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일차성 불면증의 인지행동치료의 체계적 고찰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728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일차성 불면증을 위한 인지행동치료의 효과를 체계적 고찰을 통해 알아보고 자 하였다. 연구방법 : 논문 검색을 위해 사용된 6개의 데이터베이스(CINAHL, EBSCOhost, Emabase, MEDLINE, Ovid, PsycINFO)로부터 기준에 적합한 11편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는 PICO 방법을 사용하 여 분석하였고 연구의 질은 두 명의 연구자에 의해 PEDro scale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11편의 평균 PEDro 점수는 6.3점이었다. 결 과 : 인지행동치료의 주요 중재 요소 중 자극통제와 수면억제가 불면증 중재에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중 재효과는 총 침상 각성시간, 총 수면시간, 수면효율성, 서파수면 시간의 순으로 효과적이었다. 인지행동 치료는 약물치료와 비교하여 불면증 치료에 효과적이었다. 결론 : 인지행동치료는 만성 일차성 불면증을 완화하기 위한 다른 심리적, 약물 치료적 접근법보다 더 효율 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임상에서 불면증을 중재하는 방법으로 객관적인 근거가 될 수 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rough a systematic review the effect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persistent primary insomnia. Methods : A search of six research databases (CINAHL, EBSCOhost, EMBASE, MEDLINE, Ovid, and PsycINFO) yielded eleven studies that met selection criteria. Articles were reviewed by two reviewers assessed the quality of the articles using PEDro scale. The average PEDro score of eleven studies was 6.3 points. Results : Stimulus control and sleep restriction were included in all studies. Among beneficial outcomes, improvement of total wake time, total sleep time, sleep efficiency, and slow-wave sleep time were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s effective for treating insomnia when compared with medications. Conclusion : Cognitive behavior therapy was more effective than the other psychotherapy and pharmacotherapy approaches relieving chronic primary insomnia in the studies. This evidence can be used to relive the primary insomnia in a clinical sett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자료수집 및 분석
  2. 질적 평가
 Ⅲ. 결 과
  1. 중재 방법
  2. 평가 방법
  3. 대조군 설정 및 중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저자
  • 김원진(고신대학교 보건복지대학 작업치료학과) | Kim, Won-Jin
  • 장문영(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Chang, Moon-You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