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흑미 첨가량을 달리한 떡볶이 떡의 품질에 관한 연구 KCI 등재 SCOPUS

Quality of Tteokbokki tteok prepared by adding various concentration of brown ri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98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초록

쌀 소비확대를 위하여 가공용으로 재배 육성된 흑미의 특성과 떡복이용 떡에 가공적성이 가능한지를 파악하고자 일반성분, 수분 결합력, 수분 흡수력, 호화특성을 조사하였 으며, 삼광을 대조구로 하여 흑설, 흑진주 떡볶이 떡을 제조 하여 저장기간에 따른 색도, 물성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 하였다.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이 14.89~7.15%, 조단 백질이 4.79~6.81%, 조지방이 0.48~2.66%, 조회분이 0.39~1.60%로 나타났다. 특히, 흑진주는 조단백질과 조지 방 함량이 가장 높았고 삼광이 조단백질함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수분결합력은 흑진주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 로 흑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침시간에 따른 수분흡 수율은 수침 초기에 흡수속도가 높았으며 대조구인 삼광은 수침 3시간, 현미로 도정한 흑미는 12시간 까지는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거의 변화가 없어 평형에 도달하였 다. 호화특성에서 호화개시온도는 흑설이 가장 높았으며 최고점도(peak viscosity peak), 최저점도(hot viscosity), 최 종점도(final viscosity), 강하점도(breakdown) 등의 온도에 따른 점도 변화는 흑설이 가장 낮은 값을 보여 주었다. 차반 점도(setback)는 백미인 삼광이 가장 높았으며 현미 흑미인 흑설과 흑진주는 비슷한 수준의 값을 나타내었다. 흑미 떡 볶이 떡의 색도는 흑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 및 b값은 감소하고 a값은 증가하였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L값은 증가한 반면 a값 및 b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흑미 떡볶이 떡의 물성변화는 흑미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경도, 응집성, 씹힘성은 감소하는 반면 부착성은 증가 하였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경도의 경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관능적 특성의 전반적인 기호도 조사 에서 흑미 10% 첨가군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20% 첨가군과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따라서, 떡볶이 떡 제조 시 적절한 흑미 첨가량은 10~20%가 적당 할 것으로 보이며 흑미 첨가가 관능적 기호도에 좋은 영향 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of tteok prepared from white (Samkwang) and brown rice (Heugseol, Heugjinju). The moisture and crude protein contents of rice were 14.89~17.15% and 4.79~6.81%, respectively. The crude lipid and crude ash contents of rice were 0.48~2.66% and 0.39~1.60%, respectively. The water binding capacity of Heugjinju (141.97%)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 rice flours. As the soaking time increased, water absorption ability was in the order of Samkwang > Heugseol > Heugjinju. Using a rapid visco analyser (RVA), the initial pasting temperature of Heugseol was the highest, and the peak viscosities of Heugseol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rice flour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teokbokki tteok were assessed after its preparation by adding different amounts of Heugseol and Heugjinju (0, 5, 10, and 20%, w/w) content. The textural properties (hardness), of Heugseol and Heugseol measured using a texture analyzer, were greater than those of the control. Sensory preference tests revealed that 10% Heugseol and, 10% Heugjinju had the highest scores in appearance, color, and overall acceptability. The sensory test results revealed that Tteokbokki tteok prepared by addition of 10% added brown rice was the best.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 약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신동선(㈜쁘띠아미) | Dong-Sun Shin
  • 유선미(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Yeon-Mi Yoo
  • 한귀정(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Gwi-Jung Han Corresponding author
  • 오세관(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Se-Gwan O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