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explores strategies for companies to gain competitive advantage amid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transformation. By applying the human performance technology model to a global multinational corporation, Company A, we analyzed performance issues and solutions. Key findings identified deficiencies in the compensation system and career development tools, with strategies proposed to address these issues. Success factors include executive support, clear goal setting, and alignment of strategy and execution. This research offers practical insights into building performance-oriented organizations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field of performance consulting.
본 연구는 노인환자를 돌보는 요양병원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정서 적, 윤리적 요인이 간호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요양병원 간호사의 공감역량과 윤리적민감성, 환자중심간호, 간호업무수행 간의 구 조적 관계를 파악하고, 간호업무수행 향상을 위한 이론적, 실무적 기초자 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국내 요양병원간호사 230명 을 편의표집 하였으며, 연구결과로 모형 적합도는 χ²/df=165.517, CFI=.945, TLI=.928, RMSEA=.092로 양호하였으며, 공감역량은 윤리적민 감성(β=.478, p<.001)과 환자중심간호(β=.716, p <.001)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간호업무수행(β=.431, p <.001)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리적민감성은 간호업무수행(β=.188, p <.001)에, 환자 중심간호는 간호업무수행에 매개요인으로 작용하였다(β=.477, p <.001). 간호업무수행 향상과 환자중심간호를 실천하기 위한 간호인력 배치 기준 을 재정비하고, 다학제 팀의료 상호 협업 중심의 전인적인 돌봄 지원 체 계를 구축하는 것을 제시한다.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has fundamentally transformed modes of visual expression and mechanisms of emotional communication, redefining the identity and performative function of fashion illustration, particularly within short-form content. This study thus aims to analyze the emotional performance strategies used in short-form video fashion illustration content and to interpret these strategies through an integrated framework combining performative image and emotional design theories. As a methodology, five actively operating English-language YouTube channels were selected, each recognized for producing fashion illustration content in short-form videos and holding a subscriber base of over 50,000. The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analysis of short-form videos from these channels, examining how they engage viewers emotionally across Norman’s three levels: visceral, behavioral, and reflective. The results revealed that short-form video fashion illustration content employs multi-layered emotional strategies: immediate aesthetic stimulation through visceral visual impact, behavioral immersion via sharing of the drawing process, and reflective meaning-making through storytelling and socio-cultural messages. Notably, these strategies extend beyond the mere display of images, positioning the illustration as an active agent that performs and elicits sensory, emotional, and social engagement from audiences.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convergence of performative image theory and emotional design offers a comprehensive lens to decode how fashion illustration short-form videos function both as visual art and as performative acts. These findings contribute theoretical and practical insights for future digital fashion content creation and research in the visual arts, highlighting how emotional experiences are strategically constructed in contemporary digital media contexts.
This study explores the concept of screen-performance as a sensory and performative interface in interactive media content. Moving beyond the traditional notion of the screen as a passive display, it examines how screens can function as spatial, real-time systems that engage users’ bodies and perceptions. Based on theoretical research on screen media and performativity, the paper analyzes two original media artworks—Light, Movement of Boundaries and Boundaries: Coexistence—as case studies. These works demonstrate how screen-based installations can incorporate sensor feedback, adaptive visuals, and embodied participa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screen-performance offers a meaningful framework for designing immersive user experiences in media art, interactive installations, and game environments.
본 연구는 12주간의 맨손 근력운동 수행이 복부비만 여성노인의 혈청지질, 인슐린 및 C-peptide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운동군(EG, n=13), 대조군(CG, n=13)으로 구분하여 실시하 였다. 맨손근력운동 강도는 주관적 운동 자각도(rating of perceived exertion; RPE)를 사용하였으며, 1-4 주, RPE 12-13, 5-8주, RPE 13-14, 9-12주, RPE 14-15로 설정하여 주 3회, 1회 운동시간 60분 실시하 였다. 자료처리는 측정항목에 대한 평균값(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고, 그룹 및 시기 간 상호작용 효 과검증은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를 실시하였다. 상호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필요에 따라 그 룹 내 시기 간 차이 검증은 paired t-test를 실시하였고, 그룹 간 차이 검증은 independent t-test, 각 항목 별 통계적 유의수준은 통계 방식에 따라 .05와 .025로 각각 달리 설정하였다. 그 결과, TG(p<.01) 및 HDL-C(p<.05)에서 상호작용 효과, 인슐린(p<.05) 및 C-peptide(p<.01)는 시기 간 주효과가 나타났다. 이 상의 결과, 12주간의 운동이 혈청지질 중 TG, HDL-C를 개선이 나타났고, 이는 혈관 및 대사 기능의 측 면에서 매우 중요한 결과라 생각된다. 하지만, 인슐린과 C-peptide에서는 운동군보다 대조군이 더 많이 증 가하여, 맨손근력운동에 대한 긍정적인 개선은 기대하기 힘들었다. 이는 복부비만 여성노인의 나이가 고령 임을 감안하였을 때, 비교적 짧은 저항운동 기간으로는 인슐린과 C-peptide의 변화를 기대하기 힘들다는 점을 시사한다. 하지만, 맨손근력운동은 노인이 부상의 위험없이 실시할 수 있으므로 후속 연구를 통해 다 양한 결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타력문의 대표적 수행법인 『자비도량참법』의 교리적 근거와 실제 수행의 구조적 연관성을 밝히고, 참법 수행의 공덕을 체계적으로 제 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 ‘참회(懺悔)’ 용어는 후한 초기부터 형성되어 강맹상의 번역 경전에서 완성되었으며, 오체투지와 결합되어 의례적 ‘참법’으로 발전하 였다. 『자비도량참법』은 양 무제가 503년경 황후 치씨의 사후 구제를 위 해 지공 등과 편찬한 ‘양황참’이다. 전체 10권은 상・중・하 근기에 따른 삼주설법 형식으로 구성되며, 총 1,747회의 오체투지와 1,489불, 237보살에 대한 칭명염불이 체계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교리적으로는 『승만경』의 일승사상과 여래장 사상이 관통 하며, 미륵보살의 자비와 관세음보살의 대비가 근본정신을 이루고, 사무 량심과 육바라밀의 보살도 실천이 구체적 수행법으로 제시된다. 한국에서는 1282년 고려 충열왕 8년 처음 간행된 이후 지속적으로 유 통되었으며, 1474년 정희대왕대비 후원으로 왕실발원판이 간행되는 등 광범위하게 활용되었다. 본 연구는 『자비도량참법』이 참회・권청・수희・회향・발원의 오회 체 계를 갖춘 종합적 수행법임을 규명하였으며, 참법수행이 교리적 바탕 위 에서 체계적으로 구성된 타력 신앙의 완성된 형태임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인도 베단타 철학의 니다디아사나(Nididhyāsana)와 초기불교의 사띠팟타나(Satipaṭṭhāna) 수행을 비교 분석하여 자아해체(self-dissolution) 과정의 심리적·신경학적 기제를 탐구하였다. 통합 문헌고찰 방법론을 적용하여 두 수행의 철학적 구조와 관련 뇌과학 연구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니다디아사나는 상위 인지 기능과 철학적 사유를 통해 자아 개념을 해체하는 반면, 사띠팟타나는 감각 기반의 지속적 주의력으로 자아 감각을 해체하는 데 초점을 둔다는 차이를 밝혔다. 신경생리학적으로 니다디아사나는 전전두엽 및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DMN)의 억제를, 사띠팟타나는 insula와 전대상피질(ACC)의 활성화를 기반으로 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발견은 두 수행 방식의 특성을 명확히 하고, 각각의 심리치 료 및 자기 탐색 분야에서의 차별화된 적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동양의 전통적 수행법을 현대 심리학 및 뇌과학의 관점에서 재해석함으로써 명상 기반 자아 개념 연구에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 고 학제간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evaluate a simulation-based autotransfusion device training program to enhance the clinical performance, performance confide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f post-anesthesia care unit (PACU) nurses. Methods: A single-group pretestposttest study was conducted with 30 PACU nurses. The program, based on the ADDIE model, included orientation, simulation training, and debriefing. Data were collected using validated tool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analyzed using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Results: Clinical performance improved from a median of 30.00 to 43.00 (Z =−4.78, p < .001). Performance confidence increased from 31.00 to 47.50 (Z =−4.71, p < .001), while educational satisfaction rose from 26.00 to 40.00 (Z =−4.73, p < .001). Conclusions: The simulation-based program effectively enhanced the clinical performance, performance confidence, and education satisfaction of PACU nurses.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value of simulation-based training for enhancing nurses’ competence in using complex, high-risk medical devices.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impact of a nursing simulation learning module for caring for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on nursing knowledge, clinical competence, team psychological safety, and learning satisfaction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with 36 students (18 per group) assigned to either a simulation group or a lecture group. Data collected from June 8 to July 13, 2024,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Results: Nursing knowledge showed no significant between-group difference (F=1.32, p=.260) but improved over time (F=8.24, p=.007). Clinical competence showed a significant group-by-time interaction (F=58.33, p<.001). Team psychological safety (t=2.70, p=.012) and learning satisfaction (t=2.27, p=.030) were higher in the simulation group. Conclusion: These findings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simulation-based educational strategies in nursing curricula. The module may also be applied to the training of novice nurses in clinical settings, thereby contributing to enhanced nursing education and improved clinical practice.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disaster nursing education program using th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 on nursing students’ competency in emergency patient triage, core competencies, confidence in disaster nursing, and self-efficacy in disaster response. Methods: This study utiliz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The experimental group (n=25) participated in a disaster nursing education program that incorporated the KTAS, whereas the control group (n=27) did not receive any interven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s. Results: The two groups differed significantly in both competency in emergency patient triage (t=3.47, p=.001) and confidence in disaster nursing (t=2.51, p=.015). Conclusions: This study indicates that a disaster nursing education program using the KTAS, a tool currently employed in clinical practice, rather than theory-based instruction alone, contributed to enhancing nursing students’ practical competencies. Such training can improve the emergency patient triage and confidence in disaster nursing required in emergency situations, ultimately enabling future nurses to better protect the lives and health of individuals affected by disasters.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imulation education in patient safety nursing on nursing students’ attitudes toward patient safety, confidence in patient safety,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engagement.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April to May 2022 with 69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a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ourse. Two simulation scenarios were developed to enhance the patient safety competencies. Each scenario was implemented in two sessions, each lasting 90 minutes.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which measured attitudes toward patient safety, confidence in patient safety,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engagement before and after the simulation education. Data were analyzed by employ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t-tests using SPSS Statistics Version 26.0. Results: After participating in the simulation program,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ir attitudes toward patient safety (t=9.11, p<.001), confidence in patient safety (t=15.66, p<.001), academic self-efficacy (t=6.03, p<.001), and academic engagement (t=9.28, p<.001).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simulation education in patient safety nursing is an effective nursing education strategy.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to develop and expand diverse simulation-based learning programs in nursing education.
창의성은 오늘날 조직의 생존과 성공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로, 많은 경영진은 구성원이 창의성을 발휘 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조직 내 공정한 절차는 구성원에 게 자신이 조직에 의해 가치 있게 여겨진다는 신호를 전달하며, 이를 통해 창의적 수행과 같은 협력적이 고 호혜적인 행동을 촉진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절차공정성과 창의성 간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탐구한 연구는 부족하며, 기존 연구들도 일관되지 않은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각된 절차공정성과 창의적 수행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이 관계를 설명하는 메커니즘을 탐 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사회적 교환 이론(Blau, 1964)과 집단 열의 모형(Blader & Tyler, 2009; Tyler & Blader, 2000, 2003)에 따라 절차공정성 지각과 창의적 수행 간 관계를 조절된 매개 모형을 바탕으로 절차공정성과 창의적 수행 간 관계에서 직무 헌신의 매개효과를 예측했고, 절차공정성이 직무 헌신 간의 관계를 역할모호성이 조절할 것으로 보고 이를 검증하고자 했다. 총 413명의 직장인을 대상으 로 2파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절차공정성은 창의성과 유의미한 직접적 관련성을 보이지 않 았으나, 직무 헌신을 통해 간접적으로 창의적 수행을 예측하였다. 또한, 절차공정성과 직무 헌신 간의 관 계는 역할모호성에 의해 조절되었다. 본 연구는 절차공정성과 창의적 수행 간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검 증하고, 직무 헌신의 매개효과와 역할모호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함으로써 공정성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함의와 실증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s of patient safety simulation education on nursing students’s attitude of patient safety, confidence in performance of patient safety, confidence in performance multidrug-resistant bacterial infection control, and nursing professionalism. Methods: In this study, 89 students from the 4th grade of the nursing department at one university participated, and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August 20 to August 30, 202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R 4.3.2 version an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After education, the subjects' nursing professionalism(t=-5.95, p<.001), attitude of patient safety(t=-3.59, p<.001), confidence in performance of patient safety(t=-3.90, p<.001), and confidence in performance multidrugresistant bacterial infection control(t=-5.55, p<.001)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ter educa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ursing professionalism, attitude of patient safety(r=.43, p<.001), confidence in performance of patient safety(r=.64, p<.001), confidence in performance multidrug-resistant bacterial infection control(r=.41, p=<.001).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of patient safety, confidence in performance of patient safety(r=.47, p<.001), confidence in performance multidrug-resistant bacterial infection control(r=.37, p=<.001)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Confidence in performance of patient safety, confidence in performance multidrug-resistant bacterial infection control(r=.80, p<.001)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n order to strengthen effective patient safety management behavior,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increase immersion and proactiveness in education by developing and applying various scenarios related to patient safety in nursing management simulation education.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증폭된 사회 경제적 압박 에 대응하여, 한국교회 내에 확산된 목회자 이중직 사역을 복지선교 관점에서 해석하고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이중직을 경험한 목회자 5인의 FGI(Focus Group Interview) 내러티브 분석과 본 연구의 공동 저자 3인의 공동자문화기술지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이중 직 목회자의 생생한 경험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복지선교 관점에서 목회자 이중직 사역이 더 넓은 의미에서 목회적‧선교적 가치가 보다 분명함을 확인하게 된다. 복지선교가 지향하는 약자를 돌보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적 가치 실현이 이중직 사역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목회자의 역할을 재정의 하여, 지역사회의 영적‧사회적 측면에 대한 이중직 목회자의 지속적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이 필수적으로 지원되 어야 함을 제시한다.
이 글은 전략사 창설 이전 선행된 연구들의 한계를 창설 이후인 현시점에서 재검토하고 민간 학계와의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전략사의 역할 가운데 ‘억제개념 및 억제전략 연구’ 수행에 관한 임무에 주목한다. 그리고 이 부분 에 있어서만큼은 미국 전략사 사례가 시사하는 바와 같이, 민간 학계가 가용 가능한 실효적 대안을 가장 잘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음의 논지를 전개 한다. 우선, 2024년 전·후반기에 시행된 한미연합연습의 세부내용을 통해 한 반도를 둘러싼 주변 억제환경과 전략사 역할에 대한 한국군의 복안을 확인하 였으며, 실제 미국 전략사가 학술연구를 위해 활용하는 세대별 억제개념에 대해 검토함으로써 다중 경쟁구도와 잠재적 위협요인에 맞춘 새로운 억제개 념 즉, ‘7세대 억제개념’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무엇보다 4세대 억제개념부터 적용된 미국 전략사의 ‘억제분석 및 계획지원 모델(DAPSE)’에 대해 소개하고 민군이 함께 참여하는 억제전략 연구수행 방안을 총 3단계에 걸쳐 제시한다. 1단계에서는 기존 억제전략을 검토하고 개선점을 도출하며, 2단계에서는 다 양한 분석방법론을 적용한 북한의 핵위협 관련 연구, 북한의 러시아-우크라 이나 전쟁 파병에 따른 전략적 이익에 관한 연구, 한반도 유사시 제3국의 개 입에 따른 국제규범 간 연구 등이 가능함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3단계에서 는 기존 DAPSE 모델을 변화된 억제환경에 맞춰 최신화하고 이를 주한미군이 나 북한 사례 등에 적용하는 연구를 함께 생산하여 향후 한미연합연습의 기 획과 도상훈련(TTX) 실행에 실제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민군 양자 간의 상보 적 역할을 모색해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
Integrating exegetical and textual scholarship with analysis of the Eastern Jin text Cārya-nidāna, this study resolves gaps in inter-character relation communication in Great Chinese Dictionary (second edition). Specifically, the characters zè (仄), cè (側), cè (惻), cè (𡍫) and cè (畟) should each supplement the semantic value of "filled; filled to capacity", and their phonetic loan relationships necessitate clarification. The pronological entry (1) for cè (側) as 阻力切 should be marked with the historical reading zè. While emphasizing that the phonetic differentiation of cè/zè (側) is influenced by its near-synonym zè (仄), it is crucial to note that zè (側)'s "narrow" semantic sense is independently derived and didn't require the inter-character relation with zè (仄). The character niè ( ) and liè ( ) should be introduced, with an explanation of its variant relationship between niè (孽) and liè (鬣).The meaning of "long hair (on the human body and head)" should be added to liè (𣰌), with an explanation of its variant relationship between liè (鬣). The relationship of being alternative forms of each other between gāi (姟) and gāi (垓) should be established. The character méng (萠) should be introduced, with an explanation of its variant relationship between méng (萌).
본 연구는 중학생이 인식하는 학원강사의 역할수행과 역량, 자신의 자기효능감을 조사하고, 개인배경에 따른 주요 변인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이후, 학원강사의 역할수행과 역량이 중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학원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입시·검정 및 보습학원에서 수강 중인 중학생 3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양적 연구를 보완하기 위해 중학생 6명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병행하였다. 설문조사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3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첫째, 중학생이 인식한 학원강사의 역할수행과 역량 수준은 전반적으로 높았으나, 자기효능감 수준은 상대적으 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학원강사의 역할수행과 역량에 대한 인식은 개인배경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중학생이 인식하는 자기효능감은 일부 개인배경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자신감은 남학생과 남성 강사의 수업을 듣는 학생이 더 높았고, 자기조절효능감 은 성적이 높고 학원 수강 기간이 긴 학생일수록 높았다. 과제난이도 선호에서는 남학생이고, 학년과 성적이 높을수록, 국어를 수강하는 학생일수록 어려운 문제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학원강사의 역할수행과 역량은 중학생의 자기효능감에 통계적 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면담 조사에서는 일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들은 학원강사의 학급운영과 상담지도가 자신감을 갖도록 하였고, 생활지도, 상담지도, 보충지도가 자기조절효능감을 높였으며, 보충지도와 진로지도를 받는 과정에서 과제난이도 수준을 높일 수 있었다고 하였다. 또한, 중학생들은 학원강사의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통해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제난이도 수준을 높일 수 있었고, 학원강사의 격려와 지원적인 태도를 보면서 자신감을 갖게 되고, 과제난이도 수준을 높이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고 하였다. 학원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 학원강사는 학생지도 및 관리에서 단순한 성적향상이 아니라,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방향을 모색해야 하고, 이를 위해 학생 개개인의 학습 목표 설정과 실천 점검을 지원하고, 상담 및 정서적 지원을 강화하며, 보충지도와 진로지도를 통해 도전적인 학습을 장려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본 논문은 修行記에 출현한 모든 접속사에 대하여 빈도, 어순, 의미기능 등 방면 에서 전면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아울러 동일 공시 평면에서 다른 문헌과의 비교 를 통해 수행기 접속사의 시대적 특징을 정리하였다. 첫째, 修行記에는 30종의 접속사가 출현하였다. 이 중 병렬접속사는 ‘與’, ‘及’, ‘並’, ‘和’, ‘同’ 등 총 5종, 승접접 속사는 ‘而1’, ‘則’, ‘然後’ 등 3종, 선택접속사는 ‘或’ 1종, 점층접속사는 ‘非但’, ‘莫謂’, ‘休言’, ‘且’, ‘何況’ 등 5종이 출현하였고, 인과접속사는 ‘爲因’, ‘故’, ‘因此’, ‘以此’ 등 4 종, 전환접속사는 ‘而2’ 1종, 조건접속사는 ‘但’, ‘只是’, ‘除是’, ‘除非’ 등 4종, 가정접속 사는 ‘若’, ‘如’, ‘如是’, ‘倘’ 등 4종, 양보접속사는 ‘雖’, ‘任是’ 등 2종, 목적접속사는 ‘爲’ 1종이 출현하였다. 둘째, 修行記에 출현한 접속사는 대부분 상고중국어 시기부터 사용된 것들이며, 중고, 근대중국어 시기 이후에 새롭게 생성된 접속사들도 일부 사 용되었다. 다만 비교적 늦은 시기인 원명대 이후 새롭게 출현한 접속사들은 많이 발 견되지 않았다. 셋째, 修行記에 출현한 전체 접속사 가운데 ‘而1’(49회), ‘同’(30회), ‘若’(20회), ‘及’(12회), ‘並’(11회) 등의 사용 빈도가 비교적 높은 편이다. 넷째, 修行記에 출현한 접속사 30종 가운데 17종이 단음절이며 13종이 2음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