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enton (Me) deviation is commonly used for diagnosing facial asymmetry. This study compared angle and distance measurement in determining the severity of Me deviation for facial asymmetry diagnosis.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ic(3D CT) images of 32 patients (mean age 22.5yrs, SD 3.4yrs; 16 male, 16 female) with facial asymmetry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gle and distance of Me deviation in each patient were obtained and the severity of Me deviation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ngle and the distance measurement. The severity of Me deviation by angle and distance measurement was compared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Eight (25%) showed disagreement in severity of Me deviation between the two measurements. The kappa coefficient on the two measurements was 0.67, showing substantial agreement. It is suggested that both angle and distance measurement be performed in determining severity of Me deivation.
        4,000원
        2.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compare chin deviation in angle measurement on posteroanterior(PA) cephalogram and computed tomography (CT). Chin deviation was assessed as menton(Me) deviation in angle measurement on PA cephalogram and CT images of 35 patients who had orthognathic surgery (19 male and 16 female with average age of 22.1±3.33yr).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 deviation was calculated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deviation direction and asymmetry severity on the two imaging modalitie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fference of Me deviation between PA cephalogram and CT by one-simple t-test (p<.05). The mean difference of Me deviation was 2.21°± 1.84°. The maximum difference of Me deviation was 8.64°. There were statistical agreements in the deviation direction (k =0.82, p<.05) and in the severity of facial asymmetry (k =0.37, p<.05). The difference of the deviation direction was detected in 2 patients (5.71 %). The difference of the severity of facial asymmetry was in 15 patients (42.86%). The chin deviation in angle measurement might be different between PA cephalogram and CT in some patients.
        4,000원
        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본 연구에서는 간헐성외사시안을 대상으로 시기능 훈련 후 편위량의 변화 원인 및 기간경과로 인한 편위량 변화에 대한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간헐성외사시안 38명(남: 22, 여: 16) 중 8주간 시기능 훈련을 성실히 수행한 31명(남: 18 여: 13)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훈련 전과 훈련 종료 후 그리고 훈련 후 6개월 및 12개월 경과 따라 Jedo-Hun-Changsun(JHC)편위검사 및 프리즘가림검사를 실시하여 간헐성외사시안의 시기능 훈련 후 편위량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 과: 시기능 훈련 전과 훈련 후의 편위검사에 따른 편위량 변화에 대해서 유의적 수준으로 편위량 감소를 나타내었고(p
        4,000원
        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근시진행을 지연시키기 위해 누진가입도렌즈를 착용하는 어린이의 독서시 하방편위량이 근시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근시성 어린이 80명(8~12세, 구면굴절이상도 -0.50D~-5.00D)을 대상으로 누진가입도렌즈(42명)와 단초점렌즈(38명)를 무작위로 착용시켰다. 안경착용 1주 후, 2주 후 및 4주 후 카메라를 이용하여 근거리작업시 하방편위량을 측정하였다. 6개월 후 굴절이상도와 안축장의 변화와 독서시 하방편위량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누진가입도렌즈 착용군의 근거리작업 시 하방편위량은 평균 7.14±1.19 mm였으며, 하방편위량이 클수록 6개월 동안 굴절이상도의 변화량이 적고(r=0.52, p=0.00), 안축장의 변화량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r=-0.47, p=0.00). 6개월 간 근시진행도는 누진가입도렌즈 착용군에서 -0.25±0.22D, 단초점렌즈 착용군에서-0.37±0.23D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2), 안축장의 변화는 누진가입도렌즈 착용군에서 0.13±0.10 mm, 단초점렌즈 착용군에서 0.19±0.14 mm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3). 결론: 어린이에게 6개월 동안 누진가입도렌즈를 착용시켰을 때 단초점렌즈와 비교하여 근시진행이 지연 되었고, 독서시 하방편위량이 클수록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누진가입도렌즈의 착용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독서시 충분한 하방주시가 이루어지도록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4,200원
        5.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수평 및 수직 프리즘을 가입하여 인위적으로 편위를 유발시킨 후 시간 경과에 따라 사위도의 변화를 조사하여 프리즘적응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정상 양안단일시를 하는 25.3±3.2세의 성인 42명(남자 23명, 여자 19명)을 대상으로 프리즘적응 검사를 실시하였다. 16Δ BO, 8Δ BI, 우안기준 3Δ BU 및 3Δ BD으로 편위를 유발시켰다. 프리즘 가입 전과 가입 직후, 3분, 6분, 12분, 20분 및 30분 후에 원·근거리(3m, 40cm)에서 Modified Thorington 방법으로 수평 및 수직 사위를 측정하였다. 결과: 16Δ BO을 가입한 직후 외편위, 8Δ을 BI 가입한 직후 내편위, 3Δ BU을 가입한 직후 우안 기준 좌안 상편위 및 3Δ BD을 가입한 직후 하편위가 각각 유발되었다. 이때 빠른 융합버전스 작용에 의해 프리즘 가입양의 약 36∼60% 정도가 1차적으로 적응되었다. 30분 동안 프리즘가입으로 유발된 편위는 원거리와 근거리에서 모두 느린 융합버전스 작용에 의해 원래의 사위도(baseline)를 향해 점차 회복되는 지수감소곡선의 회귀식을 보였다. 프리즘 가입 양이나 기저방향에 관계없이 가입 초기부터 약 12분까지 원래의 사위도 방향으로 급하게 회복되는 2차 적응이 일어났고, 그 이후부터는 약하게 회복되는 3차 적응이 일어나 30분의 검사시간 동안 가입된 프리즘양의 약 90% 정도의 적응을 보였다. 프리즘적응의 정도는 프리즘의 기저방향이나 주시거리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결론: 수평 및 수직 프리즘 가입 직후 빠른 융합버전스 작용이 일어났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느린 융합버전스 작용이 일어나 원래의 사위도로 회복되는 1차, 2차 및 3차의 프리즘적응현상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임상에서 수평 및 수직 프리즘을 처방할 때 프리즘적응 현상을 고려하고 프리즘적응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프리즘을 처방하기 전에 프리즘적응 검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4,600원
        6.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수평 및 수직 프리즘을 가입하여 프리즘 적응이 일어나는 동안 입체시력의 변화를 조사하고 프리즘으로 유발된 편위가 입체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정상 양안단일시를 하는 25.3±3.2세의 성인 42명(남자 23명, 여자 19명)을 대상으로 16△ BO, 8△ BI, 우안기준 3△ BU 및 3△ BD을 가입하여 프리즘 적응 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리즘 가입 전과 가입 직후, 3분, 6분, 12분, 20분 및 30분 후에 Three-needle Test(TN), Stereo Reindeer Test의 Numbered circles(RNC), The Borish Vectographic Nearpoint Card II의 Stereopsis Tartets Cluster(BSC) 및 random dot Cell(BSRC)을 이용한 입체시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수평 및 수직 프리즘으로 편위가 유발되었을 때 모든 항목의 입체시력이 급격하게 저하되었다. 프리즘 가입으로 저하된 입체시력은 30분의 적응시간 동안 프리즘 가입 전에 측정된 원래의 입체시력(baseline)을 향해 점차 회복되는 지수감소곡선의 회귀식을 보였다. 프리즘 가입 양이나 기저방향에 따라 약간씩의 차이는 있었으나 일반적으로 프리즘 가입 후 약 6분까지 많은 회복이 있었고 그 이후에는 약한 회복을 보였다. 프리즘 적응 동안 프리즘으로 유발된 편위로 인한 사위도 변화와 입체시력의 변화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입체시력을 측정하여 프리즘의 적응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선형 및 지수감소 회귀식을 얻을 수 있었다. 결론: 수평 및 수직 프리즘 가입으로 편위가 유발되었을 때 입체시력이 급격하게 저하되었으나 적응에 의해 원래의 입체시력으로 회복되었다. 그러므로 입체시력을 측정하여 프리즘 적응의 평가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4,800원
        7.
        199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adio Navigation System(R. N. S.) has been progressed consistantly with the development of electric-electronic engineering techniques since the R. D. E had been developed in 1910. The R. N. S. mostly depends on either Hyperbolic Navigation System(H. N. S.) or Spherical Navigation System(S. N. S.) in the ocean, and on Rectangular Navigation System (R. N. S.) in the air near the airport or an a combinations of the above systems in both area. Another effective R. N. S may be the Ellipse-Hyperbola Navigation System(E-H N. S.), which is proposed and named such in this paper. The equations calculating GDOP are derived and the GDOP values are calculated in the case of H. N. S., S. N. S, and E-H. N. S., respectively, for the specified case that four transmitting stations are arranged on the apex of a square, Then the GDOP diagrams of above navigation systems are presented for qualitative comparison in this paper. To measure the distances from the receiver to the stations in S. N. S., and/or the sum of distances to two stations in E-H N. S., the time synchronization between the transmitter clocks and the receiver clock is a major premise. The author has proposed the algorithm for getting this synchronmization utilizing the by S. N. S. or E-H N. S while GDOPs of those are relatively good. Even though clock synchronization error is a voidable due to the fix error used, the simulated results shows that the position accuracy of S. N. S. and E-H N. S. by the proposed method is far upgraded compared with that determined by H. N. S. directly, as far as the outer region of transmitter arrangement is concer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