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RGP 렌즈의 형상에 따른 파면수차 분석 KCI 등재

An Analysis of High-order Aberration according to the RGP Lens Desig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41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RGP 렌즈의 형상에 따른 파면수차를 분석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하고 안질환이 없고 굴절교정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대학생 38명(남 21명, 여 17명, 24.71±0.76세)을 대상으로 나안시력(0.36±0.34), 교정시력(1.06±0.13), 각막이심률(0.51±0.11) 과 RGP 렌즈 착용 전 후 안구수차를 측정하였다. 결과: 고위수차에서 코마수차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세조각수차와 구면수차는 4가지 디자인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0.05). 동공크기와 고위수차의 상관성은 A 렌즈에서 코마수차(r=0.406, p=0.000) 및 세조각수차(r=0.232, p=0.044)와 유의성이 있었다. 각막이심률과 고위수차의 상관성은 없었다. 등가구 면굴절력과 고위수차의 상관성은 C 렌즈에서만 코마수차와 유의성이 있었다(r=0.324, p=0.004). 각막굴절 력과 고위수차의 상관성은 코마수차는 B 렌즈(r=0.310, p=0.006)에서, 세조각수차는 D 렌즈(r=0.255, p =0.026)에서 유의성이 있었다. 구면수차는 A 렌즈(r=0.358, p=0.002), B 렌즈(r=0. 501, p=0.000) 및 C 렌즈 (r=0.479, p=0.000)에서 상관성이 있었다. 결론: 4가지 RGP 렌즈에서 가장 변이가 큰 수차는 구면수차이며, 렌즈의 전면에 경계가 없고 일정한 면을 가지고 있는 비구면 디자인에서 고위수차가 효과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면수차를 줄이는 렌즈의 디자인이 개발된다면 시력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wave aberrations according to different RGP lens designs with Wavescan (made by Abbott Medical Optics Inc.). Method: The subject were 38 undergraduate (21 males and 17 females at the age of 24.71±0.76) who gave their consent t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nd did not have any ocular diseases, ocular diseases history and refractive surgery. Then, their naked eyesight, corrected eyesight and corneal eccentricity were measured with Pentacam, and also their ocular aberration was measured with Wavescan before and after they wore the RGP lens. Result: In high-order aberr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found in coma, but trefoil and spherical aberration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all the four designs (p

저자
  • 김진영(마산대학교 안경광학과) | Jin-Yeong Kim
  • 엄정희(마산대학교 안경광학과) | Jeong-Hee Eom
  • 배현주(마산대학교 안경광학과) | Hyun-Joo Bae
  • 윤미옥(마산대학교 안경광학과) | Mi-Ok Yun
  • 김흥수(대전보건대학 안경광학과) | Heung-Soo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