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등학교 고학년의 생활습관에 따른 근시도의 분석 KCI 등재

Degree of myopia according to lifestyle behavior in an upp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44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 적: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생활습관에 따른 근시 정도를 분석하여 근시의 관련 요인을 알아보 고자 하였다. 방 법: 2009년 9월부터 2010년 5월까지 서울과 아산에 위치하고 있는 8개 초등학교의 남녀 학생 중 안 질환과 사시나 약시가 없는 257명을 대상으로 자동굴절력계를 사용하여 굴절이상도를 검사하였다. 시력관리 에 대한 항목으로 시력교정 상태, 현재 착용하는 안경의 눈 검사 시기와 안경의 착용 실태에 대해서 조사하 였고, 생활습관 관련 항목은 컴퓨터 사용시간, 독서 시간과 독서 자세, TV 시청 자세, 1일 실외 생활시간 그 리고 부모의 근시 여부를 포함하였다. 대상자의 등가구면굴절력은 -9.38D~+0.38D로 평균연령은 12.74±0.44세(12~13세), 남녀대상자는 남 99명(40.7%)와 여 144명(59.3%) 이었다. 결 과: 전체 대상자들의 평균 등가구면굴절력은 -2.01±1.86D로 지역별 차이는 없었다(서울: -1.87± 0.49D, 충남: 평균 -2.09±1.86D, p=0.374). 전체 대상자 중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그룹에서 72.5%가 근 시였고, 안경착용 그룹에서는 눈 검사를 받은 지 6개월이 지난 학생이 34.6%였다. 성별, 1일 2시간 이상의 독서 시간과 소파, 바닥, 거실바닥에 엎드려 보는 나쁜 독서 자세, TV 시청 자세, 1일 실외에서의 생활시간 에 따라서 근시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일 컴퓨터 사용시간이 2시간 이상(2시간 미만: -1.80±1.68D, 2시간 이상: -2.36±2.07D, p=0.026)일 경우에는 근시의 경향이 높았고, 부모 모두 근시가 있을 때 자녀의 굴절이상도는 평균 -2.78±2.36D, 둘 중 한명만 근시일 경우는 -1.95±1.75D, 둘 다 근시 가 없을 때는 -1.60±1.44D를 보였다(p=0.001). 결 론: 1일 컴퓨터 사용시간과 부모의 근시 여부에 따라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근시 정도가 높아졌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related factors of myopia by analyzing the degree of myopia depending on the lifestyle in an upp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Method: Among 12~13 year-old male and female students attending in 8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Asan-si from Sep. 2009 to May 2010, 257 students, who did not have any eye diseases and strabismus, were selected to exam the degree of refractive error by using autorefractometer. Regarding the items on vision care, the current statuses of vision correction as well as the eye check-up period of the currently wearing spectacles and actual condition of spectacles wearing were examined while hours of computer use, hours and posture when reading, posture when watching TV, and presence of parents` myopia were accessed for the items related to lifestyle. The average spherical equivalent of the subjects was -2.01±1.86D(-9.38D~+0.38D) and average age was 12.74±0.44(12~13) year-old having 59.3% of female students. Result: In the group that did not wear spectacles out of the entire subjects, 72.5% was myopia and those who had eye check-up more than 6 months ago were 34.6% in the glasses wearing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he refractive error depending on sex, reading hours more than 2 hours a day, bad reading posture laying on a couch and floor, posture when watching TV, and time spent outside a day. In case of having more than 2 hours of computer use a day (less than 2 hours: -1.80±1.68D, more than 2 hours: -2.36±2.07D, p=0.026), the subjects tended to be myopia. Also when parents had myopia, the degree of refractive error in their child was -2.78±2.36D in average while the degree of refractive error was -1.95±1.75D if either one of the subjects` parents was myopia. For the parents with no myopia, the refractive error was -1.60±1.44D (p=0.001). Conclusion: Depending on the hours of daily computer use and presence of parents` myopia, the degree of myopia got increased.

저자
  • 김효진(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안경광학과) | Hyo-Jin Kim
  • 임현성(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 Hyun-Sung Leem
  • 성형경(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안경광학과) | Hyung-Kyung Sung
  • 이슬이(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안경광학과) | Seel-Yi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