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국 북조기 미륵상의 재검토 -하생미륵과 성왕상- KCI 등재

中国北朝期弥勒像の再検討  ―下生弥勒と聖王像―

  • 언어JPN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833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17,300원
東洋美術史學 (동양미술사학)
동양미술사학회 (Association of Asian Art History)
초록

미륵신앙에는 하생신앙과 상생신앙이 있기 때문에, 미륵은 보살형과 여래형의 두 종류로 조형화되어 왔다. 이 중에서 보살형의 미륵은 지물 (수병)이나 수인(접법륜인), 좌세(교각좌, 병각의좌, 반가좌 등)에 의해 쉽게 판단할 수 있지만, 여래형의 미륵불은 간단하지 않다. 당대가 되면 미륵불은 대부분 예외없이 의좌(병각의좌)상으로 표현되지만, 수 이전의 미륵불은 입상, 부좌상, 교각상, 의좌상, 반가좌상, 유희좌상 등 여러 종류의 형식이 있다. 하지만 수인이나 지물에 미륵으로서의 특징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명문에「미륵」이라고 새기지 않는 한 미륵불을 구분하기란 어렵다. 그렇다면 어떠한 경위에서 의좌상이 미륵불 전용의 자세가 된 것일까?
본고에서는 북조시기의 여래형 미륵상을 주제로 삼아, 의좌형식이 미륵불의 전형이 되는 이전의 상황을 명확히 하려고 한다. 특히 의좌계의 좌세인 교각좌와 반가좌, 유희좌의 여래상 중에 미륵불의 가능성에 관 해서도 검토한다. 또한 산서성 평정에 위치한 개화사 석굴의 수 개황원 년(581)명 불반가상의 명문 중에 보이는「진국왕상」을 실마리로 해서 하생미륵과 성왕상의 관계에 관해서도 주목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감숙의 돈황 막고굴이나 운강석굴 중기전반까지의 의좌계 여래상은 대부분 석가불이지만, 5세기말 이후 동부지역에서 미륵불이라고 생각되는 의좌나 교각좌의 여래상이 출현했다. 특히 동위 에서 북제시기에 하북을 중심으로 미륵불이라고 확인되는 의좌상, 반가상, 유희좌상이 많다. 게다가 수초 불교를 부흥시킨 문제의 등장으로 성왕이었던 문제에 하생미륵불의 이미지가 겹쳐지면서, 그 이후 당대에는 의좌의 미륵불로 정형화되었다고 생각된다.

弥勒信仰には下生信仰と上生信仰があるため、弥勒は菩薩形と如来形の 両種が造形化されてきた。このうち菩薩形の弥勒は持物(水瓶)や手印(転 法輪印)、坐勢(交脚坐、並脚倚坐、半跏坐など)によって容易に確認で きるが、如来形の弥勒仏は難しい。唐時代になると弥勒仏はほぼ例外なく倚坐 (並脚倚坐)像で表されるが、隋以前の弥勒仏は立像、趺坐像、交脚 像、倚坐像、半跏坐像、遊戯坐像など多種の形式がある。しかも、手印や 持物に弥勒としての特徴が乏しく、銘に「弥勒」と刻まれないかぎり、弥勒仏 を見分けるのは困難である。どのような経緯で倚坐像が弥勒仏専用の形式と なったのだろうか。
本論考では、北朝期の仏形弥勒像を取り上げ、倚坐形式が弥勒仏の定 型となる前の状況を明らかにしたい。とくに、倚坐系の坐勢である交脚坐や半 跏坐、遊戯坐の如来像の中に弥勒仏の可能性を検討する。 さらに、山西省平定開河寺石窟の隋・開皇元年銘仏半跏像の銘文中に記 された「鎮国王像」を手がかりに、下生弥勒と聖王像の関係にも注目する。
結論は以下のとおりである。甘粛の敦煌莫高窟や雲岡石窟中期前半まで の倚坐系如来像はほとんどが釈迦仏であるが、5世紀末以降の東部地域で 弥勒仏と思われる倚坐や交脚坐の如来像が現れた。とくに東魏~北斉時期 の河北を中心に弥勒仏と確認できる倚坐像、半跏像、遊戯坐像が多い。さ らに、隋初の仏教を復興した文帝の登場により、聖王である文帝に下生弥勒 仏のイメージが重ねられ、その後、唐代に倚坐の弥勒仏が定型化したと考えら れる。

목차
内容要約
 はじめに
 Ⅰ. 弥勒銘の仏立像
 Ⅱ. 弥勒銘の仏坐像
 Ⅲ.南朝の弥勒仏
 Ⅳ.倚坐系の弥勒仏-並脚倚坐、交脚坐、半跏坐、遊戯坐-
  1. 弥勒銘の仏倚坐像(並脚倚坐)
  2. 弥勒銘の仏交脚像
  3. 弥勒銘の仏遊戯坐像
  4. 半跏思惟像と施無畏印半跏像
 Ⅴ.無銘の倚坐系如来像と弥勒仏
  1. 敦煌莫高窟と甘粛の石窟造像
  2. 雲岡石窟の倚坐仏と交脚仏
  3. 義県万仏堂石窟の交脚仏
  4. 太原~楡社周辺の石窟-子洪鎮石窟と天龍山石窟
  5. 鄴城周辺の石窟の倚坐仏と半跏坐仏
  6. 寧夏須弥山石窟
  7. 単独像と造像碑
 Ⅵ.倚坐系弥勒と聖王像
  1. 平定開河寺石窟の半跏坐大仏
  2. 弥勒と聖王像
 국문요약
 시작하며
 Ⅰ. 「미륵」명 불입상
 Ⅱ. 「미륵」 명 불좌상
 Ⅲ. 남조의 미륵불
 Ⅳ. 의좌계 미륵불: 竝脚倚坐, 交脚坐, 半跏坐, 遊戯坐
 Ⅴ. 무명의 의좌계 여래상과 미륵불
 Ⅵ. 의좌계 미륵과 聖王像
 참고문헌
저자
  • 이시마츠 히나코(日本清泉女子大学講師, 中国雲岡石窟研究院客座教授) | 石松日奈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