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스마트폰 사용여부에 따른 온도와 상대습도 변화가 건성안 유발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Variation on the Dry Eye for Using Smart Phon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57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의 사용여부에 따른 온도와 상대습도의 변화가 건성안에 영향을 미치 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측정 평가하였다. 방 법: 실험은 온도와 습도의 조건을 설정하여 총 9회 측정을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건성안과 관련이 없 는 지원자 30명을 스마트폰 사용 군과 사용하지 않는 군으로 분류하였으며, 1회 측정 시 같은 실험공간과 환 경조건에서 동일하게 2시간동안 지내게 한 후 설문과 Non invasive break up time, tear film Break-Up Time, Schirmer test의 4가지 건성안검사를 실시해 건성안의 유무를 파악하였다. 결 과: McMonnies dry eye symptom questionnaire에서는 상대습도가 낮을 때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군에서 안구 건조의 발생 가능성이 각각 1.27배(95% CI: 1.201-1.348) 및 0.43배(95% CI: 0.211-0.886) 높 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Schirmer test에서도 상대습도가 낮을 때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군에서 각각 건 성안의 발생 가능성이 1.36배(95% CI: 1.264-1.478) 및 0.19배(95% CI: 0.080-0.465)로 유의한 결과를 나 타내었다. tear film Break-Up Time의 검사에서의 건성안에 대한 발생 가능성은 상대습도가 낮을 때 1.23 배(95% CI: 1.176-1.303),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군에서 0.15배(95% CI: 0.075-0.330)로 높아졌으며, Non invasive break up time검사에서도 건성안의 발생 가능성이 상대습도가 낮을 때 1.20배(95% CI: 1.149-1.258),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0.27배(95% CI: 0.141-0.528)로 높아지는 것으로 측정 분석되었다. 결 론: 상대습도가 낮을 때와 스마트폰 사용자에서 건성안의 영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온도의 변화는 건성안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measure and asses for confirming whether the use of smart phone was related to dry eye or not under various temperature and humidity. Methods: Undergraduate applicants 30 subjects were studied under constant temperature and constant humidity for 2hr. wh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mart phone user group and non-user group. They were checked at 9 times in a person, whether they have dry eye or not, by using 4 kinds of dry eye examination which were questionnaire, Non invasive break up time, tear film Break-Up Time and Schirmer test. Results: In McMonnies dry eye symptom questionnaire, we analyzed that low humidity and smart phone user group had 1.27 times (95% CI : 1.201-1.348) and 0.43 times (95% CI : 0.211-0.886) higher risk of dry eye than non-user group. And, in Schirmer test, low humidity and smart phone user group had 1.36 times(95% CI : 1.264-1.478) and 0.19 times (95% CI : 0.080-0.465) higher risk of dry eye than non-user group, which showed significant result. In tear film Break-Up Time examination, low humidity and smart phone user group had 1.23 times(95% CI : 1.176-1.303) and 0.15 times(95% CI : CI : 0.075-0.330) higher risk of dry eye than high humidity and non-user group. In non-invasive break up time examination, also it was investigated that low humidity and smart phone user group had 1.20 times(95% CI : 1.149-1.258) and 0.27 times(95% CI : 0.141-0.528) higher risk of dry eye. Conclusions: We knew that low humidity and smart phone users were related in dry eye, but temperature was not related in dry eye.

저자
  • 김대종(경동대학교 안경광학과) | Dea-Jong Kim
  • 차정원(신한대학교 뷰티헬스사이언스학부 안경광학전공) | Jung-Won Cha
  • 박문찬(신한대학교 뷰티헬스사이언스학부 안경광학전공) | Moon-Chan Park
  • 이화자(경복대학교 간호학과) | Wha-Ja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