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분화용 아시아틱나리의 구 부위와 인편삽 조건에 따른 자구형성 KCI 등재

Bulblet Production of Lilium Asiatic Hybrids Depends on Its Discrete Parts and Scale Condit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443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국내 육성 분화용 아시아틱나리 일대 잡종 ‘Deep Red Liasong’의 효율적인 자구형성을 위하여 구의 부위와 인 편삽 조건을 조사하였다. 구의 부위에 따른 자구 발생률 은 중인편은 87.6%, 내인편은 83.0%로 외인편의 40.3% 보다 양호하였으나 자구형성 개수는 외인편이 많았다. 인 편의 식재 깊이에 따른 인편당 자구의 수는 2.6개에서 2.8개로 차이가 없었으나, 3cm 깊이에서 잎의 발생이 없 었다. 인편의 배양온도는 항온 23oC와 변온인 주간 23oC /야간 13oC에서 인편당 자구의 수가 2.4 ~ 2.6개로 다른 온도처리보다 많았고, 자구 및 뿌리의 생장도 양호하였 다. 관수 주기를 2일에서 6일까지 달리하였을 경우 인편 당 자구의 수가 2.6~2.8개로 차이가 없었으나 8일은 2.2 개로 다소 낮았다. GA3, NAA 및 IBA를 50mg • L−1에서 200mg • L−1 처리 했을 때 농도가 높아질수록 자구의 형 성이 감소하였으나 뿌리의 개수와 길이는 증가하였다. 자 구의 식재 방향에 따른 인편당 자구의 수는 1.8개에서 2.0개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등을 위로(upper to back) 향하게 식재 했을 때 잎이 발생하지 않았다. 인편을 상하 1/2과 1/3로 절단하였을 때 인편의 기부에서는 자 구형성이 2.3 ~ 2.4개로 대조구의 2.5개와 같은 수준이었으 나 자구의 크기 및 생장은 대조구보다 작게 나타났다. 상 단에서는 전혀 자구가 형성되지 않았다. 한편, 인편을 좌 우 2등분과 3등분을 하였을 때 인편 내에서 자구의 수 는 차이가 없었으나, 3등분보다 2등분이 자구의 수 및 생 장이 양호하였다. 분화용 아시아틱나리의 효율적인 자구 생산을 위해서는 구근에서 중인편을 3cm의 깊이로 등을 위로 향하게 식재한 후 배양 온도는 항온 23oC나 주간 23oC/야간 13oC에서 건조하지 않도록 유지해야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growth rate of Lilium Asiatic F1 hybrids, domestic cultivar ‘Deep Red Liasong,’ is associated with its discrete bulblet part and bulblet scales. For bulblet production rate, internal and middle part scales increased by 83.0% and 87.6%, respectively. The rate of external scales, however, were not reached as much as them of the other two parts (40.3%). Bulblet production per scale was somewhat positively correlated with planting depth,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Plus, bublet planted at 3 cm did not sprout any leaves. Bulblet production also was dependent on temperature: 2.4 per scale were produced when day/ night temperature was kept at 23oC; 2.6 were produced when day/temperature was kept at 23oC and 13oC. Those temperature conditions led to the highest production rate. The number of bulblets per a scale was not almost positively correlated with irrigation cycle: 2.6/2 days; 2.8/6 days. However, eight days of irrigation cycle reduced the number of bulblets: 2.2/8 days. The bulblets treated by GA3, NAA and IBA whose concentration range of 50 to 200 mg • L−1 were less produced based on the increase in those concentrations, but the number of its roots and its height increased. Planting directions did not affect on bulblet production of 1.8 to 2.0, but bulblets planted toward upper direction did not sprout leaves. Bulblet production from a scale cut at 1/2 and 1/3 length including bas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non-cutting scale: 2.3 (1/2); 2.4 (1/3) vs. 2.5 (control), but its size and growth decreased. In summary, the optimal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bulblet production of ‘Deep Red Liasong’ are summed up as follows: scales located at the middle part of bulb are planted at 3 cm; Day/night temperatures are kept at 23oC or 23oC (day) and 13oC (night) under humid conditions.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초 록 
사 사 
References
저자
  • 신경진(전북대학교 원예학과) | Kyung Jin Shin
  • 고정애(전북대학교 원예학과) | Jeong Ae Ko
  • 송천영(한국농수산대학 화훼학과) | Cheon Young Song Corresponding author
  • 문자영(한국농수산대학 화훼학과) | Ja Young Moon
  • 송은경(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Eun Kyung S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