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이황의 敬 사상과 서예관 KCI 등재

이황의 경 사상과 서예관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241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4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이황은 경 사상을 근본으로 하여 居敬을 몸소 실천하려고 노력한 유학자였다. 그는 젊어서 유학을 공부하면서 처음으로 心經附註라 는 책을 구하였다. 그러나 그는 이 책을 읽으면서 “너무 늦게 깨달아 이루기 어렵다.”고 한탄하기도 하였지만, 처음 학문하고 수양하는 일 에 感發하고 興起한 것은 이 책의 힘이었다고 스스로 말하였다. 송종 관 또한 이 책을 읽고 나서 서예가 마음의 그림이라는 의미를 확실히 깨닫게 되었음은 더 말할 나위가 없다. 서예가 마음의 그림이라고 하는 설은 일찍이 한나라 양웅이 제시하 였다. 이 설은 나아가 ‘마음이 발라야 글씨가 바르다.’․‘마음 법이 곧 서법이다.’․‘사람이 발라야 글씨가 바르다.’ 등으로 전개되어 서품이 곧 인품이라는 ‘書與其人’ 설로 발전하였다. 서여기인의 근본은 도덕성이다. 도덕성은 敬의 사상에서 비롯한다.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경은 공경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경의 이 의미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가 살펴보면 더욱 오묘한 이치가 담겨있다. 경은 곧 道의 이론적 근본이 되면서 도를 실천 하는 방법이기도 하 다. 이때의 경은 엄숙․경건․공경․경외․깨어있음․마음의 수렴 등 다 양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그 다양한 의미 가운데 程頤와 朱熹가 특별히 주목한 것은 ‘主一無適’의 의미였다. 주일무적은 글자 그대로 하나에 집중하여 흐트러짐이 없다는 뜻으로 일종의 정신집중을 의미 한다. 하지만 더 깊은 뜻은 인욕의 유혹에서 벗어나 천 리의 실천에 집중한다는 뜻이다. 서예 또한 이러한 의미에서 크게 벗어날 수 없다. 서예공부는 서예의 이론적 근본을 바탕으로 기능적 실천이 따라야 하 는 것이기 때문이다. 정자는 서예의 근본정신을 경의 사상으로 보았다. 이러한 의미에서 정자는 “내가 글씨를 쓸 때 매우 경한 마음으로 쓴다. 이것은 글자를 잘 쓰고자 해서가 아니라 다만 이것이 배우는 것이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이 정자의 ‘寫字時甚敬’은 곧 유가 도덕 서예의 근본사상 이 되었다. 이황 역시 이 의미를 모를 리 없었던 것이다. 이황은 이 ‘敬字之意’를 서예에서도 실천에 옮겨보려고 노력한 학자였다. 그래서 그의 서예를 ‘경의 서예’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李滉是以敬思想爲根本, 以居敬要自身實踐的儒家者. 他早時學儒家 始得 心經附註. 但讀這本書自謂, 曰因晩覺難成之嘆, 而于始學問修 養之事感發興起肇于 心經附註這本書. 筆者亦讀這本書後明確覺書 心畵之意義. 書心畵之說曾提出漢代揚雄的. 此說進一步發展心正則筆正, 心法卽 書法, 人正則筆正, 成了書品就是人品的書如其人說. 書如其人之說根本是道德性的. 道德性始于敬之思想. 一般地知道, 敬是含有恭敬的意義. 從敬的意義上進一步探索知道了內涵妙的理致. 敬是卽道的理論的根本, 又實踐道的一種方法. 此敬的意義內涵嚴肅敬 虔恭敬敬畏覺性收斂等等多樣的意味. 在多樣的意味中程頤朱熹殊注意 是主一無適的意味. 主一無適是集中不散的意味, 又是一種精神集中也. 但尤深遠的意味是脫人慾的誘惑集中千里之實踐也. 書法亦不能太免離 這種意味. 學習書法以理論的基礎上要隨着技法的實踐. 程子看做書法的根本精神是敬的思想. 在這的意義中程子曰, 某寫字 時甚敬 非是要字好 只此是學 這程子的寫字時甚敬成了儒家道德書法 的根本思想. 李滉亦無不知道這種意味. 李滉以敬字之意移在書法要實 踐努力的學者. 所以他的書法稱謂敬的書法也.

목차
Ⅰ. 서 론
Ⅱ. 경 사상
Ⅲ. 경의 서예
Ⅳ. 경의 서평
Ⅴ. 결 론
저자
  • 송종관(한림대학교 외래교수) | 宋鍾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