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작업치료사의 업무범위에 관한 안내지침 KCI 등재

Guidelines on the Main Work and Scope of Practice for Occupational Therapist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612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작업치료사의 주요 업무에 대하여 법률적 근거를 바탕으로 명확하게 정의하고, 작업치료사의 업무범위에 대해 임상에서 참고할 수 있도록 안내 지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작업치료 업무범위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위해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을 바탕으로 관련 자료 및 문헌 고찰을 통해 실제 수행하고 있는 업무행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작업치료사는 신체적ㆍ정신적 기능장애를 가진 대상자를 원활하게 회복시키기 위한 목적이자 수단으로 일상에서 사용하는 물체나 기구를 활용할 수 있다. 작업치료사의 고유 업무는 개인에게 필요한 작업적 역량과 의지에 따라 삶에 참여하고 독립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다. 작업치료사가 수행하는 업무 내용에는 감각훈련, 활동훈련, 작업적 일상생활훈련, 인지재활치료, 삼킴장애재활치료, 상지보조기 제작 및 훈련, 작업수행분석 및 평가, 그 밖 의 작업요법적 훈련ㆍ치료를 포함하고 있다. 개정된 작업치료사의 업무범위는 향후 보험수가 개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국민을 향한 작업치료 정책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proposes guidelines for occupational therapist to identify and clarify the scope of their main work and practice, based on legislative evidence. Clear identification of their scope of practice can reduce confusion occurring during clinical practice. In addition, continuous promoting and education are needed to allow actual task performance to reflect the related regulations. The scope of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aims to recover physical and psychological dysfun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ccupational therapist utilize objects or instruments used in daily life as a means of practice. The unique tasks and roles of occupational therapist enable an individual to participate in the rehabilitation process through their own volition and capacity, and to live without disability. The expected performanc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volves sensory activity training, occupational daily living training, cognitive rehabilitation treatment, dysphagia rehabilitation treatment, production and training of assistive device for upper extremity, occupational performance analysis and evaluation, and some additional therapeutic-occupational training and treatments. The revised scope of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may provide a positive contribution toward the development of insurance fees and to bring about positive changes in polic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public health in the future.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작업치료의 목적
  2. 작업치료의 수단
  3. 작업치료의 내용
 Ⅲ. 결 론
 References
저자
  • 유두한(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Yoo Doo-Han
  • 장종식(극동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Jang Jong-Sik
  • 최성열(영동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Choi Seong-Youl
  • 김지현(대한작업치료사협회 정책국) | Kim Ji-Hyun
  • 김영란(동그라미 아동발달센터) | Kim Young-Ran
  • 이재신(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Lee Jae-Shi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