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인의 각막 파면고위수차에 관한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Higher-order wavefront aberration In the cornea of Kore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48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20~71세 성인을 연령에 따라 5군으로 분류하여 연령에 따른 한국인의 고위수차 변화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 법: 본 연구의취지에 동의한 사람가운데 전신질환이나 안질환이 없으며, 굴절이상 수술을 포함하여 안과 관련 수술병력이 없는 성인 290안을 대상으로 Pentacam을 사용하여 동공직경 5mm 범위에서의 총고위수차(HOA), 총구면수차(TSA), 총코마수차(TCA), 총트레포일수차(TTA)를 측정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군의 전면 HOA의 Root-mean square(RMS)에 대한 평균값은 0.094±0.021㎛, 후면 HOA의 RMS에 대한 평균값은 0.022±0.004㎛ 이고, 전체 HOA의 RMS에 대한 평균값은 0.080±0.022㎛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HOA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면수차는 연령과 유의한 상관관계(r=0.335, p < 0.0001)를 보였지만, 후면과는 유의한 상관관계(r=0.096, p=0.102)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대상군의 전면 TSA의 RMS에 대한 평균값은 0.279±0.057㎛, 후면 TSA의 RMS에 대한 평균값은 0.057±0.017㎛ 이고, 전체 TSA의 RMS에 대한 평균값은 0.223±0.056㎛ 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TSA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면수차는 연령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0.240, p < 0.0001)를 보였지만, 후면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0.358, p < 0.0001)를 보였다. 전체 대상군의 전면 TCA의 RMS에 대한 평균값은 0.089±0.046㎛, 후면 TCA의 RMS에 대한 평균값은 0.024±0.012㎛ 이고, 전체 TCA의 RMS에 대한 평균값은 0.081±0.045㎛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TCA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면수차는 연령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0.118, p=0.04)를 보였고, 후면 또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0.311, p < 0.0001)가 나타났다. 전체 대상군의 전면 TTA의 RMS에 대한 평균값은 0.042±0.035㎛, 후면 TTA의RMS에 대한 평균값은0.012±0.008㎛ 이고, 전체TTA의RMS에 대한평균값은0.041±0.032㎛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TTA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면수차는 연령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0.250, p < 0.0001)를 보였고, 후면 또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0.149, p=0.011)가 나타났다. 결론: 한국인의 각막 고위수차 분석을 통하여 한국인 눈의 광학적 부분의 더 나은 이해를 제시하였으며, 현대인의 시력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We have investigated the variation of Higher-order aberration in a Korean sample population with various age between 20 to 71 years old. Methods: We used Pentacam (Oculus Inc., Germany) to measure the total higher-order aberration, total spherical aberration, total coma aberration and total trefoil aberration of 290 patients with normal cornea. Result: Mean RMS values were 0.094±0.021㎛ for anterior HOA, 0.022±0.004㎛ for posterior HOA, 0.080±0.022㎛ for total HOA.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nterior aberration and age(r = 0.335, p < 0.0001).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osterior aberration and age(r = 0.096, p = 0.102). Mean RMS values were 0.279±0.057㎛ for anterior TSA, 0.057±0.017㎛ for posterior TSA, 0.223±0.056㎛ for total TSA.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nterior aberration and age(r = 0.240, p < 0.0001). But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posterior aberration and age(r = -0.358, p < 0.0001). Mean RMS values were 0.089±0.046㎛ for anterior TCA, 0.024±0.012㎛ for posterior TCA, 0.081±0.045㎛ for total TCA.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nterior aberration and age(r = 0.118, p = 0.04) also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osterior aberration and age(r = 0.311, p < 0.0001). Mean RMS values were 0.042±0.035㎛ for anterior TTA, 0.012±0.008㎛ for posterior TTA, 0.041±0.032㎛ for total TTA.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nterior aberration and age(r = 0.250, p < 0.0001) also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osterior aberration and age(r = 0.149, p = 0.011).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this data can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for future studi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vision of modern human a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HOA of cornea was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optical part of the Korean`s eye.

저자
  • 송윤영(제주관광대학교 안경광학과) | Yun-Young Song
  • 이혜정(여주대학교 안경광학과) | Hae-Jung Lee
  • 정미아(극동대학교 안경광학과) | Mi-A Jung
  • 오현진(백석문화대학교 안경광학과) | Hyun-Jin Oh
  • 백승선(대전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Seung-Sun Baek
  • 강인산(제주관광대학교 안경광학과) | In-San Kang
  • 최지영(제주관광대학교 안경광학과) | Ji-Young Ch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