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학교교육의 사회화에 관한 비판적 논고 -배움학을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n the Critical Prosecution about the Socialization of the School Education in terms of the Erudi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018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본 연구는 학교교육의 사회화에 관하여 비판하고 배움학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교육과 사회 간의 관계를 결정하는 중요한 핵심은 사회화이다. 사회화란 개인이 한 사회의 구성원이 되기 위해 반드시 배워야 하는 모든 과정과 내용을 의미한다. 이에 관해 구조기능주의론자들과 갈등주의 론자들은 사회화의 정당화와 보장성에 관해 경쟁하며 교육의 공헌에 관한 주장을 하여왔다. 사회화의 대 행기관으로서 가장 중요한 사회 속의 기관은 학교이다. 학교교육은 개인이 사회의 구성원이 될 수 있도록 가장 적합한 기관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학교는 특정 시대의 정치적, 경제적, 그리고 문화적 계급을 재생산하거나, 사회화보다는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학교교육은 사회화와 더불어 인간의 배움본능의 실현과 개조를 가능케 하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까지 이루어진 학교교육은 개인 을 사회화하기에 부적합한 기관이라는 것이 본 연구의 결론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riticism about the socialization of education and learning chemical alternatives presented for that purpose. It was important key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society was the “socialization”. The individual was socialized means all the processes and information that must learn to become a member of the society. In this regard the structural functionalist and conflict theorists were advocates caution about the justification and protection-type products, and competition had come to the socialization of the claims about the contribution of education. In the most important social institutions as agencies of the socialization was the “school”. School education has been known as the most suitable institution to help individuals become members of the society. Schools reproduced the political, economic, cultural and class of a particular age or has been used for purposes other than socializing. However, school education should be made to allow for reformatting as well as the erudition as human instincts, with the socialization of learning. School education made up to now is that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inadequate institutions to socialize the private.

목차
Ⅰ. 서 론
 Ⅱ. 사회화의 이론적 고찰
 Ⅲ. 사회화의 역할
 Ⅳ. 사회화의 대행기관으로서의 학교
 Ⅴ. 비판적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최항석(경기대학교 인문대학 교직학과 교수) | Hang-Seok Ch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