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I) on Musical Dramatization Manifested in Concert During the Latter Half of 20th Century - Focusing on Domaines of Pierre Boulez
본 논문은 20세기 후반에 독주악기와 오케스트라의 결합인 전통적인 협주곡 양식의 구 조를 유지하면서 새로움을 추구한 작품들에 대한 학문적인 관심에서 출발하여 대표적인 아 방가르드 작곡가인 불레즈의 클라리넷 협주곡 ⟪소유지⟫를 극화의 관점에서 연구한 것이 다.
이 작품은 독주 클라리넷과 6개의 악기그룹이 모인 하나의 오케스트라로 편성된 독주협 주곡 양식을 바탕으로, 악곡의 구조 및 공간에서 움직여 퍼지는 입체적인 음향을 하나의 형 태로 묘사하는 오케스트라의 무대배치를 필요로 한다. 또한 무대에 고정적으로 자리하지 않 는 독주 클라리넷 주자가 고정 배치된 오케스트라 사이를 걸어서 움직이며 연주하면서 악곡 의 구조와 입체적인 음향의 근원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오케스트라의 무대배치와 독주 클라리넷 주자의 움직임이 이 작품을 극화하는데 중요한 요소인데, 이들은 모두 드라마가 기초가 된 음악이 아니라 음악 자체에서부터 장면이 나오는 극화의 성격을 가 지고 있다.
불레즈는 음의 생성을 가시화(可視化)하는 연주자의 행위를 두드러지게 하고 입체적인 음향을 위해 공간을 작곡의 재료로 사용한 1950년대 이후의 새로운 창작기법의 영향을 받고, 우연성음악이 바탕이 된 열린 형식의 협주곡으로 이 작품을 작곡하여 독주악기와 오케스트 라의 결합이 음악적인 표현의 도구로서 시대에 국한되지 않는 지속성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 는 것을 인식하게 하였다.
The paper presents an analysis of clarinet concerto Domaines of Pierre Boulez from the perspective of dramatization, which was based on academic interest in musical works pursuing novelty while maintaining the structure of traditional concerto mode known to be a combination between solo musical instrument and orchestra in the latter part of the 20th century.
This musical work requires orchestra stage arrangement conducive to presenting the three-dimensional sound as single form reverberating through the space and structure of musical piece(tune) based on solo concerto mode in which solo clarinet and 6 musical instrument group are integrated into a single orchestra. In addition, solo clarinet player, not assigned to any fixed position on the stage, walks through the members assigned to specific position in orchestra and visually shows the structure of musical piece(tune) and source of three-dimensional sound. This type of stage arrangement for orchestra and movement of solo clarinet player are important elements vital for dramatization. All these have characteristics of dramatization in which scenes come from music itself.
By composing this musical piece, Pierre Boulez recognized that combination between solo musical instrument and orchestral music represented a musical expressive tool with value of continuity not confined to any era.