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착용된 안경의 렌즈삽입부에서 동공의 위치에 대한 고찰 KCI 등재

The Study for Pupil Position in the Eye size After Glass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39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시력의 교정은 눈과 안경렌즈의 조합으로 가능해지며 렌즈의 특성과 구조 등에 맞추어 안광학계의 전면부에 착용되어야 올바른 교정이 가능하다. 또한 안경의 착용시 안정감과 어울림 등의 미적인 요소 역시 안경 착용자에게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 된다. 따라서 안경을 착용했을 때 안광학적 성능과 미적으로 가장 바람직하고 안정적일 수 있는 기준의 설정은 안경사의 업무수행에서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방법: D대학의 학생 73명을 대상으로 사진 촬영을 통한 착용된 안경의 렌즈삽입부에서 동공의 위치를 안경 렌즈삽입부의 황금분할을 기준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수평방향에서 귀방향 편위의 평균은 3.2mm(SD 1.6), 코방향 편위의 평균은 0.7mm(SD 0.4)이었으며 수직 상방향 편위의 평균은 4.1(SD 1.9), 하방향 편위의 평균은 0.6mm(SD 0.4)이었다. 또한 안검을 기준으로 안검의 상방 편위의 평균은 2.9mm(SD 1.6)이었으며 하방 편위의 평균은 1.2mm(SD 1.0)로 조사 되었다. 결론: 조사된 자료를 통해 대학생들의 안경착용에 있어서 안경을 황금분할보다 좌우가 작고, 광학중심점의 높이가 긴 안경을 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현재 유행이 복고풍으로 Oh가 긴 안경의 추세를 볼 때 20대 대학생들은 유행에 맞추어 안경을 쓰고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안경사는 어떠한 식으로 안경을 권해 주어야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여 줄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하여 앞으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Purpose: The correction of V.A. is possible as the eye optical system and the combination of the glasses lens. Likewise the proper correction is made as lens which lie at anterior surface of the eye optical system with adequate concern of quality and structural etc. of lens. But it is important that the stability of eye -glasses and cosmetic element come to fix in the wearing person when consequently wearing the eye-glasses. Therefore The standards that the eye-glasses most is appropriate in eye optical system efficiency and beauty care element becomes the help in business accomplishment of optician. Method: It is analyzed as standard which pupil position in eye size of wearing glasses is equal to eye size golden proportion of eye-glasses at 73 people students of D universities with a photo shoot. Results: From horizontal direction the average of ear direction deviation 3.2 mm (SD 1.6), the average of nose direction deviation 0.7 mm (SD 0.4) the average of the vertical upper part direction deviation to be 4.1 (SD 1.9), the average of lower direction deviation was 0.6 mm (SD 0.4). Also of the eyelid, the average of upper part deviation 2.9mm (SD 1.6) and the average of below part deviation was investigated 1.2mm (SD 1.0). Conclusion: The data which is analyzed leads inform that the university students choice glasses of smaller in right or light and higher in optical height than golden proportion. It draws conclusions that 20` university students follow to popularity in eye-glasses because lately trend is reactionary tendency which is glasses with longer oh. In this sense, the optician continuously must study the method to raising the satisfaction of the consumers, how recommend the eye-glasses.

저자
  • 정상훈
  • 김흥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