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선후기 고지도에 재현된 지역경관 -남해안 및 진주를 사례로- KCI 등재

Regional Landscape Representation in Maps of the Late Joseon Perio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4027
  • DOIhttps://doi.org/10.14381/NMH.2016.49.03.30.24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조선시대의 고지도는 당시의 자연인식, 문화와 경제, 정치‧행정과 국방, 지명 및 지리정보 등을 총체적으로 재현하고 있는 경관텍스트이다. 이 글은 남해안 및 진주를 사례로 조선후기의 지도상에 재현된 지역경관에 관해 역사지리적인 관점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고지도를 지리정보의 사실적 표현 및 시간단 면의 누적이라는 차원을 넘어 사회관계의 재현물이자 해석적 텍스트로 까지 포 괄적인 스케일로 접근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관이 주도하여 제작한 조선 시대의 고지도는 왕조의 권위와 권력을 표현하는 것으로서, 왕조의 정치사회적 통치 질서를 구현, 강화하는 목적과 기능을 띠고 있다. 조선시대의 남해안 지도 에는 지정학적인 중요성과 사회경제적인 비중이 시대적으로 달리 반영되어 있 다. 임진왜란을 겪은 후 남해안이 갖는 군사요충지로서의 중요성과 경제적인 비중의 증대로 지도 표현이 정밀해지는 변화가 일어난 것은 국토공간적 중요성 에 대한 조선왕조의 정치사회적인 인식이 달라진데 연유한 것이다. 조선후기의 진주 지도에는 위계적 산수체계의 인식, 중앙집권적 통치체계의 구현, 행정중 심지적 도로체계의 형태, 이데올로기적 교육종교경관이 재현되어 있다. 현존하 는 진주의 고지도는 대체로 18세기와 19세기에 제작되었는데, 특히 진주성도 및 군현지도첩의 지도는 지역경관의 복원 자료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Maps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are landscape texts represented the culture, economic condition, regional cognition, geographical information, political administration, national defense and place names. This paper studied on the Southern coastal area and Jinju landscapes of old maps ; landform, Eupchi, transport, education, religion and cultural landscap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ical geography. Maps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representing the southern coastal area were differently reflected according to the geopolitical importance and socioeconomic priority at that times. The reason why maps expression being accurate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as changed the condition of military strategic location and economy of the southern coastal area in the late Joseon period. Old maps of Jinju were made in 18C and 19C, especially maps of Jinju Castle and county maps reflecting the historical, geographical, cultural information can be used as the historical geographical restoration materials of jinju landscape. Also, they are useful to know the regional circumstances of historical landscape change from the cross section comparison method.

목차
Ⅰ. 머리말
 Ⅱ. 남해안 지도에 재현된 지역경관
 Ⅲ. 진주 지도에 재현된 지역경관
  1. 조선후기의 진주 지도
  2. 위계적 산수체계의 인식과 입지경관
  3. 중앙집권적 통치체제의 구현과 읍치경관
  4. 행정중심지적 도로체계의 형태와 교통경관
  5. 통치이념적 교육기관의 정비와 종교문화경관
 Ⅳ. 맺음말
 參考文獻
저자
  • 최원석(경상대학교 명산문화연구센터장) | Choi Wons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