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考古所见中国早期刻画符号资料的 整理与名称研究 KCI 등재

고고학에 보이는 중국 초기 각화부호(刻畫符號) 자료의 정리와 명칭연구

  • 언어CHI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241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5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고고학에 보이는 중국 초기 각화부호(刻畫符號) 자료는 지속적으로 발견되어 어느 정도 그 중요성을 표출하였을 뿐만 아니라 고고학, 역 사학, 문자학, 예술사학, 기호학, 민속학 등 여러 학문분야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선행연구에서도 서로 다른 각도에서 다양한 연구가 진 행되었다. 다만 현재까지도 이러한 각화부호(刻畫符號)의 명칭문제를 전문적으로 언급한 논문은 보이지 않는다. 본고에서는 선행연구의 연 구성과에 기초하여 관련자료들을 전면적으로 수집하고 서로 다른 분 류표준에 의거하여 분류정리를 진행하였다. 분류과정에서 먼저, 현재 학계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각획부호(刻劃符號)’와 ‘각화부호(刻畫 符號)’의 경계가 불분명함을 발견하게 되었다. 실제로 ‘각획(刻劃)’과 ‘각화(刻畫)’는 본질상 구별이 있다. 전자는 칼과 같은 공구로 새긴 형태만을 표시하고, 후자는 새긴다는 의미뿐만 아니라 회화라는 의미 도 그 안에 내재되어 있어 지칭하는 범위가 비교적 광범위하다. 따라 서 ‘각화부호(刻畫符號)’라는 명칭이 더욱 포괄적이고 정확하기 때문 에 이를 사용하기를 건의한다. 둘째, 부호(符號)의 구성원리에서 출발 하여 부호의 점(點), 선(線), 면(面)에 대한 결구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중국 초기 각화부호(刻畫符號)에 대해 부호(符號)의 창제(創制) 특징에 의거해 명칭을 확정하자는 의견을 제기하고, ‘기하형부호(幾何 形符號)’와 ‘형성부호(象形符號)’와 같이 전면적으로 구분할 수 없는 각화부호의 문제에 대해서는 ‘선조류(線條類)’와 ‘형체류(形體類)’라는 총체적 구분방식을 도입하자는 관점을 제기하였다.

考古所见的中国早期刻画符号资料层出不穷,显示出了一 定的重要性,也受到了考古学、历史学、文字学、艺术史学、符 号学、民族学等多学科的注意。前人也都从不同的角度进行了不 同程度的研究。但是截至目前,还看不到有学者专门就这些刻画 符号的名称问题展开研究。本文在参考前人相关成果的基础上, 全面搜集了相关资料,并按照不同分类标准进行了分类整理。在 分类的过程中,首先,我们认为目前学界多用的“刻划符号”和 “刻画符号”的界限不清,其实“刻划”与“刻画”本质上是有区别 的,前者仅表示用刀等工具刻写的性状,后者不仅含有刻写的含 义,而且还包含绘画的意思在里面,所指范围较广,所以我们建 议用“刻画符号”的名称更为全面准确。其次,我们从符号的构型 原理出发,对符号形体的点、线、面进行了结构分析,提出了对 中国早期刻画符号按照符号的创制特征进行确定名称的意见。针 对“几何形符号”与“象形符号”不足以全面划分刻画符号的问题, 提出用“线条类”和“形体类”总体划分的观点。

목차
Ⅰ. 考古所见的中国早期刻画符号资料
Ⅱ. 中国早期刻画符号分类整理的名称问题
1. 中国早期刻画符号名称的总体认识。
2. 前人在定名方面的意见
3. 前人在命名方面存在的问题
4. 建议用“线条类”和“形体类”作符号
本身的区分
Ⅲ. 结语
저자
  • 马保春(中国首都师范大学教授) | 마바오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