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題款의 조형적 특징 硏究 KCI 등재

A Study into the Modelling Hallmarks of “Jegw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598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동양화와 서양화의 차이점이 무엇인가?라는 문제는 매우 큰 테마이 다. 그러나 화면상에서 간단하게 알 수 있는 차이점은 그림에 있는 글씨 와 도장이다. 동양화는 形과 色 이외에 이러한 글씨와 도장 그 자체도 예 술적 조형요소가 되며 또한 도장은 신용의 상징으로 문서에 찍혀져 진품 임을 증명하는 역할을 한다. 서예가나 화가가 자기 작품에 서명이나 시 문을 적어 넣고 도장을 찍는 것을 題款이라고 한다.
제관은 그림이 그려지게 된 내력이 적혀있거나 친구나 뒷사람들의 감상 소감이 적혀 있다. 그러므로 제관의 내용을 이해해야 그림을 제대로 감상할 수 있다. 이 제관을 풀이할 수 있다면 작품 감상에 역시 도움이 되며 대개 저명한 文人들이 많이 쓰므로 그 筆體나 체취를 느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기도 한다.
동양화는 이러한 제관과 그림이 어우러져 완전한 한 폭의 그림이 되는데 최종적으로는 모든 것이 어떻게 조화를 이루고 있는지가 문제가 된다. 그림 ․ 서예 ․ 도장의 결합은 동양화의 예술 특유의 것이다. 바로 이 때문에 동양화의 구도에서는 어떻게 제관을 할 것인가 하는 특수한 문제 가 발생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제관의 조형적 특징을 6가지 나누어 분 석하였다. 1. 전체 화면의 범위를 확정한다. 2. 색채를 조절하는 작용을 한다. 3. 감상을 풍부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4. 화면에 변화가 부족한 것 을 보충한다. 5. 경물을 충당하는 작용을 한다. 6. 호응작용을 통하여 정 신과 눈길을 끈다.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Eastern Painting and Western Painting? This is a very crucial underlying theme. The salient difference we can notice with ease is letters and seals in paintings. Apart from form and color, such letters and seals can be formative elements. Affixing one's seal plays the role of proving a work of art is authentic. Adding seals to signatures or verses a calligrapher or a painter writes or draws on their work is referred to as “jegwan”. As a history of producing some work or a feeling of appreciating the work is added to jegwan, we can properly appreciate a painting only when we understand this jegwan. Interpreting jegwan is conducive to appreciating a work of art. As celebrity men of literature usually write jegwan, we could have a good opportunity to feel their calligraphic style or their traces.
Intrinsic to Oriental painting or Eastern art is a marriage of painting, calligraphy, and sealing. With this a specific problem arises: how to make jegwan in the composition of Oriental painting. This thesis considers the definition and history of jegwan, analyzing its formative hallmarks, focusing on the following six points: 1) what decides the scope of the entire scene, 2) what works to regulate colors, 3) what works to enrich our appreciation, 4) what makes up for lack of change in the scene, 5) what works to supplement the scenery, 6) what draws our attention through its responsive operation.

목차
I. 서론
 II. 題款의 정의와 역사
 III. 題款의 조형적 특징
  1. 화면범위
  2. 색채조절
  3. 감상풍부
  4. 화면변화
  5. 경물충당
  6. 호응작용
 IV. 결론
 <그림목록>
 <참고문헌>
저자
  • 하영준(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 Ha Youngju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