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위해요소관리 중심의 GAP모델 확립을 위한 사과 재배단계의 화학적, 생물학적 위해평가 KCI 등재

Hazard Assessment of Apple farms at the Growing Stage to Establish Good Agricultural Practices(GAP) Model Based on Hazard Contro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60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위해요소관리 중심의 사과 GAP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경남에 소재한 GAP 미인증 사과농장 3곳을 선정하여 재배단계에서 화학적(중금속), 생물학적 위해요소(위생지표세균, 병원성 미생물, 곰팡이)를 분석하였다. 화학적 위해요소인 중금속은 재배환경 중 토양에서만 국내 허용치 이하 수준으 로 Cu, Pb, Zn 및 Ni이 검출되었다. 생물학적 위해요소의 경우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은 재배환경에서 각각 0.8~6.1과 0.0~5.0 log CFU/g(or mL), 사과와 잎에서 0.4~3.6과 0.0~3.5 log CFU/g(or leaf), 개인위생에 서 3.2~5.3과 0.4~2.7 log CFU/hand(or 100 cm2)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대장균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병원성 미생물은 S. aureus가 작업자의 손에서 최대 4.4 log CFU/hand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B. cereus는 사과를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0.0~5.2 log CFU/g(or leaf, mL, hand or 100 cm2) 범위로 검출되었 으며, L. monocytogenes, E. coli O157:H7 및 Salmonella spp.는 검출되지 않았다. 곰팡이는 모든 시료에서 0.0~4.9 log CFU/ g(or leaf, mL, hand or 100 cm2)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안전한 사과를 생 산하기 위한 위해요소관리 중심의 사과 GAP 모델 개발에 있어 재배환경 및 재배단계에서의 위해요소를 파악하 고 분석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ssessed chemical(heavy metals) and biological(sanitary indications, foodborne pathogens and fungi) hazards at the growing stage of apple farms uncertified GAP for the establishment of GAP in the production of apple. A total of 96 samples were collected from 3 apple farms located in Gyeongnam and tested for the analysis of hazards. Heavy metals were detected in soil, but their levels were lower than Korean regulation. For biological hazards, APC and coliform were detected at the level of 0.8~6.1 and 0.0~5.0 log CFU/g(or mL) in the cultivation environment, respectively. Also, they were detected at the level of 0.4~3.6 and 0.0~3.5 log CFU/g(or leaf) in the crops and 3.2~5.3 at 0.4~2.7 log CFU/hand(or 100 cm2) on the workers, respectively. But Escherichia coli was not founded in any samples. In case of major foodborne pathogens, Staphylococcus aureus was 4.4 log CFU/hand on the workers' hand and Bacillus cereus was detected at the level of 0.0~5.2 log CFU/g(or leaf, mL, hand or 100 cm2) in all the samples except the apples. Listeria monocytogenes, E. coli O157:H7 and Salmonella spp. were not detected. The level of fungi were 0.0~4.9 log CFU/ g(or leaf, mL, hand or 100 cm2) in all the samples. These results could be useful as basic data to understand and analyze chemical and biological hazards on the development of GAP model to produce a safe apple.

저자
  • 심원보(광주과학기술원) | Won-Bo Shim
  • 김경열(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 21 program)) | Kyeong-Yeol Kim
  • 김정숙(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Jeong-Sook Kim
  • 윤요한(숙명여자대학교 생활과학부 식품영양학과) | Yo-Han Yoon
  • 김장억(경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Jang-Eok Kim
  • 심상인(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경상대학교 농학과) | Sang-In Shim
  • 김윤식(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경상대학교 농업경제학과) | Yun-Shik Kim
  • 정덕화(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 21 program),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Duck-Hwa Chu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