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소유와 유인가의 득과 실이 경쟁할 때 자기조절초점이 손실회피에 미치는 효과 KCI 등재

The effect of self-regulatory focus on loss aversion when gain and loss between possession and valence compet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551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손실회피에 대한 연구는 많은 진보가 있었다. 특히 Brenner et al. (2007)은 소유손실회피 (possession loss aversion: PLA)와 유인가손실회피 (valence loss aversion: VLA)의 상황을 구분하면서 현금과 현물 (돈, 부동산)에 대한 손실 (PLA)과 잠재적으로 획득할 가치 (해외연수, 쿠폰)에 대한 손실 (VLA)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이 어떻게 다른지 관 찰하였다. 그러나 일상생활에서 소유와 유인가의 득과 실이 명확하게 구분되는 경우는 드물고, 대부분 소유와 유인가의 득과 실 사이에 일장일단이 있어, 결국 사람들이 평소 가지고 있는 사고방식이나 주의의 초점이 의사결 정에 반영되는 경우가 더 많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람들이 평소 어디에 주의를 기울이는지에 따라 손실회피의 반응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자기초점을 촉진초점 또는 예방초점으로 점화한 후, 이 직결정상황에서 소유와 유인가의 득실이 경쟁 (연봉증가 해외연수기간감소: P+V-, 연봉감소 해외연수기간 증가: P-V+)할 때, 이직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촉진초점의 경우 소유인지 유인가 인지에 관계없이 잠정적으로 얻게 될 이익 (+)에 주의를 기울인 결과 이직하겠다는 응답이 증가한 반면, 예방초 점의 경우 잠정적으로 감수할 손실 (-)에 주의를 기울인 결과 현재 회사에 머물겠다는 응답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비자 및 광고심리와 마케팅분야에 폭넓은 시사점을 가진다.

The study of loss aversion has progressed. Specifically, Brenner et al. (2007) distinguished between possession loss aversion (PLA) and valence loss aversion (VLA) and explained PLA is the loss of cash or spot goods (money, apartment) and that VLA is the loss of tentative value (opportunity of oversea study, coupon). Also, they explored how the tendency of loss aversion was different between when possession loss was salience and when valence loss was outstanding. But, in our everyday life, it is more common that people face some economic situation where the gain and loss between possession and valence are competing. And, in this situation, they usually choose a better option based on their ordinary mind-set or self-focus rather than on which option has more benefit. Therefore, present research is that whether the tendency of loss aversion is different based on one’s ordinary self-focus. Concretely, after priming promotion focus vs. prevention focus, participants should decide whether present occupation changes or not when gain and loss between possession and valence compete (income increase but oversea study chance decrease or income decrease but oversea study chance increase). As a result, there are more rate of changing job in promotion focusing condition than prevention focusing condition based on positive change irrespective of possession or valence. This result can have implication for marketing, consumer and advertisement psychology.

목차
1. 서론
 2. 실험
  2.1. 실험방법
  2.2. 자기조절초점 확인
 3. 결과
 4. 논의
 REFERENCES
저자
  • 이병관(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Byung-Kwan Lee
  • 이국희(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Guk-Hee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