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漢)나라 시대부터 여러 가지 다른 육서(六書)의 명칭들로 한자를 분류하기 시작하였고, 그 후에도 문자학자들이 계속해서 한자의 분류를 개선하려고 시도하였다. 본 논문은 주로 인지언어학 의 각도에서 성부(聲符)를 갖지 않은 한자를 새롭게 분석하고, 한자구성과 한자사용원리를 이해하 는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한자를 일종의 이미지 부호로 보고, 퍼스(Peirce)의 부호학 관점을 사용하여 한자를 분류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퍼스의 관점을 활용하여 한자를 분류하고자 할 때, 많은 예에서 단순히 한 개의 부호표지만 사용한 것이 아니라 다른 표지도 이해를 돕기 위해 함께 사용되었음을 발견하였다. 필자는 퍼스의 이론을 조정하여 아이콘(icon,象似符)과 인덱스(index,標記符)를 동시 에 갖고 있는 한자를 하나의 종류로 분류하고, ‘조합형아이콘(組合象似符)’라 이름하였으며, 성부 (聲符)를 갖지 않은 한자를 세번째 종류로 분류하여 토론하였다. 조정 후의 이론 중, 핵심에 가까운 두 개의 한자류는 모두 아이콘에 속하고, 제일 바깥쪽 층의 것은 심볼(symbol,代碼符)에 속한다.;이 세 개 층의 분류에서 핵심에 가까운 한자 일수록 전형적인 아이콘에 속하고, 이 세 분류항목은 안에서 바깥쪽 순서대로: (1) 단순아이콘. 예) ‘人’,사람의 측면 의 모습; (2) 조합형아이콘. 예) ‘杲’나무 위에 밝은 물건이 있어 ‘밝음’을 설명; 또는 ‘刃’자와 같이 칼의 날카로운 부분에 표시를 더하여 글자의 의미를 설명; (3) 심볼. 가장 바깥둘레의 층인 이 종류에 속하는 문자는 비교적 적다. 대부분 추상부호에 속하고, 본 논문에서는 고대의 일부 지역명 의 부호를 예로 들었다. 글자의 사용면에서는, 환유(metonymy)와 은유(metaphor)를 사용하여 해석할 수 있다. 글자 사용중 환유의 예는 대부분 글자 본래의 의미인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見’은 눈에 촛점을 둠으로써 ‘사물을 보다’라는 동작을 대표하게 하였다. 반면, 은유는 대부분 나중 에 파생된 의미인 경우가 많다. ‘朋’은 갑골문에서 두 줄의 조개를 함께 묶어 놓은 모습을 묘사하여 본래의 의미는 고대의 계량단위를 나타낸 것이, 나중에 ‘朋友(친구)’의 의미로 파생되었다. 본 논문은 또한 마지막 부분에서 중국문자학의 해석원리와 서양언어학의 도상성(iconicity), 환 유, 은유이론을 통합 조정하고자 하였다.
Traditional Chinese paleography, from the Han dynasty, people had sorted Chinese characters in six categories with different methods.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m in terms of iconicity, metaphor and metonymy, and other related concepts in cognitive linguistic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Chinese characters with phonetic radicals will be excluded.
Peirce (1932) semiology was us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his theory, signs could be roughly distinguished into three categories – icons, indexes and symbols. However, most Chinese characters have more than one sign, and those signs are in different categories. Therefore, the characters with both icons and indexes are redefined as “combined icons”, and the characters with only one icon are called as “simple icons” in this research. After this adjustment, Chinese characters would be put into three new categories – simple icons, combination icons and symbols.
In the redefined theory, the character “人 (ren)” imitating one person is a simple icon, and “杲 (gao)” as well as “刃 (ren)” are combined icons. The combined icons may carry meanings different from the meanings of composing components. Character without transparent associative meanings are treated as symbols.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can be metonymy and metaphor. For instance, the Chinese character “見 (jian)” uses icon of eyes to represent the action of seeing, and this is metonymy. Another example, the metaphorical character “朋 (peng)”, a pair of shells indicates friends. Cognitive linguistics is adopted as a theoretical orientation in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nature of Chinese characters.
從漢代起, 即有不同的六書名稱來分類漢字, 之後的也有文字學家繼續嘗試改善漢字的分類, 因此, 本文主要使用認知語言學的角度重新分析沒有帶聲符的漢字, 提供新的觀點瞭解漢字造字及用字。
本文試著把漢字視為一種圖形符號, 並試圖利用皮爾斯(Peirce)的符號學概念理解漢字字形, 將其 分類, 然而實際運用皮爾斯觀點分類漢字時, 我們發現有許多漢字不僅單純使用一種符號標示其語意, 因此調整一項皮爾斯符號學的分類以適用於漢字特性 – 將同時帶有象似符(icon)和標記符(index) 例子分為一類, 命名為「組合象似符」;另外, 為避免混淆, 以「單純象似符」稱皮爾斯符號學中象似 符(icon), 且沿用代碼符(symbol)說明約定俗成符號。
在調整後的理論中, 共分為三類:(1) 「單純象似符」, 如 「人」, 像是一側面的的人形;(2) 「組合象 似符」, 如 「杲」, 光亮的東西在木頭上, 說明「明亮」的意思;或是 「刃」, 在刀子堅韌的地方, 寫上一個 標示位置的一撇;(3) 「代碼符」, 這類的文字比較少, 大多屬抽象符號, 在本篇文章中, 舉出一些古代一 些方域的符號, 做為例子。
在用字的方面, 則可以使用轉喻(metonymy)和隱喻(metaphor)解析, 在用字為轉喻的例子大多是 本義, 如 「見」, 將焦點放在眼睛上, 來代表「看東西」的動作;然而隱喻多為之後引申的意思, 如 「朋」, 甲骨文描繪兩串貝類串在一起的樣子, 本義為古代的單位計量, 之後引申為 「朋友」 的意思;另外, 本 文中也探討轉喻及隱喻的漢字解析方式在教學上的運用。 本文最後也企圖整合中國文字學的詮釋原理和西方語言學的象似性, 轉喻和隱喻等詮釋概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