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뇌기반 교사교육이 교사행복감, 교사효능감 및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효과 KCI 등재

The Effects of the Brain-Based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gram on Teacher’s Happiness, Teacher’s Efficacy, and Burnou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565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뇌기반 교사교육이 교사의 행복감, 효능감,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지역의 교사 36명(실험집단 17명, 통제집단 19명)이다. 뇌기반 교사교육은 2015년 4월부터 12월까지 9개월 동안 11회기 진행되었고 뇌기반 학습원리 나 교육과정 운영과 관련된 강의와 액션러닝방법을 활용하여 실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1.0 통계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으며, 교사교육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비모 수통계 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행복감은 뇌기반 교사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효능감은 집단 효능감에서만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셋째, 실험집단의 심리적 소진 총점은 통제집단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brain-based teacher education on teachers’ happiness, efficacy, and psychological burnout.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36 childhood teachers (17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9 teachers in the control group) in Seoul and Gyeonggi-do area. Brain-based teacher education, composed of 11 sessions, was implemented from April to December, 2014. For each session, a lecture about the principle of brain-bas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was provided to the teachers. An action learning program was conducted by teachers subsequently. To verify the effect of the brain-based teacher educa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 by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in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happiness score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Second, efficacy of teachers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collective efficacy scores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ird, the teachers in experimental group had lower overall scores of psychological burnout,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4. 분석방법
 Ⅲ. 연구결과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전 동질성 검사
  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검사 차이분석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
  • 정미라(가천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Chung Mi-Ra
  • 김민정(가천대학교 세살마을연구원) | Kim Min-Jeong
  • 이미나(가천대학교 세살마을연구원) | Lee M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