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고령자의 사회적 자본이 주관적 배제감에 미치는 영향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446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300원
한국사회연구 (Korean Journal of Social Science)
경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INSTITUTE FOR SOCIAL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사회적 자본이 주관적 배제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한국복지패널 2012년 7차년도의 자료 를 이용하여 55세 이상 70세 이하의 중고령자 14,604명을 대상 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고령자의 사회적 자 본은 개인의 인식에 따라 주관적 배제감 수준이 다르게 나타났 다. 둘째, 주관적 배제감 수준에서는 경제 영역이 가장 높은 요인 으로 확인되었으며, 성별 측면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주관적 배제 감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자본이 주관적 배제감에 미치 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경제영역, 고용영역, 건강영역 등에 영향 을 미쳤으며, 인구학적 특성으로 성별, 교육수준, 거주지역, 및 혼인상태가 주관적 배제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사회적 자본 하위 영역의 경우 경제 배제감에서 신뢰, 호 혜성, 사회적 관계망이, 주거 배제감에서는 신뢰, 시민적 규범의 식, 사회적 관계망이, 고용 배제감에서는 신뢰, 호혜성, 시민적 규범의식, 사회적 관계망 등이, 건강 배제감에서는 신뢰, 호혜성, 시민의 규범의식, 사회적 관계망 등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주거 배제감과 건강 배제감 영역에서는 시민의 규범의식이 높을수록 주관적 배제감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중고령자들의 주관적 배제감을 완화하는데 사회적 자본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주관적 배제를 겪고 있는 중고령자 집단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강화 방안을 생활 영역별로 특화하여 강구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 하였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determinants of the social capital in the subjective exclusion. The cases of 14,604 middle-aged householders with 55~70 years of age(KOWEPS, 2012)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are used for this study.
The main results in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 the level of social capital had a great affect in the subjective ex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conomy was the highest determinants in the subjective exclusion. In terms of gender side, level of female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in subjective exclusion. In the present study, the major determinants of the social capital in subject exclusion was analyzed. In aspects of economy and employment, subject exclusion was getting higher as long as trust, reciprocity, the standard of citizen’s self consciousness were getting lower. On the other hand, in aspects of housing and health side, subject exclusion was high as long as the standard of citizen’s self consciousness was getting higher. As a result of this study, social capital should be strengthened for the group of the middle-age householders to solve their consciousness on the subjective exclusion by specializing in terms of life styl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중고령자의 주관적 배제
  2. 중고령자의 사회적 자본
 Ⅲ. 연구방법
  1. 분석자료 및 대상
  2. 주요 변수 정의 및 측정도구
  3.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1. 중고령자의 인구학적 특성
  2. 중고령자의 사회적 자본 변수에 대한 기술통계
  3. 중고령자의 주관적 배제감 수준
  4.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배제감 차이 검증
 Ⅴ.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저자
  • 박능후(경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Neung Hoo Park 주저자
  • 장춘명(경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수료) | Chun Myung Cha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