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디지털시대의 불교와 영화, 호혜적 발전방안의 모색 KCI 등재

Seeking a Reciprocal Development of Buddhism and Film in the Digital A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232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100원
불교문예연구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초록

이 논문은 정보통신기술을 중심으로 불교와 영화의 호혜적 발전을 위한 소통 방식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이를 위해 불교와 영화, 정보통신기술과 영화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고, 영화와 불교의 호혜적 발전이 라는 맥락에서 불교와 영화의 소통 방식을 논의하였다. 선행연구들에 대한 검토 결과 불교와 영화의 관계 방식을‘불교=콘텐츠, 영화=미디어’라는 관점으로 이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이 영화의 제작과 유통, 소비에 이르는 모든 과정에 심대한 변화를 초래 했음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디지털시대에 있어서 불교와 영화의 소통 방식을 다음과 같이 제 시하였다. 첫째, 불교문화콘텐츠의 발굴에 더욱 힘쓰고, 이를 활용하기 위해 불교 코드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불교적 이미지와 영화적 상상을 결합해야 한다. 셋째, 불교영화의 안정적인 제작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소셜 펀딩을 활용한 제작비 모금 방식을 도입하고, 불교계의 화주 문화를 새롭게 정립하 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또한 소셜 펀딩에 참여한 불자 커뮤니티를 조직화하 고, 마케팅과 홍보를 위해 적극 활용해야 한다. 넷째, 불교텔레비전과 불교 계의 인터넷 TV 및 IPTV, 사찰영화제 등 불교영화가 소비될 수 있는 창구 를 다양화함으로써 수익 창출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 다섯째, UCC와 참여 영상을 통해 불교를 바로 알리고 불교계의 자기성찰을 모색해야 한다. 이와 함께 현재 시점에서 불교계와 불교영화는 영화산업 전체와 마주하기 보다는 소규모의 독립적 불교영화들을 불교계 내부에서 제작하고 유통시키 고 소비하면서 다양한 불교문화콘텐츠를 확보하고, 그 중에서 상업적 성공 을 거둘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이 불교계의 관점에서 불교와 영화의 호혜적 발전방안 을 모색하는 시론적이고 실천적인 연구임을 밝혔다. 특히 제작비 조달과 새 로운 영화 소비 방법의 제시를 통해 영화 제작 과정에서 불교의 새로운 역할 을 제안하고, 영화를 통해 불교계의 자기성찰 가능성을 드러냄으로써 불교 계가 영화를 활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communication of Buddhism and film in the digital age. First,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uddhism and film,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the film. Then discussed the communication of Buddhism and film in the context of the reciprocal development of Buddhism and film. Prior research had to understand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Buddhism and film in terms of‘ content=Buddhism, film=media’.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were identified that result in profound changes in every process, from the creation and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film. In the digital age, it presented the communication methods of Buddhism and the film as follows: First, spend more strength to dig a Buddhist cultural contents, the Buddhist code development is required in order to use them. Second, utilize social funding in order to provide a stable productionbased of Buddhist film, and should make an opportunity to establish a new culture of Buddhist fundraising. In addition to organizing the Buddhist community participation in social funding, it should be leveraged for marketing and promotion. Third, we need to combine Buddhist images and cinematic imagination. Fourth, immediately inform Buddhism and should seek the self-reflection of the Buddhist community through a UCC and participatory video. Fifth, we need to create revenue opportunities by diversifying the way in which the film has been consumed such as Internet TV, IPTV, Buddhist television and temple festivals, etc. Buddhism and Buddhist film should be produced, distributed, consumpted the small and independent cinema in Buddhist community. So, it should ensure a wide range of Buddhist cultural content. Then they should find a possibility to achieve commercial success. Finally, this paper presents the Buddhist community's role in the film making process and a new film uses. The former are a new film consumption and financing method, the latter is that revealed the possibility of a Buddhist community’s self-reflection through films.

목차
Ⅰ. 머리말
Ⅱ. 불교와 영화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Ⅲ.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영화의 변화
Ⅳ. 디지털시대 영화와 불교의 호혜적 발전방안
Ⅴ. 맺음말
저자
  • 박수호(덕성여자대학교 지식문화연구소 연구교수) | Park, Su-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