were conducted seasonally at the tidal flats of Jeongsanpo and Hwangdo, Taean, Korea from February to November, 2012. A total of 122 species of microphytobenthos were identified over the study period with 85 species (30-45 species in season) at Jeongsanpo and 92 species (32-57 species) at Hwangdo.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and cell number of microphytobenthos were 79.75㎎/㎡ and 3,255 cells/㎠ at Jeongsanpo, and 151.50 ㎎/㎡ and 15,943 cells/㎠ at Hwangdo, respectively. The dominant species were slightly different: Cylindrotheca closterium, Fallacia forcipata, Fogedia sp., Gyrosigma sp., and Navicula sp. at Jeongsanpo and C. closterium, Detonula pumila, Diploneis sp., Navicula sp. and Merismopedia sp. at Hwangdo tidal flat. Paralia sulcata was the representative species based on cell number at the two study sites. The number of microphytobenthos identified from the digestive organs of manila clams seasonally varied from 18 to 31 species at Jeongsanpo and dominant genus were Amphora, Navicula, Nitzschia and Paralia sulcata. At Hwangdo, the species number of microphytobenthos found in the digestive organs of manila clams were in the range of between 19 and 25 species in season and the dominant genus were Actinocyclus, Amphora, Coscinodiscus, Diploneis, Gyrosigma, Navicula, and Diploneis. The condition index of manila clams were greater at Hwangdo (0.57) than at Jeongsanpo (0.42). Present results could support that the condition index of manila clams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pecies richness and chlorophyll a contents of microphytobenthos.

목차
서 론
연구방법
결과 및 고찰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박서경((주)연안관리기술연구소) | Seo Kyoung Park
  • 김보연(원광대학교 생명과학부) | Bo Yeon Kim
  • 오정순((주)생태와 환경) | Joung-Soon Oh
  • 박광재(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Kwang-Jae Park
  • 최한길(원광대학교 생명과학부) | Han Gil Choi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