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mplicated History of Separation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Focusing on the Conservative Protestants in Korea: from 1945 to 2013
대한민국 헌법 제20조는 “①모든 국민은 종교의 자유를 가진다. ②국교 는 인정하지 아니하며, 종교와 정치는 분리한다”라고 규정되어 있다. 그래 서 정치와 종교가 분리되어야 한다는 것은 상식에 속한다. 하지만 한국에 서 정치와 종교의 관계는 매우 복잡하며 심지어 모호하다. 기본적으로, 그 런 조항은 미국헌법의 절대적 영향 하에 만들어졌다. 그러나 1945년 이후 전개된 한국근대사의 혼돈 속에서, 그런 헌법조항에 근거한 정치와 종교의 관계는 지속적으로 불안정하고 문제가 많았다. 특히, 한국의 보수적 복음 주의자들은 자신들의 유동적인 정치적·종교적 환경에 따라 이 문제를 전략 적으로 다루어왔다. 이 논문은 1945년부터 2013년까지 보수적 복음주의자 들이 정교분리의 의미를 이해하고 재구성하며 그것에 적응해 온 복잡한 역 사를 추적하는데 목적을 둔다. 1945년부터 1960년까지, 한국교회는 정교분리에 대한 헌법의 규정과 상 관없이 기독교에 특혜를 베풀어준 정부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예를 들어, 그 기간 동안 미군정은 미국선교사들의 조언에 따라서 한국개신교인 들이 다양한 정치영역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했다. 종교정책 면에서, 미군정은 다른 종교들을 배제한 채, 한국교회에게 많은 특혜를 베풀었다. 그런 특혜에 대한 자연스런 반응으로, 한국교회는 정부정책에 열정적으로 협조했다. 특히, 제1공화국에서 대통령선거 기간 동안, 한국교회는 감리교 장로이자 한국개신교에 대단히 우호적이었던 이승만을 거의 맹목 적으로 지지했다. 그 기간 동안, 한국교회는 정교분리의 의미를 정확히 이 해하지 못했다. 1961년부터 1986년까지, 한국은 군사독재기간을 통과했다. 그 동안, 한 국교회는 두 부분으로 분리되었다. 즉, 군사정부를 신실하게 지지했던 보 수주의자들과 그 정부에 저항했던 진보주의자들로 말이다. 그 결과, 독재 자들은 두 진영을 정부에 대한 그들의 태도에 따라 다르게 취급했다. 예를 들어, 군사정부는 보수교회들이 ‘액스플로 74’ 같은 일련의 대규모 집회들을 개최하고 ‘전군신자화운동’ 같은 전도활동을 전개할 수 있도록 후원함으로써, 이들이 빠르게 성장하는데 결정적 도움을 주었다. 이런 종교적 특 혜에 대한 반응으로, 보수적 기독교인들은 진보진영을 맹렬히 비난하면서 그 정권의 충실한 동맹자가 되었다. 하지만, 진보주의자들의 경우, 군사정 권에 저항한 것에 대해 혹독한 대가를 치러야 했다. 1997년부터 2007년까지, 한국교회는 처음으로 정부와 부정적 관계를 맺게 되었다. 진보적 정부가 남북간의 적대적 관계를 개선하기 시작하고, 사립학교법 개정을 통해 기독교사립학교들의 부정을 개선하려고 노력하자, 한국교회는 반정부세력으로 돌변했다. 그들은 진보적 정부를 종북좌파세력 으로 규정하고 이 정부의 거의 모든 정책에 반대했다. 이 기간 동안, 교회 들은 정교분리에 대한 자신들의 해석을 수정했다. 그들은 이전에 종교가 정치에 참여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이제는 종교가 자신의 정치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주장하기 시작한 것이다. 그런 정치적 저항이 헌법 에 저촉되지 않는다고 믿으면서 말이다. 그리고 그들은 다음 정부를 위한 새로운 대통령 후보로 보다 보수적이고 친기독교적인 후보를 선출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 최근에는 보수적 기독교인들이 이런 주제와 관련해서 정부와 이중적 태 도를 유지하는 것처럼 보였다. 기본적으로, 그들은 여전히 친기독교적인 이명박 정부의 강력하고 신실한 후원자들이었다. 같은 정치적·경제적 신념 에 기초해서, 그들은 이 정부를 지속적으로 지지했다. 하지만 그들은 그런 적극적 정치참여가 정교분리라는 헌법조항과 아무런 상관이 없다고 생각 했다. 그러나 때때로 그들은 동일한 정부가 타종교들, 특히 불교와 이슬람 에 대해 우호적 조치를 취하자 강력하게 저항하고 비판했다. 그들은 정부 의 그런 태도가 기독교를 배제한 채 다른 종교들에게 특혜를 베풀어 정교 분리의 원칙을 위반했다며 불법으로 규정한 것이다. 이처럼, 한국의 보수적 복음주의자들은 정부와 자신들의 관계에 따라 “정교분리”란 개념을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해왔다. 그들과 정부의 관계가 우호적이었을 때, 그들은 “정교분리”를 “종교가 정치에 참여하지 않는 것” 으로 해석했다. 하지만 그들과 정부의 관계가 불편했을 때, 그들은 그런 이 해를 뒤집고 강력한 반정부세력이 되었다. 한편, 그들이 정부로부터 우호 적 지원을 받았을 때, 그들은 그런 특혜가 정교분리의 헌법적 조항을 위반 한 것이라고 해석하지 않았다. 하지만 그들이 정부에 의해 차별을 받는다 고 느꼈을 때는 정부가 헌법을 위반한다고 주장하며 반정부적 투쟁에 나섰 다. 이토록, 한국에서 보수적 복음주의자들과 정교분리의 관계는 복잡했다.
According to the Korean Constitution, (1)every citizen has the freedom of religion, (2)the establishment of religion is not allowed, and politics and religion is separated. Thus, it is a common sense that politics and religion should be separated.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has been highly complicated, even ambiguous. Basically, such a provision was shaped under the almost absolute influence of the US constitution. But, for the chaotic unfolding of the modern history in Korea since 1945,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based on that constitutional provision has been consistently unstable and problematic. In particular, the conservative evangelicals in Korea have strategically addressed this issue in accordance with their fluctuating political, religious circumstance. This paper is aimed at tracing the complicated and multi-faced history of how the conservative evangelicals have understood, reconstructed, and adjusted themselves to the meaning of separation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from 1945 to 2013 depending on their changed status in Korea.From 1945 to 1960, Korean churches maintained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government which showed its favoritism to Christianity, regardless of the constitutional provision of separation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For example, during that period, the US military government gave the Korean Protestants a series of chances to participate in a variety of political sphere based on the practical advice of American missionaries. In terms of religious policy, the government allowed many privileges to Korean churches at the cost of other religions. As a natural response to such a favoritism, Korean churches enthusiastically cooperated with the governmental policies. In particular, during the presidential campaigns, Korea churches almost blindly stood for the Seungman Lee who was a Methodist lay elder and was highly supportive to the Protestant churches in Korea. During that era, Korean churches didn't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what the separation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means. From 1961 to 1986, Korea had to pass through the period of military dictatorship. During that period, Korean churches were divided into the two parts: the one as conservatives who faithfully stood for the military regime, but the other was liberals who stood against it. As a result, the dictators dealt with the two groups in accordance to their attitude toward the government. For example, the regime helped the conservative churches to grow fast by supporting them to hold a series of grand rallies including theExplo' 74 and to carry out the so-called “Evangelization of All Military Armies.” As a response to those religious privileges, conservative Christians became a sincere ally to the regime, while inveighed against the liberal wing. In the case of liberals, however, they had to pay a painful cost totheir heroic protest against the military regime. From 1997 to 2007, the Korean churches, for the first time, came to have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government. Since the liberal government not only began to improve the hostile relationship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but also tried to reform the corruption of Christian private schools by altering the related laws, the Protestant churches turned into an anti-government force in Korea. They raised their voices against almost every policy of the liberal government, regarding it as the pro-North and left. During this period, the churches changed their interpretation of separation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While they had interpreted it as religion’s not participating in politics, they began to argue that religion should take its political responsibility, believing that such a political protest didn't violate the constitutional provision. And they did their best to elect more conservative and pro-Christian candidate as a new president for the next government. Recently, the conservative Christians seemed to maintain a dual relationship with the current government concerning this issue. Basically, they were still strong and faithful supporters to the pro-Christian government, whose head was the presbyterian lay elder. Based on the same political, economic ideologies, they persistently stood for it. But, they believed that such an active participation in politics had nothing to do with the constitutional provision of separation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From time to time, however, they criticized the same government for its generous support for other religions, especially Islam and Buddhism. They regarded it as illegal, for it was violating the separation between politicsand religion by showing favoritism to some religions excluding Protestantism. But they did not interpret in that way when they received the favorable or even privilege-like support from the same government. Likewise, the Conservative Christians in Korea has used the term “separation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ir relationship with the government. When they had a good relationship with it, they interpreted “separation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as “religion’s not participating in politics.” But when they were at odds with it, they changed their former understanding of it and became a strong anti-government force. At the same time, when they received favorable supports from the government, they never interpreted it as violating the constitutional provision of separation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When they felt that they were discriminated by government, however, they raised their voices against it, arguing that it was violating the constitutional prov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