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자두 품종의 과실발육기간 동안의 주요 과실 특성 변이 KCI 등재

Variation of Major Fruit Characteristics During Fruit Development Period in Plum Cultiva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15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서로 다른 숙기를 가진 여섯 개의 자두 품종을 이용하여 과실 발육 단계에 따른 주요 과실 특성의 변 화를 조사하였다. 자두 과실의 산도는 유과기에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가 과실의 발육이 급속하게 이 루어지는 시기를 기점으로 감소되고 이후 수확기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산 도와 거의 반대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숙기가 빠른 품종 일수록 보다 빠른 시기에 변화가 나타났 다. 수확기에 측정 된 산도와 가용성 당함량의 축적량은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어 품종 특이적인 변이 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과실의 발육동안 유리당과 유기산의 조성변화와 수확기에 조사된 총 유리당과 유기산 함량의 검정 결과에서도 품종에 따른 변이를 관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과실의 발육과정 중 일어 나는 품종 특이적 과실특성의 다양한 변화 양상이 결과적으로 수확기 품종 간 과실품질에 있어서 변이 를 일으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과실의 특성과 관련된 형질들의 값을 이용하여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본 실험에 이용된 여섯 개의 품종을 대조적인 과실 특성을 가진 세 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과실발육 기간 동안과 수확기에 대 조적인 과실특성을 가진 품종들을 이용한 추가적인 생리 및 육종 연구들은 고품질 자두의 육종에 도움 을 줄 수 있을 것이다.

Changes in major fruit characteristics in the fruits of six plum cultivars differing in maturity were investigated during their fruit development. Acidity of the plum fruits showed the highest levels at the earliest stage of fruit development and gradually declined with the full development of the fruit. Soluble solid sugars in the fruits increased in patterns opposite to those observed for acidity. The changes of these contents began earlier in plum cultivars with early maturity, and a significant variation among cultivars was found in soluble solid and acidity content investigated at harvest time. Similarly, cultivar-specific variations in change patterns and in the content of individual and total organic acids and sugars were observed during fruit development and at harvest time. These results indirectly indicated that cultivar-specific change patterns in major fruit characteristics during fruit development result in differences in fruit quality at harvest time and are the major reasons driving genetic variations of fruit quality. Cultivar segregation according to fruit characteristics was also attempted through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of six plum cultivars, and plum cultivars were segregated into three groups with different fruit properties. Further physiological and breeding studies using cultivars with comparative changing patterns of fruit characteristics during fruit development and fruit properties at harvest time will help to develop a high quality of plum.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허재윤(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Jae-Yun Heo
  • 윤성준(강원대학교 원예학과) | Sung-Joon Yun
  • 박성민(강원대학교 원예학과) | Sung-Min Park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