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西遊記』의 猪八戒 연구 ― 저팔계의 욕망을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f ZhuBajie in terms of desi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079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中國學 (중국학)
대한중국학회 (Korean Association For Chinese Studies)
초록

본고는 猪八戒가 표출하는 다양한 욕망을 불교적 관점을 원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저팔계의 수행과정과 그의 수행에 담겨진 의미를 분석하고, 『西遊記』에서의 저팔계의 역할과 위치를 조명한 논문이다. 저팔계의 욕망세계를 고찰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먼저 그의 생애와 존재 에 관련된 몇 가지 특징들을 서술한 뒤, 이어서 저팔계의 행동과 심리를 통하여 그의 욕망 세계와 그 안에 내재하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西遊記』는 저팔계를 통하여 인간의 고통은 욕망에서 비롯된다는 진리를 밝히고, 고를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인 수행의 길을 제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인간존재의 욕망과 욕망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방법에 관한 제반 문제를 심도 있게 펼쳐 보이고 있다고 생각된다. 세속인의 욕망을 대표하는 저팔계로 하여금 수행의 길을 가도록 안배한 뒤, 수행의 길에서 그가 표출하는 貪·嗔·痴의 양상을 생생 하게 그림으로써 생명력이 넘치는 저팔계라는 인물을 창조하고, 이를 통하여 소설의 흥미와 재미를 고조시키고 작품 안에 심오한 주제를 불어 넣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shapes of desire and their meanings by analyzing ZhuBajie’s divers and diverse shapes of desire in terms of Buddhism. In this analysis of ZhuBajie’s disciplinary process and its latent meanings, his role and position in Xiyouji is elucidated. Before dealing with ZhuBajie’s world of desire and its meanings furthermore, this paper describes some characteristics of ZhuBajie’s life and entity because his personal life history is needed to the understanding of desire basically, and looks into his world of desire and its latent meanings through his behaviour and psychology. Through this analysis, it explores the issues of desire in human existence and the ways of freeing from desire deeply. This analysis goes as follows: 1) characteristics of ZhuBajie’s life and entity; 2) ZhuBajie as a representative character of the secular; 3) ZhuBajie’s discipline and its meanings.
From those research findings of ZhuBajie’s desire in terms of Buddhism, human’ sufferings derive from desire, so it presents the way of how to overcome sufferings possibly through the discipline of eradicating desire. Thus, ZhuBajie as a representative of the secular is created as a character full of life by the description of how he is led to discipline himself and of showing the divers and diverse shapes of Desire, Anger, Foolishness which he exposes in the process of discipline. Consequently, the creation of ZhuBajie as a character enhances the literary interest and curiosity in Xiyouji.

목차
1. 서론
 2. 저팔계의 생애와 그의 존재에 내포된 특징
 3. 저팔계 ― 세속인의 욕망을 대표
  1) 생명에 대한 욕망
  2) 몸에 대한 욕망 ― 食慾, 色慾
  3) 재물에 대한 욕망
 4. 저팔계의 수행과 그 의미
 5. 결론
 【참고문헌】
 【논문초록】
저자
  • 서정희(부산대학교 중어중문학과) | Suh Jung-Hee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